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등 정보기관 활동 최고조
수백명 북한군 활동 불가능”
“‘광주교도소 습격 사건’,
시위대 폭도화 위해 왜곡 추정”

▲ 5·18 당시 금남로로 나선 시민들.<5·18기념재단 제공>
‘5·18민주화운동 과정 전남경찰의 역할’ 보고서에 기록된 5·18민중항쟁 당시 현장에서 일한 경찰들은 한결같이 ‘북한군 개입설’이 상식 밖의 주장이라고 증언했다.

광주서 수사과있었던 한 경찰관은 “5·18 당시 북한군 600명 광주 침투설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단언하며 “600명이 내려왔는데 경찰들이 모를 수 없는 일이다”고 밝혔다.

다른 경찰관은 “안기부에서 공작비, 활동비, 수사비 등이 모두 나와 억지로 만들기도 했는데 북한군이 나왔다는 첩보가 있었으면 완전 ‘A급 공작’이 되는데 그걸 그냥 넘어갈 대공형사가 어디 있겠나”고 증언하기도 했다.

“5·18때 정보형사들이 시위대에 근접해 따라 다녔고, 군과 경찰이 철수한 뒤로는 먼 발치에서라도 다 지켜봤다. 그 당시 경찰 근무한 사람들한테 물어봐라. (북한군을)봤다는 사람이 없었다”는 증언도 있었다.

경찰에서 작성한 기록에도 북한군 개입 정황은 없었다.

전남경찰국에서 작성한 ‘광주사태진상(80년 5월30일경)’에는 5월18일 오후 4시 계엄군 투입, 시민들이 부상을 입고 계엄군에 대항한 것으로만 나와있을뿐 북한군 관련 내용이 없었던 것.

국가안전기획부가 작성한 ‘광주사태 상황일지 및 피해현황(1985년)’에도 시민군의 세세한 활동까지 시간대별로 기재됐지만, 북한군 관련 내용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음을 경찰은 확인했다.

시위대 외곽 진출과 ‘광주교도소 습격설’에 대해서도 경찰은 ‘시위대의 폭도화를 위한 사실관계 왜곡’을 추정했다.

국방부가 1985년에 작성한 ‘광주사태의 실상’에는 “무장 폭도들의 가장 위험하고 대담한 시도는 광주교도소에 대한 공격이었다. 낮 12시20분경 폭도들의 습격을 받기 시작하였다”고 기록했다.

경찰은 “5월21일 오후부터 다음 날까지 6차례의 공격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당시 시위대의 무장 수준을 볼 때 실제 1개 공수여단이 무장한 채 경계를 서고 있던 교도소를 습격해 재소자의 탈옥을 계획했다고 보기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시위대는 집단발포 이후 계엄군에 대응하기 위해 화약고, 광업소 등 무기보관 장소로 이동 중이었으며 광주교도소 방면 진출도 재소자 탈옥 목적보다 무기 확보를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5·18 당시 광주교도소장은 “시민군이 교도소를 습격했다면 교도소 주변에 시체가 있어야지 어떻게 도로에 있을 수 있겠냐”며 “당시 교도소에는 3공수여단 병력이 중무장하고 있어 교도소 습격이란 상상할 수도 없었고, 계엄군이 시 인근 지역의 시위 확산을 막기 위해 무차별 발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증언했다.

경찰은 또 서울지방검찰청, 국방부 검찰부의 5·18 관련 수사결과를 토대로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로 이동배치된 3공수여단의 연행자 강경진압 및 단순 통행자 등에 대한 총격으로 다수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철수 과정에서 발생한 시체 및 교도소 인근 교전 과정에서 사망한 시체 등 12구의 사체를 교도소 부근에 가매장했다”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