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 집결지 연구결과 보고서 보니

 “성매매 집결지의 최종 종착치는 ‘폐쇄’다. 다만, 이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매매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성매매 피해여성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성매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위해서 무엇보다 성매매 집결지 공간이 자연스럽게 폐지·축소될 것이라는 ‘이상화’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지난 9월 광주여성인권지원센터와 전남대 여성연구소,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주최 ‘성매매 집결지와 성매매 여성의 삶’ 토론회에서 전남대학교 여성연구소 추주희 연구원의 발표 중 일부다. 해당 연구는 광주 대인동 인근에 형성됐던 ‘성매매 집결지’의 역사와 해당 장소를 둘러싼 지역 사회의 인식을 점검한 최초 사례다.

 연구에 따르면, 광주 대인동은 1940년대 광주부가 부청사와 공회당 예정 부지로 매입했던 곳이 집창촌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인 1916년 ‘유곽지역’으로 지정고시된 이후, 광주역과 전남도청 간 도로 개설과 광주의 도시화, 인구증가 등과 맞물려 성매매 집결지의 모습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또한 1952년 육군 교육시설이었던 상무대가 생겨나며 주요 고객층이 생겨났고, 전두환 정권 에서도 윤락여성집중존치지구라는 이름으로 호황이 이어졌다. 2000년에 들어 성매매 특별법으로 인해 업소가 다소 줄어드는 상황이나, 온라인을 통해 윤락가 정보가 노출되며 여전히 홍보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구에서는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을 통해 대규모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집결지는 그 대상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성매매집결지 폐쇄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해와 인식은 첫 번째, 성매매 집결지의 문제를 재개발을 주도하는 자본가의 손에서 쇠퇴할 지역으로 인지하거나, 세련되지 못한 성산업으로서 자연히 도태될 것으로 받아들였다. 혹은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님비 현상을 통해 성매매 여성의 삶과 권리를 비가시화하고, 혐오와 차별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또한 광주시는 2016년 여성친화도시로 76곳을 지정하고 2009년 인권담당관실을 설치했지만, 성매매피해여성에 대한 지원과 논의는 여성청소년담당관실의 가족복지 담당 부서에 일임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복지와 관련 업무는 건강가정지원센터, 한부모가정지원사업,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등 모성 지원 정책이 대부분으로, 성매매 관련 대응을 하기 위한 아웃라인, 재정, 인력이 모두 부재한 상황이다.

 총 56명이 참여한 대인동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주민 인식 설문조사 결과, 성매매 집결지 폐쇄 시 고려해야 할 점은 ‘도시 인근 거주민의 생활 환경 안정’이 28.6%, ‘도시 재개발을 통한 경제적 발전’이 23.3%로 주요하게 나타났으나, ‘성매매 피해자 지원 및 집결지 여성 자립 자활’에 대한 응답도 25%로 나왔다.
양유진 기자 seoyj@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