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지난 10일 8명(예비이사 1명)의 학교법인 조선대 정이사를 선임했다. 1988년 2월 당시 문교부가 각종 비리의 온상으로 지탄을 받아온 박철웅 전 총장 측 이사 9명의 승인을 취소하고 임시이사를 파견한 지 21년10개월 만이다. 지역민과 대학구성원이 그토록 원했던 조선대 정상화의 기틀이 마련된 셈이다.

 사분위의 이 번 정이사 선임 결정은 그동안 파행적으로 운영돼온 학사운영을 정상체제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또 지난 22년 동안 이어져온 지역민들의 한 맺힌 숙원이 해결됐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 그동안 지역민들에게 걱정과 실망감을 안겨줬던 조선대로선 이 번 정이사 선임으로 그간 미뤄왔던 대학발전 구상을 구체화해 `제2의 도약’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번 사분위의 정이사 선임 결정만으로 조선대 정상화가 다 이뤄진 것으로 이해해선 곤란하다. 이제 첫단추를 뀄을 뿐이다.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사분위가 정이사 9명 전원을 선임하지 않은 것은 또 다른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벌써부터 남아 있는 두 자리에 옛 재단 쪽 인사가 선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걱정이다. 정이사 선임과 관련, “학교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는 일단 환영한다”면서도 “정이사 비율이나 앞으로 추가 선임될 이사의 성향에 따라 분쟁이 재연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조선대 측의 미지근한 반응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사진 구성이 교과부와 현 집행부, 옛 재단 쪽 인사로 나뉘면서 이사회 운영 과정에서 사사건건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여기에 이 번 정이사 선임에서 배제된 옛 재단 쪽의 반발도 조선대 정상화를 가로막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이들이 법적 투쟁에 나설 경우 조선대는 또 다시 소모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

 지역민이 바라는 조선대 정상화가 완성될 때까지 대학 구성원과 시민사회의 감시기능이 더욱 강하게 작동해야 하는 이유들이다. 이 번 정이사 선임으로 모든 게 다 끝난 것처럼 손을 놓았다간 자칫 옛 재단 쪽에 이사회 복귀 틈을 내줄 수 있다. 비리집단으로 지목돼 쫓겨난 옛 재단 쪽 인사들이 새 이사회에 참여한다면 어렵게 쟁취해낸 정이사 체제의 의미는 반감되고 만다. 지역민들의 염원은 그냥 정이사가 아니라 `민주적 정이사 선임’임을 명심해야 하겠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