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록관 보관 `검은 현판’·우승희 도의원 확인 ‘총탄 현판’
작년 본보 취재 당시, 도청 “기록 없어, 현판 존재 모른다”

▲ 지난해 10월 공공기록물로 지정된 ‘전남도청’ 현판(전남도청 기록관 보관·왼쪽)과 지난해 4월 이강갑 씨가 5·18기록관에 보관 의뢰한 ‘전남도청’ 현판.
 5·18 당시 전남도청에 걸려 있던 현판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청이 현판의 존재를 알고도 묵인해왔다는 사실은 도청 원형 보존 요구와 맞물려 비판이 더해진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현판 말고도 ‘전남도청’이 새겨진 현판은 또 있다.

 본보가 지난해 취재한 ‘전남도청 현판 10년 수난 어이없는 문화 광주(2016년 10월14일자 보도)’에 따르면, 시민 이강갑 씨가 도청 별관 창고에서 발견한 현판을 5·18기록관에 보관 의뢰했다.

 도청 보존 대책위가 현판의 존재를 알고 확인을 요청해 이를 확인한 우승희 전남도의원이 이번에 공개한 건 이완 다른 현판이다. 지난해 본보 보도 이후인 10월17일 전남도청이 기록물로 지정해 보관 중이라는 사실이 새롭게 알려진 것.

 이로써 공식 확인된 전남도청 현판 두 개. 도청 이전 10여 년 만에 세상의 드러난 것이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두 현판 모두 시민사회의 눈에 띄어 존재가 확인됐고 드디어 역사적 보존이라는 전환점을 맞게 됐다는 것.

 하지만 보관 과정은 의문점이 한둘 아니다.

 우선 전남도청은 왜 이제야 현판의 존재를 인정했는가다. 7개월 전 본보가 도청 현판 관련 질문을 던졌을 때만해도 ‘모른다’였다. 취재 대상이던 ‘검은 현판’은 물론이고 도청 이전 당시 인계받은 현판의 존재도 확인해주지 않았다.

 당시 본보와 통화한 전남도청 관계자는 “도청 이전 과정에서 인계 받은 시설 가운데, 현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록물 대장에 현판이 없는데다 긴 세월이 지나 어떤 직원도 해당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답한 바 있다.

 하지만 우승희 의원에 따르면, 도청은 수장고에 있던 도청 현판을 지난해 10월17일 ‘행정박물 2016-122’ 공공기록물로 지정하고 도청 5층 기록관에 보관 중이었다. 기록물 지정은 검은 현판 보도가 나가고 나흘 여가 지난 시점에 이뤄졌다.

 이와 관련해 23일 전남도청 관계자는 “현판은 원래 보관하고 있었고, 수장고 기록물로서 관리 부서가 회계과에서 기록관리팀으로 옮겨지며 기록물 지정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현판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는 지적을 반박했다.

 도정질문을 통해 현판 원형 보존을 제안한 우승의 의원은 “이전에 도청 현판이 어떤 방식으로 보존되고 있었는지 정확히 확인할 순 없지만, 수장고 이전으로 기록물 지정이 이뤄진 것은 사실로 안다”면서도 “짐작컨대, 지난해 언론 보도와 도청 보존 대책위의 요구가 도청 현판이 세상으로 나오는 계기가 된 것만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공개된 현판은 현판의 글씨체나 색채 등이 1980년 5월 전남도청 정문을 찍은 사진과 대조해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만약 도청 현판의 총탄 자국으로 추정되는 흔적 등이 5·18 당시의 것이라면, 옛 도청 복원의 상징물이자 역사적 사료로 가치를 지니게 된다.

 한편 지난해 4월28일 5·18기록관에 보관 중인 검은색 현판 발견자 이강갑 씨는 아시아문화전당 공사 과정에서 현판을 발견한 이후 4년 동안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었다.

 발견 장소는 도청 별관으로 2005년 10월 전남도청이 전남 무안군 남악으로 청사를 이전하며 떼어내져 도청 별관 창고에 방치돼 온 것으로 추정된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