지난 4월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광주 국제고 송전탑 논란이 6개월 넘게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어 학생들과 학부모들 불안이 커지고 있다. 올해 초 한 건설사가 아파트 건축을 위해 국제고와 전남여상 건물 옆에 154Kv 초고압 송전탑을 이설하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이번 논란은 시작됐다. 당초 이 송전탑은 국제고와 전남여상에서 약 50m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아파트 건설과 광주시의 잘못된 도시계획으로 인해 학교와 송전탑 간 거리가 10m로 줄어들게 됐다. 학생들 건강권 침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이때부터 쏟아졌다.

 이에 학생들과 ‘국제고·전남여상 학습환경보호학부모비상대책위원회’은 광주시청과 한국전력 등을 방문해 송전탑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중화를 요청했다. 뿐만 아니라 전교조 광주지부·북구교육희망네트워크 등 교육단체들도 이들 의견에 동조하고 지원했다. 이들은 광주시가 한전과 건설사를 설득하고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한 상태다.

 이런 요구에 힙입어 시와 한전은 송전탑 지중화 사업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해결되는 듯 보였다. 하지만 최근 이설에 따른 비용 문제를 놓고 다시 실타래가 꼬였다는 후문이다. 지중화에 따른 비용이 총 100억 원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전이 50%, 광주시는 1/3인 약 33억 원 분담을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17억 원 분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학생들까지 나서 매일 정문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초고압 거대 송전탑이 학교 근방에 자리잡는다면 학생 누구나 건강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게 자명하다.

 광주시와 한전 역시 학생들의 건강권을 중시하고 있는 건 다행스럽다. 그럼에도 비용 문제가 걸림돌되선 안될 일이다. 현재 아파트 공사와 송전탑 이설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중화 역시 이 참에 끝내는 게 최상의 방안이다.

 이번 송전탑 갈등은 광주시의 미숙한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대책위 측은 “광주시가 송전탑 이설 당시, 이게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꼼꼼히 검토했더라면 애초 이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아쉬워하고 있다.

 광주시가 건설사 계획만 살펴보고 일을 처리하려다 피해에 직면한 학교와 학생들이 호소하자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을 꼬집은 것이다.

 지난 4월 국제고·전남여상 학생들이 광주시청에 가 윤장현 시장을 직접 만나 “송전탑 이설을 막아달라”라고 요청한 바 있다. 당시 윤 시장은 “너희들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해 미안하다”면서 학생들 건강권 보장을 약속했다. 광주시의 해법 마련은 시정 최고 책임자의 이같은 인식과 약속 위에서 모색돼야 할 것이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