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자전거시대] <9> 공공임대 시스템
`목적지에서 되돌려주기’로 바뀌어야  

▲ 지하철역 등 특정지역뿐 아니라, 시민들이 시내 어느 곳에서나 자전거를 빌려 이용하고 목적지에서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영자전거 임대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기름 값 탓에 자전거가 대체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단 이 뿐만이 아니라 자전거는 대기오염·기후변화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환경친화적인 교통수단이기도 하다. 이런 추세에 맞춰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려는 각종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안 중 하나가 자전거 공공임대 사업이다.

자전거 대여소를 만들어 필요한 시민에게 자전거를 빌려주겠다는 것인데, 광주에서는 광산구와 광주도시철도공사가 자전거 공공임대 사업에 앞장서고 있다.

광산구는 최근 자전거 150대를 구청과 19개 동사무소에 비치해 이용객들에게 무료로 대여해주고 있다. 이보다 앞서 광주도시철도공사는 2006년 9월부터 학동증심사입구역, 상무역, 화정역, 공항역, 평동역 등 지하철 1호선 내 12개역에 120여 대를 비치했다.

일단 시민들 반응은 좋다. 지하철 무료 자전거 이용률은 사업 초기 20~30%에 머물다가 최근 60%대로 늘었다. 광산구 관내 각 동사무소에 비치된 무료 자전거에 대한 반응도 괜찮은 편이다.

주부 김모(35·광산구 도산동) 씨는 “걸어가기에는 멀고, 그렇다고 택시를 타기에도 애매했던 적이 많았는데 동사무소 무료 자전거를 이용하면서부터는 그런 고민을 않고 있다”며 “돈도 아끼고, 시간도 절약돼 무료 자전거를 종종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전거 공공 임대가 자전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는 것만은 사실인 셈이다.

하지만 보완해야 할 부분도 아직은 많다. ‘빌린 곳에 반납할 수밖에 없는’ 자전거 임대제도의 현실적 한계다.

현재 지하철 무료자전거 반납은 꼭 빌린 역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사업 초기 ‘빌린 역에 반납’이 원칙이었지만, 지난해 11월부터는 빌린 역에 상관없이 아무 역에나 반납 할 수 있도록 원칙을 바꿨다. 그러나 현실은 좀 다르다. 분실 등 관리상의 이유로 빌려주는 역에서 ‘빌린 역에 반납’을 이용객에게 강요하는 탓이다. 또 까다로운 자전거 대여 방법도 이용객들이 어쩔 수 없이 빌린 역에 반납할 수밖에 없게 하는 구조다. 자전거를 빌리려면 주민등록증이나 학생증 등 신분증을 맡겨야만 가능하기에, 다른 역에 반납하더라도 신분증을 되찾으려면 애초 빌린 역에 들르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이용객들이 빌린 역에 자전거를 반납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이다. 광산구의 상황도 비슷하다.

때문에 자전거 공공임대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여절차 간소화 등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광주시가 자전거를 임대해주는 자전거 역을 시내 곳곳에 설치하는 등 자전거 공공 임대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지하철역과 광산지역 동사무소 등 특정지역 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시내 어느 곳에서나 자전거를 빌려타고 이용하다 목적지에서 반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런 면에서 프랑스 파리시의 공공 임대 자전거인 ‘벨리브(Velib)’와 비슷한 ‘공영자전거 임대제도’를 도입하려는 서울시는 좋은 본보기다.

홍성장 기자 hong@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