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임시회 회기가 한창 진행중이다. 지난 13일 시작된 제183회 임시회는 4차례 본회의 시정질문이 끝나고 상임위별 활동에 들어간다. 이번 회기는 여러모로 주목을 받고 있다. 내달 열리는 행정사무감사에 앞선 집행부와 전초전 성격을 띤데다 의원들 활약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 ‘공천 플러스’가 될 수 있어서다. 해서인지 의장을 제하고 17명의 의원 중 10여 명이 질문자로 나서겠다고 신청했다.

 하지만 이번 시정질문은 그런 기대와 주목을 무색하게 했다. 시정질문을 위해 성심껏 준비해온 몇몇 의원들에게는 대단히 죄송한 이야기지만 역시나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다. 시정에서 뭐가 현안이고 중요한 지는 제쳐두고라도 중구난방, 무성의, 재탕삼탕식 질문은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긴장감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

 더 실망스런 대목은 의원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답변에 나선 집행부 역시 ‘검토해 보겠다’‘예산·인력이 없다보니…’ 등등 김 빼는 답변뿐이다. 그나마 관심을 끌었던 보충질문도 시간에 쫓겨 흐지부지되기 일쑤였다. 의사 진행도 형식적이다. 한 시간가량 주어진 질문·답변, 원활한 의사진행을 위한 정회(점심시간 등), 약속한 속개는 20~30분 늦게 열리는 것이 예사다.

 뭐 꼭 이번만 그런 것 아니지 않느냐며 그냥 넘길 수 있겠지만 그래도 이건 영 아니지 싶다. 혹여 너무 가혹한 평가가 아닌가 싶어 줄곧 모니터링에 참여해온 시정지기단의 한 회원에게 도움을 청했더니 물어보나 마나다. 그는 “지난 4대 때와 비교하면 40%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고 혹평했다.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관과 수석을 지낸 한 인사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던진 말은 그래서 의미있게 와 닿는다. “중앙정치는 아무리 ‘여대야소’라 해도 분명히 대립각이 되어있다. 하지만 지방정치(지방권력)는 무풍지대다. 민생과 가장 밀접한 곳이 지방정치인데도 감시·견제가 소홀하다. 지방정치와 지방의회 역할이 중하다는 점에서 내년 지방선거에 기초의원으로 출마할 각오가 돼 있다”는 게 요지다.

 아직 회기가 다 끝나지 않았다. 시의원들은 민주당 내부에서 대대적 ‘물갈이론’이 왜 나오는지, 비민주당 출신이 단 한 석이라도 있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왜 여기저기서 터져나오는 지를 깊이 새겨볼 일이다. 신동일 <자치부 기자> shi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