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습지센터 전국 실태 조사 결과
“습지 보전을 위한 전수조사 시급”

▲ 광주 광산구 장록습지.<광주드림 자료사진>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꼽히는 습지가 광주전남지역에서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단체 등은 “광주지역은 기초조사조차 미흡해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6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가 최근 3년간 전국의 습지 실태를 조사한 결과 습지 74곳이 소실되고 91곳의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에선 모두 12곳의 습지가 완전히 없어졌고, 52곳은 면적이 감소됐다. 총 64개 습지가 훼손된 것. 특히 면적이 감소된 전국 습지 91곳 중 광주전남이 57%를 차지해 빠른 속도로 습지 소실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습지센터는 습지훼손의 90%가 ‘인위적 요인’ 때문에 훼손된 것으로 파악했다. 논·밭·과수원 등 경작지로 이용하거나, 하천 정비, 도로와 같은 시설물 건축 등이 주 이유다. 습지가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초지나 산림으로 변한 경우는 10%에 불과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습지보호지역(총 45곳)으로 지정되지 않은 내륙습지 대부분이 무분별한 개발 압력에 노출돼 있다고 판단, 습지보전정책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할 때, 사업부지에 습지가 포함된 사업의 경우 중점평가 대상에 포함시켜 습지 훼손을 최소화하고 훼손이 불가피한 경우는 이에 상응하는 신규 습지 조성을 유도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2016년 지역 습지생태 현황 조사를 통해 광산구 황룡강 장록습지의 국가습지보호지역 지정하려는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습지생태 관찰 및 교육·홍보시설 설치 등을 포함한 습지보전계획을 수립·시행하게 된다. 이는 습지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개발규제를 우려하는 인근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광주시가 진행한 습지생태현황조사가 미흡해 전면적인 지역 습지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시 조사엔 식물상, 동물상 등에 대한 표본조사만 이뤄져, 향후 지방생물다양성 전략이나 습지생물다양성 보전전략 수립을 위해선 기반환경, 식생, DB구축 등 다양한 기초자료들이 더 필요하다는 것.

 광주지역 9개 시민단체는 2015년부터 습지생물다양성 세미나를 진행하고 △습지생태현황조사 △습지생물다양성 보전전략 수립 △습지보호지역 지정 추진을 포함한 ‘습지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로드맵’을 수립할 것을 광주시에 제안해오고 있다.

 광주전남녹색연합 김영선 대표는 “도시공원일몰제 등 개발로 인해 광주 도심 내 습지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며 “미세먼지와 폭염 등 환경문제들은 시시각각 발생하는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한 습지보전에 대해선 한쪽에선 개발, 한쪽에선 물순환선도도시 등 살리기 위한 천문학적 예산이 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소규모 저수지, 산간습지 등을 포함한 종합적 습지생태현황 조사를 통해 수질관리, 생태관리를 위한 체계적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습지생물다양성 세미나엔 광주광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광주전남녹색연합, 광주환경운동연합, (사)푸른길, 광주생명의 숲, 광주전남숲해설가협회, 광주하천네트워크, 생명을노래하는숲기행, 시민생활환경회의 등 9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