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 23일 기자회견
발굴 방식·시기, 전담팀 등 설명

▲ 5·18기념재단이 지난 18일 옛 광주교도소 인근 5·18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장소를 살펴보고 있다.<5·18기념재단 제공>
옛 광주교도소(북구 문흥동)에 대한 5·18암매장 발굴 계획이 곧 공개된다.

5·18기념재단은 23일 재단 시민사랑방에서 옛 광주교도소 5·18 암매장 발굴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지난 18일 비공개 현장 조사를 진행한 5·18기념재단은 기자회견을 통해 발굴 장소와 시기, 발굴 방식 등 계획을 공개한다.

5·18기념재단 김양래 상임이사는 “발굴 범위가 사실상 교도소 외곽 쪽으로 정리가 됐다”고 밝혔다.

광주교도소 내 옛 농장터가 우선 발굴 대상이다.

5·18 당시 재소자가 증언한 장소와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부대원 메모에 그려진 약도에 표시된 장소가 일치하다는 점을 토대로 발굴 범위를 결정했다.

지난 20일에는 원활한 발굴을 위한 제초 작업이 진행됐다.

가장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발굴 시기와 방식이다.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조사와 관련한 가닥이 잡히면 5·18기념재단은 발굴팀을 구성할 예정이다.

앞서 법무부가 제안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최첨단 장비 동원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론을 내리진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선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상임이사는 “(법무부 제안에 대해선)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발굴을 통해 유해 발견되면 법의학, 치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해 신원을 확인한다.

5·18 당시 3공수여단이 주둔한 옛 광주교도소는 이전부터 5·18 암매장 장소로 지목돼 왔다.

5·18 이후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광주사태 진상조사’에는 광주교도소에서 27명(보안대 자료에는 28명)의 시민들이 사망했다고 기록됐다. 하지만 실제 수습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해 5·18기념재단과 5·18단체들은 16~17구의 시신이 버려졌거나 암매장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의 성과 여부에 따라 추가 발굴조사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5·18기념재단은 시민 제보 등을 통해 2수원지, 화순 너릿재 등도 암매장이 이뤄졌을 것으로 보고, 이후 발굴 조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