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내버스 식비 3250원서 ‘식재료비’ 비율 고무줄
운영위, 2050원서 입찰 무산되자 150원↓ 운전원들 피해
운영비에 붙여 업주들 달래기… “충분치 않다” 핀잔만

▲ 광주시와 사업조합이 시내버스 식사 질 개선을 위해 식재료비를 인상했으나, 낮게 책정된 업주들의 운영비를 보전하기 위해 끼니당 150원을 깎아 논란이다. 사진 특정 사실과 관계없음.
 광주 시내버스 식사 질 개선에 나선 운영위원회의 3250원(끼니당) 쪼개기 꼼수가 놀랍다못해 안쓰럽다. 당초 운영위는 식재료 2050원+운영비 1200원으로 구성해 사업자를 모집, 7월부터 바뀐 제도를 적용하려 했다. 하지만 “운영비 1200원으론 전기세·수도세·인건비 등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업주들의 반발<본보 4월27일자 ‘광주시내버스 밥값, 운영비의 함정>로 2차례에 걸친 사업자 공모가 무산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대책 마련에 나선 식당운영위원회가 식재료비 항목서 150원을 떼다 운영비에 붙이는 처방을 내놨다. 시내버스 식사질 개선을 위해 TF팀까지 꾸리고, 끼니당 2050원은 식재료비 외에 쓸 수 없도록 별도 관리하겠다던 광주시와 사업조합측의 의지가 한 달도 안돼 사실상 단가(1900원) 인하로 후퇴한 셈이다.

 끼니당 150원을 더한 운영비(1350원) 역시 식당 업주들의 마음을 돌리기엔 미흡한 수준이어서, 향후 진행될 입찰 역시 성사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운전원 식사 질 개선과 식당 운영자 찾기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5일 광주시와 시내버스사업조합, 노동조합 등 관계자로 구성된 식당운영위원회에 따르면, 기종점 식당 운영자 모집 공고가 2차례에 걸쳐 유찰되면서 식재료비에서 150원을 줄여 운영비에 붙이는 안이 지난 12일 표결 끝에 운영위원 4:3으로 가결됐다. 광주시가 식사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출범시킨 식당운영위원회는 사업조합측 3, 노조측 3, 그리고 광주시 1명등 총 7명으로 구성됐다.

 표결에 앞서 노조측 운영위원들은 “시나 사업조합에서 재원을 더 마련해 운영비를 추가하자”고 주장했으나, 광주시와 사업조합 측 위원들은 “이미 결정된 한끼 식사비 3250원에서 더 올릴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어 “(앞서 밝힌)식재료비 2050원·운영비 1200원은 확정된 게 아니었다”며 “기존 식당의 계약이 만료되는 6월까지 새로운 업주 모집이 유찰되지 않도록 부득이하게 변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조측은 씁쓸한 표정이다. “식재료비를 깎아 운영비에 더하는 건, 상대적 약자인 운전사들과 식당 점주들 간 이권싸움을 부추기는 것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식당 운영자들 역시 “(150원이 인상되면)한 끼 식대 2800원인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운영비를 확보하게 된다곤 하지만, (식재료비 별도 관리 등)지원비 운영 융통성 부족, 2년 후 재계약 불투명성, 높은 수준의 전세금(2년간 총매출 예상 금액의 10%) 등을 고려하면 입찰에 응할 메리트가 크지 않다”는 분위기다.

 아울러 식당 점주들과 노조측은 입찰이 연거푸 무산되고 있는 현 상황과 관련, “TF팀이 개선안을 만들 때 충분한 사례 연구가 부족했고, 식당의 실정 파악에도 미숙했다”면서 “때문에 밥값 총액을 3250원으로 정하고 짜맞추다보니 현실성이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한마디로 “운영비 책정을 위한 사전 작업인 기종점 식당 실태 조사가 미흡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기종점 식당 운영에 대한 실태 조사 당시, 운영자의 지출 내역으로 인건비와 각종 공과금을 산정해 운영 이익금을 계산했다”며 “이외 부가가치세나 소모형 비품비, 수리비, 각종 보험료 등은 식당 점주들 답변에 의지해 조사해야 해 신빙성이 떨어지고, 실상 지출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제외했다”고 밝혔다.

 이렇다보니 시는 “운영비 1100원으로도 식당 영업을 해왔던 것으로 파악했으며, 때문에 개선안은 운영비를 1200원 원대로 계산해도 식당 업주의 이익이 350만~40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식당 점주와 노조 측은 “말도 안되는 추산”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광주지역 시내버스 기종점 식당 입찰 대상은 5개 그룹이며, 현재 업주의 계약기간이 끝나는 6월까지 새로운 낙찰자가 확정되지 않으면 식당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사업조합 측은 “추후 상황을 지켜보며 식당운영위원회 논의를 통해 협의점을 도출해나갈 것”이라는 입장이고, 시는 “낙찰자가 선정되지 않으면 도시락 공급 등 차선책을 고려할 것”이라는 분위기다.

양유진 기자 seoyj@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