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한 데 이어 광주시도 2015년까지 온실가스 70만7000톤을 감축한다는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을 내놨다. 2015년까지 온실가스를 2005년 배출량의 10% 넘게 줄인다는 내용으로 정부계획보다 훨씬 강력하다.

 시는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통계 및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유치하는 등 정보관리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에코폐기물 에너지타운, 음식물 자원화, 위생매립장 매립가스 자원화시설 등을 추진하고 신재생에너지 공급도 중장기 목표를 통해 2006년 2.02%에서 2015년 5%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신재생에너지와 바이오 연료 공급 및 활용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정부와 지자체의 이런 온실가스 감축계획이 발표되자 당장 기업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오는 것같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높으면 원가 부담이 생겨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다. 기업 입장에선 그럴 수 있겠다. 하지만 작금의 지구온난화는 기업들의 이런 입장을 봐줄 만큼 한가하지 않다. 온실가스 감축은 이제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다. 당장은 고통이 따를 수 있지만 인류의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치러야 할 비용임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오히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종 규제를 더욱 강화해야 하는 엄중한 상황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지금은 권고사항이지만 머지 않은 장래에 의무사항으로 강제될 가능성도 크다. 때문에 국가나 지자체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데 이런 점에서 정부와 광주시의 이번 온실가스 감축계획은 당연하다. 문제는 실천이다. 계획이 제 아무리 거창한들 실천하지 않으면 소용 없다. 구체적 실천방안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정부나 지자체들은 그 동안에도 기회 있을 때마다 ‘기후변화 대응’ ‘탄소 은행제’ 등 갖가지 이름으로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내놨다. 지금까지 발표된 이런 계획들만 제대로 실천되고 있다면 굳이 이번과 같은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지도 않을 것이다.

 주민들의 동참도 절실하다. 일상생활에서의 녹색사고와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정부나 지자체가 어떤 방안을 내놓든 주민들이 따라주지 않으면 한낱 ‘구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내복입기라든지 자전거 타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 실천방안은 얼마든지 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