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개관 예정인 문화전당은 대규모 지하 구조물로 장애인 이용 편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장애인단체는 조속한 사용자 점검을 요구하고 있지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이에 대해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하 깊숙히 자리한 아시아문화전당 건물 일부 모습.
-아시아 문화허브 불구 미로같은 지하… 장애인 이동권 우려
-장애인단체 “개관 전 점검” 추진단 “기준 충족” 외면
-BF 인증도 무관심…“내달 사용자 점검” 뒤늦게 합의

 ‘아시아 문화 허브’를 지향하며 국내 최대 규모로 지하에 건축 중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핵심시설이 속속 준공되면서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가 어느 정도 보장됐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장애인단체에선 전체 5개원 중 4개원이 준공된 현 시점에서 사용자 점검을 하고 불편한 사항은 개관 전에 보완하자는 입장인데, 아시아문화전당추진단(추진단)측은 5개원 전체 준공 이후로 점검을 미루고 있다. 장애인 단체에선 “전체 준공 시점은 개관과 맞물려 있어 이후 점검이 진행돼도 사실상 보완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면서 “지금 당장 점검해보자는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 추진단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추진단은 “법(장애인 편의 증진법)에 규정된 기준을 지켰다.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지만, 장애인단체에선 “10여 년 전인 2005년 제정된 법(장애인편의증진법)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보다 강화된 ‘BF’(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or Free) 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추진단 측은 본보의 취재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BF 제도 자체를 모르고 있었는데, 정부는 올 7월부터 이 제도를 일정 규모 이상 공공건물에 도입키로 한 마당이어서 ‘아시아문화허브’라는 문화전당의 장애인 이동권 보장 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오는 9월 개관을 앞둔 문화전당은 현재 4개원을 준공하고 전당투어 등을 진행하며 사실상 개관 준비에 들어갔다. 개관 이후 준공이 예정된 민주평화교류원을 제외하면 문화전당 대부분의 시설은 골격을 갖춘 상태인 것.

 옛 전남도청 일원 13만 여㎡ 대단지에 건립된 문화전당은 지하 4층 규모에 7000억 원 가까이 투입해 건립됐다.

 문화전당은 대부분의 시설이 지하에 위치해 있는 데다 미로를 연상케 하는 복잡한 구조여서, 장애인들 이동 편의가 어떤 건물보다 점검돼야 하는 상황이다.

 장애인단체에선 이같은 문제를 제기하며 사용자 점검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추진단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고, “적극적으로 미루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받고 있다.

 사용자 점검을 요청하고 있는 지체장애인협회 유현섭 사무처장은 “문화전당 건립을 총괄하고 있는 문체부 산하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 장애인 대상 사용자 점검 요청에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 사무처장에 따르면, 이 협회는 문화전당 준공 전인 작년부터 사용자 점검 등 사전 검토를 위한 자리를 마련해줄 것을 추진단 측에 요청해왔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장애인단체 쪽에서 먼저 연락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추진단은 애매모호한 답변으로 일관, 의도적으로 점검을 미루는 것으로 비쳤다”는 게 유 처장의 주장이다.

 유 처장에 따르면, 지체장애인협회는 작년 4월 최초로 추진단 측에 문화전당 시설 사전 점검을 요청했다. 이어 같은 해 7월 협회가 직접 추진단을 방문해 사전 점검 등을 강력하게 요구했으나 역시 무산됐다. “시설이 준공되는 과정이어서 장애인들이 내부 점검을 위해 이동하기 어렵다”는 게 추진단의 거부 사유였다. 이에 협회는 준공 전 점검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들어 일단 점검이 가능한 부분이라도 먼저 진행하자고 재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작년 11월 4개원이 준공한 뒤도 마찬가지였다. 올해 3월쯤 추진단 쪽에서 협회 쪽에 연락해와 점검 날짜 협의를 제안했으나 더이상 진행되진 않았다.

 이와 관련 추진단 관계자는 최근 본보와의 통화에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시설점검이 꼭 필요한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장애인편의증진법에 의거 설계단계부터 법적 기준에 부합하게 건축했으니 장애인 이용에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논리였다.

 이에 본보가 광주시의 `건축물의 허가 등에 있어 장애인 등의 편의시설 설치사항 검사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건축물의 사용승인 전 적절한 검사가 규정돼 있음을 알리자, 추진단 측은 “문화전당이 완공되기 전에만 점검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맞섰다.

 하지만 문화전당 5개원 중 현재 리모델링 중인 민주평화교류원은 정식 개관인 9월 이후 완공 예정이다. 전체 완공 시점이 개관보다 늦은 상황에서 사용자 점검 기준을 `완공’에 두는 추진단의 입장에 대해, 장애인단체는 “사실상 점검-보완 의지가 없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체장애인협회는 “5월4일 최초 사용자 점검을 진행하기로 추진단 측과 협의했다”고 본보에 밝혀왔다. 본보의 취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협회가 추진단을 방문해 네 번째로 점검을 요청했고, 추진단이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이를 수용한 것이다.

 한편 추진단이 장애인 시설 이용 편의를 보장하기 위한 기준인 BF(Barrier Free)인증에 무관심한 것도 장애인들은 우려하고 있다.

 본보의 취재가 시작됐을 때 추진단 관계자는 아예 이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것으로 비쳤는데, 정부는 올 7월부터 공공시설 중심으로 이 제도를 의무화한 마당이어서 아시아문화허브라는 문화전당이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준비가 부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