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면담서 5·18재단, 법무부 긍정적 입장 확인
내주 비공개 현장조사, 이르면 이달 말 발굴 착수

▲ 5·18 암매장지 발굴 조사 추진되고 있는 옛 광주교도소(북구 문흥동) 입구.<광주드림 자료사진>
옛 광주교도소(북구 문흥동) 일대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지 발굴 조사가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1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이날 법무부와 면담을 갖고 광주교도소 안팎에 대한 5·18암매장지 발굴 조사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최종적인 허가 여부는 밝히지 않았지만 법무부가 긍정적 입장을 밝혀, 사실상 조사에 나설 길이 열리게 됐다.

5·18기념재단 김양래 상임이사는 “면담을 통해 발굴 조사를 위한 준비사항을 설명했고, 이를 통해 법무부가 가지고 있던 의문도 해소됐다”며 “긍정적 분위기에서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이날 논의 내용을 박상기 법무부장관에 보고, 다음 주 안으론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조사 시기와 관련해 5·18기념재단은 다음 주 중 비공개로 현장조사를 진행한 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굴 조사 시기를 정할 계획이다.

이르면 이달 말 발굴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2009년 이후 8년 만에 5·18 행방불명자들을 찾기 위한 4차 발굴 조사가 본격화되는 것이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민중항쟁 당시 제3공수여단이 주둔한 곳이다.

5·18 이후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광주사태 진상조사’에는 광주교도소에서 27명(보안대 자료에는 28명)의 시민들이 사망했다고 기록됐다. 하지만 실제 수습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해 5·18기념재단과 5·18단체들은 16~17구의 시신이 버려졌거나 암매장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최근 광주교도소 밖 암매장지가 약도로 표시된 제3공수여단 부대원의 메모를 확보했다.

교도소 내 시신들을 암매장하는 걸 목격했다는 증언도 나와 교소도 안팎으로 발굴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이후 5·18암매장지로 추정된다는 제보가 접수된 2수원지, 화순 너릿재 지역에 대해서도 발굴 조사를 계획하고 있다.

한편, 5·18행방불명자를 찾기 위한 암매장 발굴은 2002년 6월~2003년 5월 광산구 소촌동 공동묘지, 광산구 삼도동, 2006년 2월~2007년 12월 문화예술회관 관리동 뒤편 화단, 북구 장등동 야산, 2008년 8월~2009년 4월 남구 주월동 아파트 건설현장, 북구 효룡동 등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진행됐지만 이렇다할 성과는 없었다.

1980년 5월23일 계엄군이 동구 주남마을에서 버스를 무차별 사격해 시민들을 학살한 뒤 시민 2명을 산으로 끌고 가 살해한 뒤 암매장한 것만 확인된 상태다.

광주시에 따르면, 5·18 당시 가족이 행방불명됐다는 신고는 중복 포함 448건이 접수됐고, 행방불명자로 인정된 것은 현재까지 82명이다.

이중 6명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원을 확인한 뒤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