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달라도 너무 다른…]광주지역 풍향계

 광주신세계 ‘랜드마크 복합시설’ 건립 사업으로 대두된 복합쇼핑몰의 지역상권 침해는 오래된 문제다. 이런 상황이어서 이번 건은 광주의 복합쇼핑몰에 제동을 걸 ‘전초기지’가 될 것인지, 확장의 발판이 될 것인지 ‘갈림길’로 해석되고 있다.

 21일 ‘재벌복합쇼핑몰·아웃렛 출점저지 전국비상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한국체인스토어협회가 집계한 전국 복합쇼핑몰 및 프리미엄 아울렛은 총 72곳이다.

 성장 한계에 부딪힌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대안으로 유통대기업들이 복합쇼핑몰 확대에 공을 들인 결과다.

 기존 대형마트나 일반 아울렛과 비교가 안 되는 ‘대형화’, 다양한 시설의 집적화를 통한 ‘체류형’ 소비 패턴을 유도하는 마케팅의 산물이 복합쇼핑몰인 셈이다.

 여기에 입점이 추진되고 있거나 추진될 예정인 복합쇼핑몰이 20여 개로 파악되고 있다. 경기도 시흥, 고양시, 용인, 전북 군산, 서울 장지동 등은 올해 새 복합쇼핑몰 및 프리미엄 아울렛이 문을 예정이다.

 복합쇼핑몰은 도시 인프라, 지자체 개발사업과 맞물려 본격 확대되기 시작했다.

 현재 복합쇼핑몰이 추진 단계에 있는 곳중 지자체가 유치에 나선 것은 광주시와 부천시가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두 곳 모두 ‘신세계 복합쇼핑몰’이 추진 중인 곳이다.

 지난 2015년 신세계와 ‘랜드마크 복합시설 개발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광주시는 특급호텔과 면세점이라는 ‘관광 인프라’를 명분으로 내세운 바 있다.

 면세점 유치는 유야무야됐으나, 광주시와 신세계는 여전히 “특급호텔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부천의 경우 신세계가 영상문화산업단지 1단계 개발의 민간 사업자로 뛰어들어 백화점 등을 포함한 복합쇼핑몰을 추진하고 있다. 두 곳 사업 규모를 축소(부천 50%, 광주시 40%)했지만 지역 상권의 반발은 여전한 상황이다.

 전국적으로 복합쇼핑몰 관련 대책위들과 결합해 공동 대응하고 있는 대책위는 광주를 “향후 복합쇼핑몰 저지 투쟁에 있어 중요한 요충지” 중 한 곳으로 보고 있다.

 더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광주신세계 복합쇼핑몰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사업 재검토’를 광주시에 요구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신세계광주복합쇼핑몰입점저지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광주는 이미 대형마트와 대기업 아울렛 등으로 지역상권이 상당한 피해를 입어왔다”며 “여기에 초대형 복합쇼핑몰까지 들어올 경우 지역 중소상공인들이 설 자리는 사라질 것이다”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