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대기오염물질배출량’ 자료
광주 전체 35%…“하남·진곡산단 영향”
비산먼지·자동차 영향 “근본대책 필요”

▲ 미세먼지가 심했던 지난 5일 광주의 도심 풍경.
 광주지역에서 미세먼지를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 원인은 비산먼지와 자동차이며, 지역적으로는 광산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립환경과학원의 ‘2015 국가대기오염물질배출량’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미세먼지 발생량은 2448톤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시에 이어 가장 낮았다.

 이는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 33만 톤의 0.73% 수준이다.

 광주지역 5개 자치구 가운데선 광산구가 871톤(35%)으로 발생량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북구 607톤(25%), 서구 445톤(18%), 남구 382톤(16%), 동구 144톤(6%) 순이었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이 2008~2016년 광주지역 미세먼지(PM10) 측정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각 자치구의 경계선에 위치한 시내지역 배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는 자동차 통행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광주공항과 하남산단, 첨단산업단지도 비교적 배출량이 높았다. 도시대기측정소 중에선 오선동과 건국동 측정소의 농도가 높았다. 두 측정소는 모두 산업단지 지역에 위치하고, 근거리에 호남고속도로가 관통하며, 하남산단 뒤편으로 진곡산단, 나대지가 산재해있는 탓으로 분석된다.
 
 ▲2011년 시내버스 LNG 교체 효과
 
 2015년 광주지역 미세먼지 배출량 2448톤 중 70%(1772톤)는 비산먼지로굚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비산먼지란 도로 운행으로 인한 자동차 재비산 먼지와 사업장 또는 공정상에서 일정한 배출구 없이 대기로 배출되는 먼지를 말한다. 건설공사, 나대지, 하역 및 야적, 농업활동, 축산활동, 건설폐기물 재활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산먼지도 포함된다.

 이어 자동차 11.3%, 건설장비 등 9.1%, 생물성연소 6.4%, 가정 1.8%, 기타 발전시설(1.2%) 순이었다.

 광주 지역별, 연도별 미세먼지 농도경향을 살펴보면 2008년 50㎍/㎥에서 2010년 45㎍/㎥. 2012년 38㎍/㎥, 2014년 41㎍/㎥, 2016년 40㎍/㎥로 점진적으로 감소세를 기록하다 2013년 이후 40~42㎍/㎥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전국 특광역시 평균(41㎍/㎥) 수준이다.

 특히 2012년에 큰 폭으로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했는데, 이는 2011년 광주 시내버스 980대의 연료를 경유에서 천연가스로 교체한 효과로 풀이된다.

 월평균 농도는 3월이 65㎍/㎥으로 가장 높았고, 8월이 24㎍/㎥으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건조한 기후와 황사의 영향을 받는 봄철(3~5월)에 높다가 여름철인 7~8월엔 낮은 농도를 보인 것이다.

 광주시는 이같은 연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지역 미세먼지 발생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비산먼지는 대기오염배출시설, 건설공사장 등에서 발생한다. 이를 토대로 시는 비상저감조치 발령시 6개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가동률을 조정하고 방지시설 관리를 강화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또 282개 건설공사장은 관급공사 시 공사시간을 50% 단축하고, 민간 공사는 공사시간을 조정하도록 권고한다.

 자동차 배출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출가스 5등급 차량에 대한 운행제한도 단속시스템을 갖춘 뒤 상반기 중 시행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추진한다.
 
 ▲환경단체 “광주시 저감대책 임시방편”
 
 이같은 광주시 대책과 관련굚 일부에선 “임시방편”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고 나서야 대응하는 단기대책에 치중하고, 장기대책은 정부대책을 그대로 따라간다는 것이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4일 논평을 내고 “광주시 고농도 미세먼지에 대한 실질적인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환경단체는 “친환경교통정책이 없다”는 걸 비판했다.

 이들은 “광주시가 발표한 미세먼지 저감 중·장기대책에는 소극적인 정책만 언급돼있으며, 실질적인 대중교통 확충을 위한 대책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교통량이 많은 출퇴근 시간 버스전용차로 운영 △도로다이어트(자전거 도로 및 보행로 확대) △자동차 통행량 총량관리 △혼잡통행세 등 정책을 제안했다.

 이어 “취약계층 보호조치도 마스크, 공기청정기 배포에만 집중돼있고, 공공근로 등 외부활동을 하는 노인일자리에 대한 근로지침, 비산먼지 사업장과 도로 위 근무자들을 위한 보호대책 등은 없다”며 “홍보나 권고수준이 아닌 실제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근거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세먼지 특별법 제정에 따라 광주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 조례제정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면서 “주요내용인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 제한뿐만 아니라 특별법에 규정된 비상저감조치 확대 및 우선관리구역 지정, 학교와 어린이집 휴교 및 휴원, 공사장 조업단축 등을 지역에 맞게 조례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