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공항 이전론’ 역풍에 후보지 물색 중단

▲ 무등산 정상 개방 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의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광주드림 자료사진>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현장 실사가 지난 14일 종료된 가운데, 답보 상태에 놓인 무등산 정상 군부대 이전 문제가 언제쯤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무등산 정상 방공포대(공군 1여단 제 8331부대) 이전 논의는 지난 1월 후보지 물색을 위한 자문단의 첫 회의를 끝으로 중단된 상태다.

 군공항, 동곡동, 서창동 용두마을 등 후보지 3곳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본격화되자 광주시는 모든 논의 과정을 원점화하고, 3개 후보지에 대해서도 재검토에 들어갔다.

 하지만 그 이후로 아무런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벌써 6개월째다.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상황도 ‘대기’ 상태를 지속하는 이유가 됐는데, 대선 이후엔 국방부장관 교체와 이에 따른 후속 인사 등을 예상해 논의 재개를 미뤘다.

 당초 지난 3월 이전 후보지를 선정해 국방부에 건의하려던 광주시였지만 올해의 절반이 훌쩍 지나도록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인 셈이다.

 방공포대 이전 관련 국비 15억 원(설계비)의 미집행 기간도 늘어나고만 있다.

 

 ▲국방부 조직개편·군공항 이전 등 변수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의 장기 표류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인증 악영향, 무등산 정상부의 생태 복원 지연 등도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가 더해지고 있다.

 일단 송영무 신임 국방부장관이 지난 14일 취임하면서 논의 재개 단초는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는 방공포대 이전을 담당하고 있는 국방부 실무 부서의 인사 교체 등을 지켜본 뒤 조만간 국방부와의 실무 논의를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19일 발표될 예정인 ‘100대 국정과제’에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이 포함될지 여부도 중요한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방공포대 이전이 군공항 이전과 맞물려있기 때문으로, 광주시는 “군공항 이전 후보지가 선정되고 속도를 내면 방공포대 이전 문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그렇다고 무작정 군공항 이전이 가시화될 때까지 지켜볼 수만은 없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임시로라도 무등산 방공포대를 조기에 정상에서 내리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다”고 강조했다.

 방공포대를 군공항으로 이전한 뒤 군공항을 이전할 때 함께 옮기는 방안이 거론됐던 것도 이때문이었다.

 

▲시 “조기 이전 목표, 연말까진 진전”

 

 문제는 ‘임시 이전’을 위한 후보지가 마땅치 않다는 것.

 이미 시가 검토하고 있던 후보지 3곳은 모두 인근 주민들이 ‘이전 반대’를 천명한 상태다.

 광주시가 당장 논의 자체를 시작하더라도 결국 이러한 문제를 풀 대안을 찾지 못하면 결국 같은 상황이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

 지역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조속한 방공포대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가 이에 대한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우선 이 관계자는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과 관련해서는 다각도로 재검토를 하고 있다”며 “시간 지연이 연말까진 가진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방공포대 이전이 지연되고 있지만, 이전한다는 것은 기정사실화돼있기 때문에 세계지질공원 인증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무등산 방공포대는 1966년부터 무등산 정상부에 주둔하기 시작했다. 방공포대가 점유한 정상부 면적은 10만8147m², 포장재 설치 면적은 1만8864m²로 포대 및 초소, 헬기장, 주차장, 건물 15개와 컨테이너 20여 개가 설치돼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