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0% 이상 줄고, 과태료 문제 여전
“온전한 정착 위해 지속 관심, 노력 필요”

▲ 지난 22일 ‘이전’ 1년이 돼가는 상무금요시장을 찾은 주민들이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있다.
 상무금요시장이 상무시민공원으로 옮겨간 지 1년이 됐다. 광주 서구청과 존폐를 둘러싼 갈등으로 8개월여 홍역을 치렀던 금요시장이 건재를 알리는 ‘첫 돌’인 셈이다.

 그러나 긴 시간 싸움으로도 지켜내지 못한 것들을 마주해야 했던 1년은 상인들의 마음을 여전히 짓누른다.

 “손님이요? 반토막이 났지라. 아무래도 걸어 오시기엔 멀어졌는께요. 예상은 했던바지만, 단골손님들까지 안 뵈니 젤로 거시기 하단께요.” 상인들은 평균 30~40% 정도 매출 차이를 보인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금요일마다 만나 이웃처럼 지내던 단골손님들이 발길을 끊어가는 게 가장 한스럽다고.

 금요시장은 상무지구 택지조성 시기인 20년 전, 직거래 장터로 생겨났지만 건물들이 신축되면서 입지가 좁아졌고 250여개의 노점 형태로 명맥을 이어왔다. 그러다 지난해 2월 서구청이 ‘금요시장 폐쇄’를 위해 단속에 나서면서 금요시장을 지키려는 상인들과 8개월간 대치했다.

 과태료 부과, 펜스 설치 등 서구청의 강경 대응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서구청이 타협안으로 제시한 시민공원으로의 이전이 결정됐다. 아파트 단지와 인접해 있던 금요시장이 최대 1km 이상 멀어지면서 가장 우려했던 손님 감소가 현실화 된 것이다.
 
▲매출 평균 30~40% 떨어져 

 서구청이 이전 조건으로 약속했던 화장실, 수도 및 전기시설 등 기본시설 확충, 금요일 차 없는 거리 지정 등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당시 상인들은 시장이 고사될 가능성을 제기했고, 구청은 ‘풍물시장 조성’을 약속하며 상인들의 반발을 잠재웠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과제들도 적지 않다.

 “구청이 금요시장 단속할 때 과태료를 엄청 때렸잖아요. 그때 부과된 과태료를 내라고 하니 깝깝할 노릇이에요. 우리 쫓아내려고 매긴 과태료인데, 구청 뜻대로 이전을 했는데도 변한 게 없다니요.”

 구청이 상인들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과태료를 2~3차례 부과했던 금액 가운데 절반이 금요시장이 자리를 옮긴지 4개월 만에 재청구 된 것이다. 많게는 수백만 원의 과태료 딱지를 받은 상인들도 있다.

 상인들이 억울한 이유는 구청과의 상생협약 전 협상 과정에서 구청 책임자가 과태료 해결을 약속한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과 함께 시작된 ‘노점실명제’도 상인들의 발목을 잡는다. 서구청은 노점마다 판매물품과, 노점주인의 성명 등을 게재한 간판을 걸었는데, 구청이 노점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는 게 상인들의 주장이다.

▲“서구청, 실명제 악용 규제 강화”

 “금요일 빼고 다른 날엔 다른 데서 장사를 해야 먹고 살 것 아녜요. 근데 구청이 상인들 개인정보를 다 갖고 있기 때문에 단속과 과태료 부과가 더 쉬워졌어요. 노점실명제 때문에 판매 품목을 바꾸려면 구청 허가가 있어야 하고요.”

 흩어져 있던 노점이 한데 모이다보니 동일품목 간 눈치싸움이 치열해졌다. 품목을 바꾸고 싶어도 쉽지 않으니 감정의 골만 깊어지는 상황. 먹을거리 외에 의류와 공산품 같은 품목들은 고사하고 빠진 노점만 올해로 2~3곳이다

 그래도 금요시장을 애용하는 주민들은 “(금요시장이) 살아서 다행”이라며 변함없이 발길을 한다.

 “전보다는 이용 횟수가 줄긴 했지만, 신선하고 저렴한 식료품을 살 수 있어서 자주 찾고 있어요. 금요시장이 사라질까 노심초사 했거든요. 이렇게 살아줘서 고마워요.”

 양손 가득 찬거리를 사들고 집으로 향하는 인근 주민의 발걸음이 가볍다.

 금요시장은 추석 명절을 맞아 오는 10월2일 임시장을 열고 손님들을 맞을 계획이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