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조세훈 사무국장

 원주 로컬푸드 운동의 중심에 있는 이, 친환경급식지원센터와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의 조세훈 사무국장이다.

 로컬푸드 운동이 왜 필요한지, 앞으로 원주의 계획은 무엇인지 더 깊이 있게 들어봤다.

 “여러 품목들이 원주에서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가락동 시장을 경유해서 재반입된다. 지역에서 직거래가 가능한 시스템이 만들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들어오면서 지금의 농산물들은 돈이 되는 상품을 중심으로 대규모, 단작화되어 있고, 수도권 중심의 물류체계로 인해 더 많은 유통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가격 상승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화석연료를 더 쓰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원주의 주요 품목별 지역자급 비율이 조사된 것도 이례적인 일. 직접 연구를 수행해 나온 소중한 자료인데, 다른 지역의 경우 로컬푸드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원주푸드 육성 조례가 제정되는 등 한발짝 나아갔지만 조 국장은 “갈 길이 멀다”고 했다.

 “해울미 쌀 200톤을 공급하고 있지만 사실 굉장히 적은 양이다. 학교급식 뿐만 아니라, 군대, 공공기관 등의 급식, 식품가공업체, 음식점 등 공급돼야 할 곳이 많다. ‘지역식량계획’ 등 우리가 큰 얘기를 하고 있긴 한데 아직은 성과가 미비하다. 그러나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러 생협 단위들이 있고, 또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 하고 있어 이렇게 가다 보면 하나 하나 풀려갈 것 같다.”

 원주한살림의 경우 지역 여성농민들이 만든 두부 등을 지역매장에서 판매하고 원주생협 매장엔 ‘지역농산물’ 코너 등이 마련돼 있다. 또 원주생협 단구동 매장에선 매주 금요일 생산자가 직접 물품을 판매하는 농민장터가 열리고 있다.

 원주 내에서만 로컬푸드를 활성화할 수 없다는 것을 조 국장은 잘 알고 있다. 지역에서 생산가능한 품목들이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생산과 소비 구조를 어느 정도 맞추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실제 주변 횡성군까지 포함하면 32개 품목 원주 지역 자급률은 111.4%다.

 “원주에선 고구마, 복숭아 등의 재배율이 매우 놓은데 이런 편향된 재배구조를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원주푸드 육성 조례에도 그 근거가 마련돼 있는데 지역식량계획이 마련되면 농민들도 보다 다양한 품목으로 안정된 가격을 보장받으면서 농사를 지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계약재배’인데 전체의 10%만이라도 대안적 유통시스템이 들어가게 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다. 또한 원주는 그간 원주 주변 도시를 공동화시키면서 커 왔다. 인근 지역이 버티게 하려면 평창, 영월, 횡성 등의 농민들이 농사 짓고 살 수 있게끔 관계를 맺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는 마지막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먹을거리는 거래, 상품이기 이전에 가장 기본적인 권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때문에 공공이 책임을 갖고 행정의 계획이 들어가야 한다. 지역 단위의 구체적 소비량을 확인조사하고 친환경 지역 먹을거리를 확대하려는 지자체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지금처럼 모자라는 품목은 수입해 오면 되고, 총량, 전국 개념으로 대충 생산과 소비가 맞춰지면 되겠지 하는 접근은 이제 없어져야 한다.”

 조선 기자 s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