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예방 등 재난 대비시설에 구멍
“농업생산 기반시설 보호조례 필요”

▲ 하천 제방 등을 파헤쳐 경작을 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 농업기반시설의 기능을 무력화할 수 있어 제도적인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하천의 제방이나 구거의 법면, 농로의 가장자리는 사유지나 사유시설이 아니기에 훼손을 하면 안 되는데, 그릇된 농심에 의해 파 해쳐져 경작을 하는 바람에 제 기능을 못함은 물론 붕괴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월동작물 수확과 모내기 준비로 하루해가 짧게만 느껴지는 요즘 농촌 들녘을 둘러보면 하천의 제방을 파 해쳐 농작물을 심어 놓은 광경을 목격하고는 한다. 이런 그릇된 행위는 어제 오늘 있었던 일이 아니고, 오래 전부터 해 온 것처럼 주변 제방 높이와 비교가 될 만큼 현저하게 낮아져 있는 것이다. 이유는 작물을 심느라고 파 해치다보니 빗물에 토사가 씻겨 내려갔기 때문이다.

하천의 제방만 파헤쳐진 것이 아니다. 지방도나 군도 양옆 법면의 아래쪽에 측구를 설치해 놓았는데 그것을 메꿔 경작을 하는 바람에 도로의 가장자리에 식재해 놓은 가로수들이 논밭으로 들어와 있는 웃기지도 않은 광경도 목격이 된다.

자그마치 22조 원이라는 예산을 들여 이명박 정부에서 4대강 사업을 잘해 놓은 탓이지! 최근 몇 년 사이에는 홍수피해를 겪진 않았지만,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심화로 여름철 국지성호우와 폭우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경작을 위해 파헤쳐 놓은 제방의 흙이 쓸려 내리게 되면 상류에서 유입된 빗물이 제방을 덮치게 되면 붕괴는 시간문제일 것이다.

이처럼 몰지각한 일부 농민들과 관계당국이나 지자체의 무관심으로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우(愚)를 범하지 않았으면 한다. 비단 이런 모습은 어느 특정지역에 극한된 것이 아니라 농촌마을 어디서나 쉽게 목격할 수 있는 광경들이다.

또 유기농업을 권장하고 친환경을 강조하며, 논 밭둑 제초제 사용을 근절시키기 위해 전용예초기 구입지원을 하고, 또 제초매트나 논두렁 보호덮개를 지원해 주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논 밭둑에 제초제를 살포하는 일이 다반사이며, 그러는 사이 시뻘겋게 제초제를 맞은 논 밭둑은 무너져 내리고 있다.

이번 기회에 농로는 물론 지방도의 법면이나 농·배수로, 논 밭둑과 하천의 제방 등 농업생산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실태점검과 함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지자체 차원의 조례제정이나 불법행위를 제재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무엇보다 농민들의 각성을 촉구하며, 이런 현실을 일선 지자체나 지방의회에서도 헤아리고 대안을 모색했으면 한다. 사실, 관변단체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은 쉬워도 다수의 주민들로부터 싫은 소리를 들어야 하는 이런 일에는 선뜻 나서고 싶지 않겠지만 누군가는 문제의식을 갖고 나서야만하겠기에 조심스레 운을 떼어 보는 것이다.
이재광 시민기자 jglee100@hanmail.net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