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패턴 등 대책·가이드라인 마련

▲ 투명방음벽에 충돌해 죽은 새의 모습.<환경부 제공>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건물유리창이나 투명방음벽 등 투명창에 충돌해 폐사하는 새들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새들이 투명창에 충돌해 폐사하는 문제는 하루이틀 문제가 아니다.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건축물의 유리외벽, 도로의 투명방음벽, 유리로 된 버스정류장 등 투명창이 늘어남에 따라 여기에 부딪혀 폐사하는 것이다.

 야생조류 투명창 충돌 실태를 조사한 결과, 한 해 투명창에 충돌해 폐사하는 새는 하루에 약 2만마리, 연간으로 계산하면 800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피해 추정량은 연간 765만 마리, 투명방음벽에서 발생하는 피해 추정량은 23만 마리로 추정됐다. 이는 1년 동안 투명방음벽 1km 당 164마리, 건물 1동당 1.07마리가 충돌하는 수준이다.

 이는 건축물 30곳과 투명 방음벽 26곳을 조사해 전체 건축물·방음벽 통계와 폐사체 발견율과 잔존율 등을 고려해 국토 전체의 피해량을 추정한 결과다.
 
 ▲폐사 조류 대부분은 소형 텃새
 
 폐사한 조류 종류는 대부분 소형 텃새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죽은 새는 멧비둘기로 총 85마리(22.2%)가 발견됐으며, 뒤를 이어 직박구리 43마리(11.4%), 참새 40마리(10.6%), 박새 19마리(5%) 순으로 총 378마리의 조류 폐사체가 발견됐다.

 특히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참매, 긴꼬리딱새도 각 1마리씩 발견됐다. 총 378마리 중 텃새 비중은 88%였다. 나머지는 철새 또는 나그네새였다. 폐사조류 평균 무게는 25g으로 나타나 대부분 작은 새였다.

 조류 충돌의 원인은 눈이 머리 옆에 달려 있는 조류가 눈앞 정면에 있는 장애물의 거리를 분석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유리의 투명성과 반사성이 더해져, 조류가 투명창을 개방된 공간으로 인식해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명방음벽 등 투명창의 설치를 최소화하고, 어쩔 수 없이 투명창을 설치할 경우에는 조류가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정 간격의 무늬를 적용해야 한다.

 환경부는 조류의 투명창 충돌을 줄이기 위해, 최근 ‘조류 투명창 충돌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새로 설치되는 방음벽은 투명방음벽 설치를 최소화하고, 설치 시에는 조류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의 무늬를 적용하는 등 조류 충돌 방지 조치를 의무화하는 관련 규정 개정을 올해 상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조류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무늬
 
 또한 ‘조류 충돌 저감 지침서(가이드라인)’를 마련하여 전국 지자체 및 건설업계 등에 4월 중 배포하여, 사업자가 방음벽이나 건축물 설계 시 조류 충돌 저감을 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대부분의 조류가 수직 간격 5cm, 수평 간격 10cm 미만의 공간을 통과하려 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 불투명한 소재를 활용하거나, 투명한 소재를 쓰더라도 패턴, 불투명도, 색깔 등을 활용해 조류가 통과하려 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이미 설치된 투명방음벽과 건물 유리창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조류 충돌 방지 테이프를 부착하는 시범사업을 올해 4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사업은 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투명방음벽 2곳, 지역의 상징성이 큰 건물 2곳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이 밖에 특정 무늬유형 테이프 등 다양한 조류 충돌 방지 제품 개발을 이끌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조류 충돌 방지 성능 평가방안을 마련하고, 제품에 대한 기준을 2020년에 도입할 예정이다.

 국민들이 참여하는 조류 충돌 관찰(모니터링), 조류 충돌 저감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 등 대국민 홍보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건물 유리창에 줄 늘어뜨리기, 점 찍기 등 간단한 방법으로 조류 충돌 예방을 실천하는 안내집의 홍보물을 환경부(www.me.go.kr) 및 국립생태원(www.nie.re.kr) 누리집에 3월 14일부터 올릴 예정이다.

 이호중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멸종위기 종을 포함한 수많은 새들이 인간이 만든 구조물에 의해 폐사하고 있다”면서 “새들의 폐사를 줄이기 위해 정부, 공공기관이 앞장서고 민간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 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