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자전거 타요]
“자치구 안마당 장식품 탈피 실효성 높여라” 주문

▲ 서구청사 한 켠에 보관돼 있는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적어 먼지만 쌓이고 있다. 지하철 투입 등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시급하다.

현재 공공자전거 중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은 지하철 자전거다. 2006년 75대로 시작, 2007년 60대를 보강했으니 현재는 135대가 15개 역에 분산 비치돼 있다.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2년 여가 넘어가면서 자전거가 ‘고물’이 돼가고 있는 것.

“여러 사람이 사용하고, 주인의식이 부족하다보니 고장이 잦다.” 광주도시철도공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수리비나 새로 구입할 예산은 없다.

당초부터 도시철도공사는 ‘관리자일 뿐’이라는 한계를 분명히 했던 터. 경영을 평가 받는 공사가 본연의 사업이 아닌 자전거에 예산을 쓸 수 없다는 논리다.

그렇다면 수리와 보강은 누가 책임져야 하나?

도시철도공사 측은 “광주시가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올해 시가 자전거 관련 예산으로 편성한 13억 여 원의 활용을 주문함이다. 하지만 시는 관련 예산을 ‘자치구의 자전거 활성화 지원’으로 못박을 심산이다.

그래서 거론되는 것이 자치구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자전거의 일정 규모를 지하철에 투입하는 방안. 활용도가 높은 지하철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자는 취지다. 노후화된 지하철 자전거의 보강이라는 의미도 있다. 또 자치구보다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활용, 분실이나 고장을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거론되기도 한다.

현재 자치구의 공공자전거 관리는 부실하기 짝이 없다.

광산구 한 공공건물의 경우 지난해 5대의 공공자전거가 비치됐으나 4대를 분실하고, 현재는 1대만 남아 있다. 자전거 대여시 신분증을 제출받지 않고 확인만 하고 돌려주는 시스템이 ‘관리공백’을 키웠다는 의견이 많다.

반면 지하철 자전거의 분실은 2년 여 동안 단 1대에 불과했고, 이 역시 대여자가 대물변상한 바 있다. 공사 측은 “대여시 신분증을 보관했다가 반납시 돌려주는 ‘엄격한 관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남구를 제외한 4개구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자전거 400여 대는 먼지만 뒤집어 쓴 채 각 청사에 묶여 있다.

“날씨가 추워 이용 시민이 적다. 하루에 2~3명 정도 이용하는 것 같다”는 게 구청 측의 설명이다.

지하철 자전거 이용객은 꾸준하다고 한다. 공사 측은 “계절적인 요인이 없다고 할 순 없지만, 고정적인 출퇴근자들은 자전거를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따라서 자치구들이 ‘안마당 전시행정’을 펼칠 심산이 아니라면 공공자전거를 지하철에 투입시키라는 주문을 새겨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시철도공사 측은 “조만간 이런 의견을 공식적으로 전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자치구의 대응이 주목된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