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예산 부족” 우레탄부터 선착순 교체
유해 논란·교체주기 임박 인조잔디 후속책엔 손놔

▲ 광주 한 초등학교의 폐쇄된 인조잔디 운동장과 우레탄 트렉.
 광주지역 학교에 깔린 우레탄 트랙에서 중금속 과다 검출돼 교체가 시급한 53곳 중, 우레탄에 앞서 유해성이 지적된 인조잔디가 함께 깔린 학교가 35곳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학교는 우레탄과 인조잔디라는 두 개의 폭탄을 안고 있는 셈인데, 교육당국은 더 큰 유해성이 제기된 우레탄 교체에만 몰두하고 있어 인조잔디 대책은 뒤로 밀린 형국이다.

 교육당국은 우레탄을 제거하고 대신 마사토를 깐다는 계획이지만, 이게 현실화될 경우 공법상 문제로 학교 운동장 자체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도 더해진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인조잔디 주변을 우레탄 트랙이 감싸고 있는 모양인데, 우레탄이 마사토로 교체되면 인조잔디를 지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무분말(충전재)과 흙이 뒤섞여 잔디가 파손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우려다.

 25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광주지역 초·중·고·특수학교 우레탄 트랙에서 납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학교가 53곳에 달한다. 이 중 인조잔디도 함께 깔린 학교가 35곳.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시교육청은 최근 우레탄에서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된 학교를 우선 대상으로 마사토(흙) 또는 천연잔디로 교체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교육청은 이를 위해 학교당 1억 원의 비용을 책정하고 올 연말까지 28억 원을 들여 1차 교체작업에 나섰다. 2차 교체작업은 내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현재는 우레탄 교체 작업 신청이 완료된 상태다.

 하지만 시교육청의 운동장 친환경화 사업에 ‘인조잔디’ 교체는 빠졌다. 나중에 논란이 된 우레탄을 교체하기에도 예산이 빠듯하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인조잔디의 잔디를 지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충전재인 고무분말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면서 시교육청을 향해 대책 마련 목소리가 높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수명(7년)을 초과한 인조잔디 실태조사와 대책 마련에 나섰다가, 올해 우레탄에서 중금속 검출이라는 더 심각한 상황에 맞닥뜨리면서 사실상 인조잔디 대책엔 손을 놓아버린 상황이다.

 광주지역 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인조잔디 중 수명(7년)을 초과했거나 올해 수명이 초과될 예정인 학교가 23곳에 달한다.

 이렇게 되니 인조잔디와 우레탄이 함께 깔린 학교에서의 후폭풍이 만만치 않게 됐다. 우레탄 교체가 이뤄질 순 있어도, 당장 인조잔디는 어찌해볼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해당학교의 학부모 A씨는 “우레탄 트랙만 출입제한을 하고 있어서 인조잔디에 문제가 있을 줄 몰랐다”면서 “우레탄도, 인조잔디도 하나 같이 유해하다고 하니 학교 보내기가 갈수록 겁이 난다”고 한탄했다. 이어 “우레탄을 우선 교체할 수밖에 없다면, 인조잔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부작용이 없도록 시공했으면 한다”는 당부를 전했다.

 게다가 인조잔디는 놔두고 주변 우레탄만 교체하는 건, 공법상으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더해진다.

 탄성포장 사업에 종사하는 B씨는 “대부분의 인조잔디 구장 주변에 우레탄을 포장하는 건, 인조잔디 안으로 이물질이 묻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면서 “주변에 마사토를 깔 경우 흙이나 모래가 잔디로 섞여들어와 충전재 역할을 하는 고무분말의 기능을 약화시켜 인조잔디 구장 자체의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