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칸포 탄환 3점·M60 공포탄 40발·유탄 탄피 추가 공개
5·18기념재단 “각기 다른 장소에서 발견, 가장 큰 의미”

▲ 5·18기념재단 김양래 상임이사(오른쪽)가 지난 22일 한 시민으로부터 기증 받은 M60 공포탄 추정 탄피를 들어보이고 있다.
5·18광주민중항쟁 당시 군의 헬기 기총소사의 증거로 추정되는 탄피가 추가 공개됐다. 수년간 군 당국이 부인해온 역사적 진실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5·18기념재단(이하 기념재단)은 23일 재단 영상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22일 동림동에 거주하는 이모(1956년생) 씨로부터 기증 받은 발칸포 탄피 3점(뒷부분 직경 30㎜, 앞부분 직경 20㎜), M60(기관총) 공포탄으로 추정되는 탄환 40발, 40㎜ 고속유탄 탄피 1점 등을 공개했다.

이 씨는 지난 8일 기념재단이 발칸포 탄환 3점을 공개한 것과 관련한 언론보도를 접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던 탄피를 기념재단에 전달했다.

1980년 5·18 당시 남구 월산4동 인근에서 거주한 이 씨는 타 지역에서 일을 하고 돌아오다 탄피들을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념재단은 탄피들을 발견한 위치에 주목하고 있다.

M60 공포탄으로 추정되는 탄피 40발은 당시 옥천여상(현 서진여고) 인근의 산 기슭에서, 발칸포 탄피 3점과 유탄 탄피 1점은 봉주초등학교 인근 논에서 발견됐다.

발견 시점은 1980년 5월27일 이후로, 정확한 날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기념재단은 추가로 기증된 탄피 역시 5·18 당시 군 헬기의 무차별 사격을 뒷받침할 증거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씨는 지난 22일 기념재단에 탄피를 기증하며 “5·18 이후 총탄 회수가 있었지만 호기심으로 탄피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에는 눈 여겨보면 이런 류의 탄피들이 많이 있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양래 상임이사는 “이번에 추가 공개한 탄피들 모두 ‘특수한 곳’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런 총탄을 보유한 부대 자체가 광주에는 없다”며 “평소 민간이 접하기 힘든 탄피를, 그것도 각기 다른 장소에서 발견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기념재단은 이번 탄피들 역시 계엄군간 오인사격이 발생한 80년 5월24일 출동한 ‘코브라(AH-1J)’ 헬기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5·18 당시 육군 1항공여단 31항공단 103항공대대장으로 근무한 군 관계자는 1995년 검찰 진술 조서를 통해 “(1980년)5월22일 코브라 2대와 500엠디(MD) 4대를 인솔하고 광주에 도착한 기억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군 기록에도 무장헬기인 ‘코브라’ 헬기 2대를 1980년 5월22일 광주에 ‘급파’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특히, 이 기록에는 ‘발칸포(20㎜) 운용’도 명시됐다.

코브라 헬기 2대는 계엄군간 오인사격이 발생한 80년 5월24일 엄호사격 요청을 받았는데, 기념재단은 이를 토대로 “기증된 탄피들이 5월24일 발칸포를 탑재한 코브라 헬기 사격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정수만 전 5·18민주유공자 유족회장은 “코브라 헬기 2대가 각각 500발(발칸포 실탄)씩을 챙겨서 광주로 출동했고, 이후 전교사에서 1500발을 가져간 것으로 군 기록에 나와있다”며 “이걸로 볼 때 최소 1000발(최초 출동 당시 실탄 수)을 쐈지 않겠나 생각된다”고 주장했다.

이후 가져간 1500발도 반납 기록이 없어 1000발 이상을 사격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는 것이다.

김 상임이사는 “이번 탄피들은 5·18 이후에 습득한 것으로 언제 일어난 사격으로 인한 탄피인지는 알기 힘들다”면서도 “계엄군 오인사격 당시 코브라 헬기가 떠있었던 금당산 부근과 탄피들이 확인된 장소가 헬기의 공중이동으로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며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무장헬기가 쏘지 않았다’고 했지만, 5·18헬기사격이 있었다는 게 거의 드러났고, 총기 종류도 현재까지는 소총만 확인됐지만 이번 탄피들로 볼 때 기관총, 발칸포 사격 여부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시민들이 제시한 ‘증거’로 5·18 진실을 조금씩 밝혀가고 있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기념재단은 이번에 추가 공개한 탄피를 포함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정밀감식을 의뢰하는 한편, 5·18역사왜곡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변호사들과 함께 5·18 헬기사격을 부인해 온 군 당국을 상대로 법적 대응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