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업체 화재에 2자원화시설 과부하
하루 처리량 100톤 가량 줄어
아파트 수거 지연

정상화 최대 20여 일 예상…시 “최대한 앞당길 것”

▲ 서구 유덕 제2음식물자원화시설 전경.<광주환경공단 제공>
광주SRF시설 가동 중단으로 광주지역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음식물자원시설에 이상이 생기면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하루 처리가능한 쓰레기 양이 줄면서 일부 공동주택은 음식물쓰레기 수거가 잠정 중단되거나 지연된 상태다.

문제 해소에는 최대 20일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돼 주민들의 불편이 우려되고 있다.

14일 광주시, 광주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서구 유덕 제2음식물자원화시설에 과부하가 발생했다.

음식물쓰레기를 고체 사료로 만들고 나서 발생하는 폐수(음폐수)를 처리하는 시설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유적 2자원화시설은 하루 300톤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데 광산구 제1음식물자원화시설(하루 150톤 처리 규모)이 지난달 20일부터 6월8일까지 정기보수에 들어가면서 이 기간 쓰레기 처리량이 360톤, 400톤까지 늘어나 소화조에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6일부터 18일까지 정기보수를 마친지 얼마 되지도 않아 벌어진 일로, 2자원화시설은 정상 가동이 어렵게 돼 지난 11일부터 긴급 보수에 들어갔다.

11일부터 22일까지 1차가 진행되고, 이후 24일부터 7월6일까지 2차 보수가 이뤄진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량도 일 300톤에서 200톤으로 줄인 상태다.

광주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450~500톤 정도로, 우선적으로 공공시설인 제1, 제2자원화시설에서 처리하고 남는 쓰레기는 민간업체에 처리를 맡겨왔다.

문제는 지난 4일 성주환경(150톤 규모)에 화재가 발생해 이 업체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당분간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성주환경 외에 화순 그린에코바이오(100톤), 담양 청록바이오(95톤) 등 다른 민간처리시설이 있긴 하지만 그린에코바이오의 경우 전남 나주, 곡성 등에서 수거한 쓰레기로 포화상태고, 담양 청록바이오는 당초 북구지역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담당해 온 것에 대해 담양지역 내 불만이 제기되면서 맡길 수 있는 처리량이 많지 않은 상태다.

이에 성주환경이 제2자원화시설 정기보수기간 적체된 음식물쓰레기와 일부 북구지역 음식물쓰레기까지 맡아 광주시와 약정을 맺은 80톤보다 많은 100~110톤 정도를 처리해 왔는데 화재로 시설 가동이 어려워진 것이다.

성주환경은 복구까지 2개월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산구 한 아파트단지 내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민간업체 화재에 이어 제2자원화시설까지 과부하로 처리량이 줄면서 전체적인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시는 일반 주택, 소규모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우선 수거하기로 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사실상 수거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말이 ‘수거 지연’이지 지난 11일부터 며칠째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에 쌓여있는 아파트들이 늘어나면서 일선 구청에 주민들의 민원도 빗발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하면서 발생하는 음폐수 처리도 문제가 되고 있다.

보통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이중 65%의 음폐수가 발생한다. 탈수기처럼 음식물쓰레기의 물기를 빼면서 발생하는 폐수인데, 이게 여름철에는 70% 가까이 늘어나고 겨울에는 50% 정도로 감소하기도 한다.

지금처럼 2자원화시설에서 하루 200톤을 처리할 경우 130톤 정도의 음폐수가 나오는 셈인데, 광주시는 이중 절반은 당분간 전북 업체를 통해 처리하고, 나머지는 5개 구청이 처리하고 이 비용도 부담토록 했다.
때문에 가뜩이나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자치구의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민간업체 화재와 정기보수 등이 겹치면서 문제(2자원화시설 과부화)가 발생했다”며 “각 공동주택에 수거통을 추가로 보급하고, 2자원화시설 정상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환경공단 관계자는 “제2자원화시설은 고장이 아닌 과부화로 인해 잠시 안정화 차원에서 처리량을 조절하게 된 것이다”며 “문제는 음식물쓰레기는 처리가 가능한데 여기서 발생한 음폐수다. 조기에 안정화시켜 음식물쓰레기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