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 ‘계좌→판매자’
수수료율 제로화 결제시스템
지역화폐 ‘지역상권 소비 유도’
소비자 결제수단

▲ 제로페이 시범운영 지역으로 지정된 1913송정역시장의 한 매장 입구에 부착된 제로페이 가맹점 스티커.
 “제로페이는 뭐고? 지역화폐는 뭐야? 둘이 같은 건가?”

 최근 여기저기서 추진되고 있는 제로페이와 지역화폐. 소상공인 지원, 지역상권 활성화라는 취지에선 언뜻 같은 것처럼 보이는 이 둘은 사실 전혀 다른 개념이다.

 우선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서울시가 주도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제로페이(zeropay)’는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와 유사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결제 과정에서 중간 업체의 개입 없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바로 금액이 이체되도록해 결제수수료를 0%로 낮추는 게 핵심이다.

 소상공인 가맹점의 경우 연 매출액 8억 원 이하일 때 결제수수료가 0%고, 8억~12억 원은 0.3%, 12억 원 초과 시에는 0.5%가 적용된다. 일반 가맹점은 신용카드 수수료율 0.8~2.3%보다 낮은 수준으로 적용된다.
 
▲제로페이 상인, 지역화페 소비자 겨냥

 소비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결제 앱을 실행해 매장에 비치된 QR코드를 촬영하면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또는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해 QR코드를 생성해 제시하면 매장의 단말기로 이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할 수도 있다.

 기존 모바일페이 시스템과 연게하는 것으로 현재는 15개 은행 및 간편결제사 앱과 연동이 가능하다.

 지난해 12월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 정부는 제로페이 가맹점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등록된 전국 가맹점 수는 260만 개 이상으로, 제로페이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선 서울시의 경우 벌써 제로페이 가맹점이 6만 여 곳에 육박하고 있다.

 광주는 말바우시장, 조대 장미의 거리, 금남로 지하상가, 광주 양동상권, 유산동 상권, 송정역 상권 등 6곳이 제로페이 시범지역으로 지정, 운영되고 있다.

 지역화폐는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의 행정구역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결제수단이다.

 지역자본의 역외유출 방지를 통한 자금의 역내 순환을 도모하고, 지역상권 활성화 및 지역공동체를 강화한다는 취지로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특징이다.

 14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지역화폐 발행규모는 2015년 892억 원에서 2017년 3100억 원으로, 지난해 3450억 원으로 늘어났다.

 전국적으로 64개 지자체가 종이화폐인 ‘고향사랑 상품권’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엔 전자상품권,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연계한 대안화폐도 등장하고 있다.

 이중엔 제로페이와 같이 QR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을 활용하는 곳도 있다. 제로페이와 지역화폐의 구분이 갈수록 모호해지는 이유다.

 광주전남연구원의 김진이 책임연구위원은 “제로페이와 지역화폐는 엄밀하게 말해 조금씩 차이는 있다”면서도 “명확하게 이건 이거고, 저건 저거라고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안화폐, 관건은 편리성과 혜택

 김 연구위원은 “제로페이도, 지역상품권도 지역 내에서 쓸 수 있게끔 하는 것은 동일하다”며 “다만,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에게 초점을 맞췄다면, 지역화폐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즉, 제로페이는 말 그대로 결제수수료율을 제로화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고 지역화폐는 소비자들이 지역 상권에서 구매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상생카드’를 예로 들면 연 매출 5억 원 이하 매장에 대해선 카드수수료율을 지원하긴하지만 기본적으로 사용시 결제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제로페이’로 볼 수 없다.

 실물카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도 모바일 앱과 QR코드 단말기를 이용한 제로페이와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제로페이와 지역화폐 모두 큰 틀에선 지역에서 사용하는 대안화폐로 추진이 되고 있다”며 “가맹점 입장은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도 내가 이것을 많이 써야 한다 느낄 수 있는 편리성과 혜택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도입만 하고 활성화가 안 될 수 있어 충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