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 동물인식 국민 조사 결과
애완동물→반려동물로 인식 변화

2일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2018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국민의 동물보호 의식 수준과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조사에 비하면, 반려견 안전관리(개물림 사고 예방, 유실?유기 예방), 동물복지축산농장 축산물 구입여부에 대한 2개 항목을 추가돼 24개 항목에 대해 조사가 이뤄졌다.

▲반려동물 보유실태

이에 따르면,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23.7%로,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는 약 511만 가구로 추정된다. 이 중 개를 기르는 가구가 18%(507만 마리)로 가장 많았고, 고양이가 3.4%(128만 마리), 토끼, 새, 수족관동물 등을 기르는 가구는 3.1%로 추정된다.

언론기사 등 주제어 분석 결과,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데려올 때 “지인에게서 무료로 분양 받았다”는 응답이 50.2%로 가장 높았다. 펫샵에서 구입(31.3%), 지인에게서 유료로 분양받음(10.8%), 길거리에서 유기동물 데려옴(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엔 길거리에서 데려와 양육하는 비율이 20.6%로 높은 비중 차지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데 소요되는 비용(사료비, 미용, 동물병원 진료비 등)은 월 평균 10만원 미만을 지출한다는 응답이 66.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개의 경우 월 평균 9만6000원, 고양이는 6만7000원을 지출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전체 월 평균 지출은 8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기르는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처리 계획에 대해서는 반려동물 장묘시설을 이용해 처리하겠다는 응답이 55.7%로 가장 높았으며, 주거지?야산 매립(35.5%), 동물병원에서 처리(8.5%)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동물등록제 인식

반려견 동물등록제가 2014년 7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이후, 기르고 있는 반려견을 등록하였다고 50.2%가 응답했다.

동물등록을 하지 않은 이유로는 등록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라는 응답이 49.7%로 가장 높았으며, 등록제도를 알지 못하여서(31.4%), 동물등록방법 및 절차가 복잡해서(15.8%) 순으로 나타났다.

동물등록 방식에 대해서는 내장형 마이크로칩 일원화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61.6%로 현행 선택방식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응답(38.2%)보다 더 높았다.

반면, 반려동물 양육층(49.9%)은 비양육층(34.6%)에 비해 현행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반려견 목줄 착용 등 소유자 준수사항

반려견과 동반해 외출할 경우에는 인식표 및 목줄 등을 착용하고 배설물을 수거해야 하는 등 준수사항 이행여부에 대해서는, 준수사항을 잘 지키고 있다는 응답이 79.9%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준수사항을 지키지 못한 이유로 반려견이 목줄 착용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응답이 40.9%로 가장 높았으며, 준수사항을 지키는 것이 귀찮아서라는 응답도 25.7%였다.

개 물림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목줄이나 입마개 착용 등 안전관리가 부실할 경우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56.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맹견 소유자 정기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16.1%)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려동물 양육층은 비양육층에 비해 맹견 소유자의 정기교육 의무화를, 비양육층은 안전관리 부실시 처벌강화를 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동물, 길고양이에 대한 인식

유실 또는 유기되는 동물을 예방하기 위한 우선사항으로, 동물을 버리는 소유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39.8%로 가장 높았으며, 미등록 소유자 처벌 강화(31%), 동물입양절차를 까다롭게 해야 한다(16.5%) 등 순으로 응답했다.

이밖에 동물 생산/판매업 규제를 강화(8.3%), 중성화 수술 비용 정부 지원(4.3%) 등 의견이 있었다.

그리고 양육층은 비양육층에 비해 유기자 처벌, 동물생산업 규제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 반면에, 비양육층은 동물 미등록 소유자 처벌강화를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 중인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87.7%를 차지했다.

반면, 유기동물 입양하지 않는 이유로 질병에 걸려있을 것 같아서(37.7%) 응답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새로운 집에 적응시키기 어려울 것 같아서(31.1%)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해 중성화 수술 후 방사하는 TNR 정책에 대해서는, 매우 찬성 23.2%, 찬성하는 편이 57.1%로 응답자 10명 중 8명(80.3%)이 TNR 정책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TNR 정책에 반대하는 이유로 중성화는 하되 방사하지 말고 보호센터에서 보호해야 한다는 응답이 40.5%로 가장 높았으며, 중성화 수술은 동물학대이므로 인위적 조치 없이 그대로 두어야 한다(29.7%) 등 순으로 나타났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동물복지 인증 제도에 대해 응답자 중 24.2%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증제도 인지 응답자 중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58.2%로 나타났다.

또한, 복지 축산물 구매 경험자에게 일반 축산물과의 차이에 대한 설문에서 안전성이나, 위생 등 품질이 더 나았다는 응답이 48.7%로 가장 높았으며, 별다른 차이를 못 느꼈다(28.5%), 동물복지에 기여한다는 보람이 있었다(25.3%)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일반 축산물에 비해 비싼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구매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59.9%로 구입 의향이 없다는 응답 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가격이 비싼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입하고자 하는 이유로 영양, 품질 등이 우수할 것 같아서 응답이 49.4%로 가장 높았으며, 국가가 인증한 축산물에 신뢰가 가서(27.5%), 내가 지불한 비용이 동물복지에 보탬(23.1%)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입할 경우 어느 정도까지 추가 지불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반 축산물 보다 최대 20%까지의 응답이 67.5%를 차지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는 동물등록 제도의 장기적 방향 설정, 유실?유기동물 예방,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농장동물복지 등 동물보호?복지 정책 수립에 활용될 계획이며, 향후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수준 향상 및 공감대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검역본부는 이번 조사는 2017년 국민의식 조사 시 전화조사(22문항, 표본 5,000명)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조사방식에 따른 답변 양상 등을 참고하기 위해 조사방식을 변경(대면 면접조사, 표본 2,000명)해 진행한 결과로 전년도 결과와 직접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