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동 광주통합청사 주변 주민들 “가뭄속 단비”

▲ 지난해 11월 서구 동천동에 개청한 나라키움 광주통합청사가 야간시간(오후 6시30분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주차장을 개방, 인근 주민들 주차난 해소에 도움을 줘 호응을 얻고 있다.
 나라키움 광주통합청사가 야간 시간대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하면서 인근 주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28일 광주 서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구 동천동에 자리 잡은 나라키움 광주통합청사는 준공 이후 주차장을 야간시간(오후 6시30분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 개방하고 있다. 평일과 주말, 공휴일을 따로 구분하진 않고 야간 시간대로 규정됐다.

 나라키움 광주통합청사는 현재 광주전남중소벤처기업청과 호남지방통계청이 입주해 있는 지상 5층·지하 1층 규모의 업무시설과 지상 3층·지하 1층 규모의 실험시설로 조성됐다.

 청사 직원들이 퇴근하는 시간, 지상 주차장 108면은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주 이용 층은 청사 인근의 주민들과 주변 상가를 이용하는 고객들.

 특히 청사와 동천마을 3단지 아파트는 4차선 도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어 이곳 주민들에게는 “가뭄에 단비”같은 혜택이다.
 
▲아파트 단지 인접…“주차난 해소 도움”

 동천동 주민자치회 문희정 씨는 “아파트 바로 옆에 대규모 관공서가 들어와 좋은 점을 꼽으라면, 단연 주차장 개방이라 할 것”이라면서 “아파트 단지라 해도 저녁 시간대 주차장에 차를 댈 곳이 없을 정도로 주차난이 가중되던 중에 고마운 혜택”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주민 A씨는 “아파트 가까이 공공기관이 들어온다는 건 갑작스런 환경 변화로 주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한데 이처럼 주차장을 개방해주면 마음이 좀 누그러지는 게 사실”이라며 “주차장을 개방해주는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있었던 것으로 알지만, 결과적으로 주민들의 편의가 우선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현 청사 자리는 2013년부터 LH 공사 소유의 유휴공간으로 남아 있다 2016년 캠코가 부지를 구입하면서 기획재정부의 위탁을 받아 통계청 등 입주가 결정됐다.

 해당 부지에 도서관 등 복합문화시설을 기대했던 주민들에겐 아쉬운 소식이었다.

 이에 김태진 서구의원은 2016년부터 줄곧 “주민들의 편의와 요구가 반영된 시설 운영”을 주장하며 ‘주차장 개방’을 위한 1인 시위, 주민 서명, 의회 5분 발언 등을 진행해 왔다.

 주차장 개방에 대해 김 의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청사 건립 전부터 주차장 개방 협약을 맺었다고 해도 담당자가 바뀌면서 인수인계가 잘 되지 않아 흐지부지 할 뻔했다”며 “주차장 개방을 결정하기 전 개방 시간이나 운영 방식 등을 주민들과의 공론화를 통해 협의하지 못한 부분도 아쉬움이 남지만 결국 가장 걱정이었던 주차난 해소라는 약속을 일정 부분 지키게 돼 환영”이라고 밝혔다.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조정협력과 관계자는 “청사에 입주하기 전부터 서구청의 지속적인 주차장 개방 요청이 있었고, 지역사회를 위해 편의시설을 공유하는 부분에 공감하게 돼 주차장 개방을 최종적으로 검토하게 됐다”며 “공공기관으로서 주차장을 의무적으로 개방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게 돼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공공기관 편의시설 개방, 주민복지 기여”

 정부도 공공기관 편의시설 개방을 장려하고 있다. 행안부는 2012년 공공청사 개방 지침을 마련하고, ‘국민편익 증진을 위해 공공기관은 기관 운영에 지장을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공기관 시설물을 최대한 개방’키로 했다.

 하지만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법률은 없는 탓에 공공기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이 없이는 당연하게 시설 개방을 기대할 순 없는 상황.

 이에 공공기관부터 터를 잡은 지역사회와 공생할 수 있도록 ‘공유’의 미덕을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장우철 광주재능기부센터 사무처장은 “공유는 내 공간을 내어주고 다른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으로 서로에게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며 “공공기관부터 시작해 민간영역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유가 이뤄지고 확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광주의 경우 ‘공유광주’라는 플랫폼 등을 활용해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공유하는 기관, 사업장 등을 홍보하고 있으며, 각 구청을 중심으로 시설을 개방·공유하는 곳에는 지원금을 제공하는 등 다각도로 공유정책을 펼치고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