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NS의 입지가 커지며 SNS가 잡다한 일상사를 풀어내는 공간의 기능 이외에도 정치공간으로서의 기능이 부각되는 가운데 SNS에서의 정치 금기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세월호 1주기 당시 페이스북에 노란 리본을 올린 글에 ‘SNS로 정치질하지 말라’라고 주장한 댓글이 소위 ‘베댓’이 되었다. 인간의 소통방식이 일방향적이고 편파적인 브로드캐스트에서 SNS를 통해 누구나 채널이 되는 쌍방향적이고 다원적인 미디어로 변해가는 데에 반해 흐름에 편승하지 못하며 SNS에서 정치적이지 마라는 수사는 흡사 ‘러다이트 운동’ 당시 기계라는 신문물을 받아들이지 못하며 기계를 부수는 행위와 비슷하다.



정치적 금기 또한 정치

 조지 오웰은 자신의 에세이 ‘나는 왜 쓰는가’에서 “어떤 책이든 정치적 편향으로부터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없다. 예술은 정치와 무관해야 한다는 의견 자체가 정치적 태도”라고 밝혔다. 즉, ‘정치적이면 안 된다’라는 말에서 이미 세상을 특정 방향으로 밀고 가려는, 남들 생각을 바꾸려는 욕구가 포함되기 때문에 오히려 정치적이라는 모순이 있다.

 정치적 금기의 연장선에서, 페이스북 프로필에 노란 리본을 올려 놓은 사람에게 ‘선동하지 마라’는 주장이 있다. 프로필에 노란 리본을 올려 놓았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너희도 리본을 달아라”며 강요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추모의 뜻을 표현한 것일 뿐이다. 이는 꽃을 든 ★selfie를 프로필에 올려 놓는다고 해서 ‘너희도 꽃을 들어라’라고 하는 것이 아니듯 말이다.



정치공간에 필요한 대안

 이렇듯 맥락 없이 노란 리본에 대해 온갖 정치적 금기를 붙이는 주장은 그저 세월호에 대한 ‘미봉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임시적으로 사람들의 입을 막는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게 아닌데 말이다.

 나날이 쌓여가는 정치에 대한 혐오는 2008년 SNS로 마구 퍼져나간 ‘광우병 괴담’이 그 배경에 있다. 충분한 근거 없는 ‘유사 과학(pseudoscience)’이 인터넷을 통해 전파되며 ‘집단지성’을 형성하며 정세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대체했다. 이는 분명히 정치공간으로서의 SNS의 실패이다. 하지만 실패의 경험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SNS에서의 정치적인 행위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근거는 될 수 없다.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대안을 찾으면 되는 것 아닐까?

 SNS로 정치적이지 마라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헌법 제19조 ‘양심의 자유’(사상의 자유를 포함), 제21조 ‘언론·출판과 집회·결사의 자유’, 제22조 ‘학문과 예술의 자유’와 같은 헌법에 명시된 민주주의의 권리를 스스로 박탈하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북한·중국과 같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전체주의’ 국가에서 사는 게 나을 것이다.

전수련<전남대 용봉교지 수습위원>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