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전승수 교수 주장
“상무지구 거의 하류, 비효율적”

▲ 광주천 상류 구간. 광주시가 내년 시행할 예정인 물순환 시범사업을 상무지구가 아닌 광주천 상류에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시가 서구 치평동 상무지구 일원을 물순환 시범사업 대상지로 정한 것과 관련해 “광주천 상류로 대상지를 변경하는 것을 검토해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대학교 전승수 교수는 “빗물을 일시 저장해 땅 속으로 흘려보내 지하수도 살리고, 하천도 살리는 것은 도시기온도, 지구기온도 낮출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면서도 “물순환 사업을 통해 광주천을 살리고, 광주도심도 살리기 위해서는 빗물저장이나 물순환 프로그램이 가능한 광주천 상류에서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지역 환경단체들은 이전부터 광주천의 복원과 관련해 상류 자생력 회복을 강조해왔다. 이를 위해 부분 복개가 이뤄진 광주천 상류 소태천·용산천 등을 원상복원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내년부터 실시하는 물순환 시범사업이 그러한 출발점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전 교수는 “하천 뿐 아니라 지하수도 ‘위에서 밑으로’ 흐르는 아주 당연한 ‘이치’를 고려할 때 상류부터 사업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가 클 것이다”고 말했다.

 그런데 광주시는 이미 서구 상무지구를 시범사업 대상지로 결정한 상태다. 우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빗물 침투시설, 옥상녹화 등을 설치하는데, 이것이 민간영역으로 확산되려면 “시민들에 잘 보이고 접하기 쉬워야 하는데, 상무지구가 그런 면에선 사업대상 지역으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전 교수도 ‘시범사업’임을 고려할 땐 유동인구가 많은 상무지구에서 먼저 사업을 할 수 있다고 봤지만,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을 고려하면 “광주천의 거의 하류인 상무에서 시행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설치된 시설을 많은 시민들에 보여줄 순 있지만, 이 시설로 인해 얻어지는 변화나 효과가 크지 않을 경우 오히려 시민들의 공감대를 얻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

 반대로 상류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하면, 시설 설치나 시민들의 접근성에는 제약이 따를 순 있어도 사업을 통한 훨씬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설을 보여주는 것과 시설을 통해 광주천이 살아나는 변화를 보여주는 것. 양자를 두고 전 교수는 “물론 본 사업에선 당연히 광주천 상류를 우선 대상지로 고려할 거라고 본다”면서도 “어디에서 시범사업을 하는 것이 좋을지 신중히 생각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