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만드는 지역에너지정책’
2042년 한빛원전 폐로까지

광주 에너지자립 얼마나 가능할까?

시민이 직접 지역에 맞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연구하고 활동하는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전환’을 위해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뭉쳤다.

‘광주 지역에너지전환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가 5일 광주시의회 예결위회의실에서 발대식을 개최했다.

네트워크에는 광주지역 35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했다.

이들은 화석연료 중심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시스템을 전환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여기에 지역에 기반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담은 ‘에너지분권’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시민단체 등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에너지전환 계획을 구상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4월 광주전남발전연구원을 통해 ‘광주광역시 제5차 지역에너지 계획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용역 과제 중엔 ‘시민참여형 에너지계획 수립’이 포함돼 있어, 네트워크가 이를 수행하는 것.

지역에너지계획은 에너지법에 따라, 국가에너지계획의 효율적 달성과 지역경제발전을 위해 자연 및 기후, 지리적 조건, 인구, 주택 및 토지이용, 교통, 산업 등 사회경제적 여건 등 지역에 맞는 에너지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을 위해 100~150명의 시민참여단을 모집할 예정이다.

이들과 함께 3차에 걸친 워크숍을 진행하고, 시민들의 의견과 아이디어, 정책제안 등을 계획에 반영하는 계획이다.

워크숍에선 광주지역 에너지현황에 대해 학습한 뒤 시민들이 직접 ‘광주 에너지비전’ 시나리오를 만들게 된다.

2042년 영광 핵발전소 폐로를 앞두고, 전력자립도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고, 그 방안은 무엇인지가 핵심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만든 시나리오들은 3차 워크숍을 통해 산업, 생산,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들과 찬반 의견 토론을 거친 뒤 최종 결정된 시나리오를 광주시에 제안하게 된다.

네트워크는 이날 발대식에서 설립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광주의 전력자립도와 에너지자립도는 한자릿수에 불과하다. 대부분 에너지를 외부에 의존하고 있다”며 “현재 에너지체계에서는 우리의 삶을 여위하면 할수록 사회문제와 사회비용을 증가시키고, 폭염과 열섬, 미세먼지 등으로 부메랑이 돼 우리에게 돌아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기에 지역 에너지전환의 필요성이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우리 아이들이 안심하고 그들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필수요소를 뜻한다”면서 “앞으로 광주지역에너지전환네트워크는 시민과 함께 바람직한 지역에너지 계획을 수립하고 에너지전환을 현실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박재만 상임대표는 발대식에 참여해 “뜨거워진 도시, 미세먼지, 원전 사고 등의 저변에는 불완전하고 소비적 에너지 문제가 깔려있다”며 “광주는 좀 늦었지만, 단순히 국가행정만 하는 정책이 아니고, 시민들이 참여하고 제안하는 지역에너지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김종필 팀장은 “이제는 일회성 캠페인이나 기자회견, 단순한 교육만으로 이룰 수 없다는 현실적 벽에 부딪히고 고민을 시작하고 모이게 됐다”며 “이제 시작이다. 2042년 한빛원전이 폐쇄되는 순간, 광주가 에너지자립 100%를 갖출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현 기자 hy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