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민은 살 수 없는 재개발, 누굴 위한 건가?”

▲ 계림동 주택재개발 사업 관련 한 업체의 조감도. 사진은 기사 중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이게 인간적으로는 그 사람들을 죽이는 거지, 결국에 이 사람들도 못 이겨서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게 될 거야.”

 나는 계림동 주변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그래서 학교 주변의 재개발 공사 현황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고, 실제 그 계림동 재개발 구역 주변 부동산에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A부동산의 공인중개사에 따르면, 계림동 지역에서는 중흥건설, 두산건설, SK 건설 등 여러 건설사가 현재 아파트 건축을 시작했고 그 인기가 높다. 중개사는 그 이유로 “과거 흥했던 계림동·산수동을 비롯한 옛 도심 지역들은 상무지구, 수완지구, 봉선지구 등의 개발로 소외돼 있었는데, 신도심 개발이 한계에 이르면서 기존 구도심을 재개발하는 욕구가 높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래서 내가 물었다. “그렇다면 이렇게 재개발 붐이 불어 아파트가 지어진다면, 기존 원주민들은 어쩌라는 건가요?”

 공인중개사는 이렇게 대답했다. “이게 인간적으로는 그 사람들을 죽이는 거지. 결국엔 이 사람들도 못 이겨서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게 될 거야.”

 대답을 듣고 적잖은 충격에 빠졌다.

 주거환경이 낙후된 지역에 도로·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을 새로 정비하고 주택을 신축하는 것을 주택재개발사업이라고 한다. 이 사업의 취지는 서민들의 주거 안정에 있다.

 최근 들어 광주에서는 이와 같은 주택재개발 사업이 총 34곳에서 추진중이라고 한다. 그 총 면적은 288만2729㎡로, 서울 여의도 면적과 맞먹는다.

 총 8개의 주택재개발사업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는 광주 동구 계림동에서는 불철주야 중장비들과 트럭들이 드나드는 대규모 공사장이 돼버렸다. 주택재개발사업 구역마다 기존에 살던 계림동 원주민들이 속속 떠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원주민들은 아파트를 분양받지 못하고 그 지역을 떠나게 된다. 이같은 현실과 마주한 나는 원주민들이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좀 더 찾아봤다.

 재개발이 이뤄질 때, 원주민들은 재개발조합의 조합원이 된다. 조합원들은 재개발지역이 관리처분 승인이 나면 감정가에 따라서 토지와 주택 등을 보상받는다. 광주 동구 계림동 재개발 구역의 각각의 주택 규모는 대개 30평 이하로, 보상금은 아파트의 가격에 미치지 못한다.

 재개발 아파트를 분양받으려면 이 보상금 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조합원은 일반 분양자들보다 분양가가 더 낮음에도 그렇다. 조합원들의 아파트 분양가는 1평당 700~800만 원으로, 작은 평형 (33평) 을 분양받으려면 2억 6000만 원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

 결국 보상금 보상금 이외에 어느 정도의 자금이 있어야 원래 살던 고향에 집을 마련할 수 있다. 소득이 있는 조합원이라면 이 자금을 마련하는 데 부담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택재개발 지역의 조합원들은 소득이 거의 없는 노인이나 저소득층 가구다. 하루하루 생활을 이어나가는 데도 벅찬 사람들이 어떻게 큰 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는 말이다.

 광주광역시청을 비롯한 행정기관들은 원주민들의 터전을 빼앗고 외지인들 배만 불리는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그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사람’에 중점을 둔 재개발의 의미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김인산 청소년기자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