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5·18계승·발전’ 천명
오월유족 보듬으며 아픔 위로
“광주, 정의로운 국민통합 나서달라”

▲ 18일 열린 37주년 5·18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80년 5월 자신은 태어나고 아버지는 계엄군에게 희생된 5·18유족 김소형 씨의 추모사가 끝난 뒤 김씨를 안아 위로하고 있다.<기념식 중계 TV 화면 캡쳐>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자신이 태어난 날 계엄군의 총에 목숨을 잃은 아버지를 생각하며 김소형 씨가 눈물을 흘리자 문재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김 씨를 향했다. 문 대통령은 말 없이 복 받치는 슬픔에 하염 없이 눈물만 흘리던 김 씨를 부둥켜 안았다.

 “서로가 서로를 위하고 서로의 아픔을 어루만져주는 대한민국이 새로운 대한민국입니다. 상식과 정의 앞에 손을 내미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숭고한 5·18정신은 현실 속에서 살아숨쉬는 가치로 완성될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직접 5·18유족의 슬픔을 보듬으며 자신이 기념사에서 밝혔던 새로운 대한민국의 지향점을 모두에게 보여줬다.

 이날 5·18기념식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정부 공식행사였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9년 만에 부활했고, 4년 만에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만으로도 그 어느때보다 기념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컸다.

 이는 1만여 명이라는 역대 최대 참석 인원규모로 나타났다.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취임 후 10일도 안 돼 다시 광주를 찾은 문 대통령이 광주시민, 그리고 기념식을 지켜보는 전국민 앞에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가 주목됐다.

 기념사에 나선 문 대통령은 새롭게 출범한 정부가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서 87년 6월항쟁,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는다는 점을 밝히고, 5·18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민주주의를 회복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5·18 정신의 헌법전문 수록, 발포명령자 등 진상규명 등 광주가 애타게 기다려온 메시지도 기념사에 담아냈다.

 그러면서 광주를 향해 “정의로운 국민통합에 앞장서달라”는 호소를 남겼다.

 기념사가 끝나고 김 씨가 앞으로 나섰다.

 그는 자신이 태어난 1980년 5월18일 아버지를 잃었다. 그의 생일이 곧 아버지를 떠나보낸 날인 것이다.

 이날 기념식에서 그가 아버지를 위해 준비한 추모사의 제목이 `슬픈생일’인 이유다.

 그의 아버지 김재평 씨는 29살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는 어느덧 37세가 됐다.

 “때로는 내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아빠와 엄마는 지금도 참 행복하게 살았을텐데. 하지만 한 번도 당신을 보지 못한, 이제 당신보다 더 큰 아이가 되고나서야 비로소 당신을 이렇게 부를 수 있게 됐습니다.”

 터지는 울음을 꾹꾹 참으며 김 씨가 “아버지를 비롯한 37년 전 모든 아버지들이 우리가 행복하게 걸어갈 내일의 밝은 길을 열어주셨다”며 아버지를 향해 “사랑합니다”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

 문 대통령은 김 씨의 추모사에 눈물을 흘리며, 손수건으로 흐르는 눈물을 닦아내기도 했다.

 그러다 결국 직접 김 씨를 꼭 껴안고 위로했다.

 이 장면은 김 씨를 비롯한 모든 5·18 유족, 희생자들이 37년의 세월동안 겪어온 온갖 설움과 슬픔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응답으로 읽혔다.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권이 저지른 5·18에 대한 폄훼와 왜곡, 축소를 바로 잡고, 5·18을 새 정부가 지향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기준점으로 세우겠다는 의지를 직접 보여줬다는 것이다.

 참석자들과 손을 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른 문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난 뒤에는 묘역을 참배하며 유족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