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호 의원 “자체 현황 없고
부서 나뉘어 효과 반감”
최영환 의원 “일경험 드림 역할 미비
최소 1년 사업돼야”

▲ 광주시청에서 광주 청년 일경험 드림사업 현장 면접이 실시되고 있다.<광주드림 자료사진>
광주시 청년 일자리 정책이 광주시의회로부터 잇딴 질타를 받았다.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이 되기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영환 광주시의원은 14일 제279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는 지역 실정에 맞는 일자리를 적극 발굴해 청년이 돌아오는 풍요로운 광주 건설에 앞장서겠다고 했지만 광주 청년들은 창업과 취업을 힘들어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광주시가 지역 미취업 청년들의 일경험을 통해 진로와 직업 비전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청년 일경험 드림사업의 경우 2017년 청년참여자 280명 중 107명이 실제 취업했다.

지난해 5월 기준 이중 17명이 퇴사하고 90명만 취업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최 의원은 일경험 드림사업의 기간을 두고 “5개월의 경력과 경험은 청년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디딤돌로서 역할이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들은 사회로 나가기 위한 발판으로서의 경력이 필요하다”며 “(일경험 드림사업이)최소한 1년의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정책 사업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의원 또 ‘광주청년 계층실태조사’ ‘청년정책 만족도 조사’에서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사업’으로 꼽힌 광주청년 드림수당이 폐지된 것에 대해 “청년정책에 청년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홍보와 관련해서는 “광주시 2019년 청년정책 49개 사업 중 홍보비는 2억4042만 원으로, 이는 전년에 비해 22.54% 감소한 수준이다”며 “49개 중 29개 사업은 홍보 예산이 0원이다”고 밝혔다.

홍보 예산이 없는 사업 중 14개 사업에 대해 광주시는 ‘별도 홍보계획 없음’, ‘홍보 제외’ 등으로 방침을 정해놨다.

최 의원은 “홍보 예산이 없는 사업의 경우 정보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청년정책의 홍보 수단은 청년에 맞는 방법으로 바꿔야 한다”며 “카카오톡 플러스 등 청년들 이용이 높은 수단으로 홍보창구를 단일화해 정보 접근성, 이용 편의성,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조석호 광주시의원도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 청년일자리 정책 체계의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조 의원은 “광주시 청년 일자리사업 현황을 보면 2019년 5월 5기준 9개 과에서 29개 사업(사업비 46억 원)을 시행하고 있다”며 “사업 추진부서가 9개과로 나눠져 있어 시너지가 반감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청년일자리사업과 관련해 기업 및 자영업의 창업, 폐업 현황을 알기 위한 광주시의 자체 수집 자료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광주시는 청년들이 무슨 업종을 창업하고, 무슨 업종을 폐업하고 있는 모르고 있다”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청년일자리와 관련해 기본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통계를 파악해야 한다”면서 “청년일자리 사업을 총괄 콘트롤하는 주무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