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광주서 2019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 지난 6일 서구 치평동 5·18교육관에서 진행된 2019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모습.
 “사람을 응대할 때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고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표현하도록 업무상, 조직상 요구되는 근로형태가 감정노동이다. 감정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례들이 제정되고 여러 제도들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의 경우 서울시 감정노동종사자 권리보호센터가 여러 사업들을 벌이고 있다. 정기적인 감정노동자 실태파악 및 연구조사. 심리상담 지원, 주요기관 감정노동보호제도 심층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대전의 경우 감정노동자 권익보호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공공부문 감정노동자 실태조사 및 보고서 제작·토론회, 상설마음지유소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등이 운영된다.”
 
▲‘노동’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토론

 지난 6일 서구 치평동 5·18교육관. 여러 개의 강의실에 전국에서 모인 비정규노동단체 스텝들이 ‘노동’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토론하고 공부하는 시간들이 이어졌다.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이하 한비네, 의장 이남신)와 서울노동권익센터가 주최하고 광주광역시 비정규직지원센터(센터장 정찬호)가 주관한 ‘2019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가 ‘노동의 빛’을 주제어로 진행된 것.

 비정규노동문제의 대안 제시, 지역사회와 지방정부의 정책수행 방향 제시, 비정규 문제 풀어갈 지역 자원의 연계·협력 강화 촉진, 비정규 노동문제 완화에 관한 민관협력 강화 촉진 등이 논의된 자리였다.

 이날 섹션별 토론으로 △지자체 노동정책 △감정노동 사업 △청년노동을 주제로 각각 진행됐다.

 지자체 노동정책 발제자로 나선 조성주 전 서울시 노동협력관은 “지방정부의 노동정책은 현행법 한계와 각종 인력 및 인프라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 개선하고 나아가야 할 지점 역시 많다고 할 수 있다”면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효과적인 노동정책 수립 및 집행을 위해 현행 노동관련 법제도들을 개정하고 필요하다면 적극적인 해석과 역할 부여 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조 전 노동협력관은 “대표적으로 지방정부가 실질적인 사용자 역할을 하는 영역이 상당히 큼에도 불구하고 지역 차원에서 일어나는 노사분쟁이나 갈등에 조정자 또는 사전예방의 역할이 전무하다”면서 “적어도 지방정부의 공공부문에 있어서는 지방정부가 갈등의 사전 예방 및 조정 등의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모범적 사용자 모델의 확산과 좋은 노사관계 모델 정립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6일 서구 치평동 5·18교육관에서 진행된 2019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노조 준비단계선 설득논리 중요”

 노동조합 조직화 사례발표도 이뤄졌다.

 이날 사례발표에 나선 금속노조 광주자동차부품사비정규직지회 정준현 지회장은 “노조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설득 논리가 필요하다. 노조 건설 직후에는 논리가 아니라 힘이 필요하다”면서 “지회의 경우 자동차 시장 변화에 따른 미래의 고용불안 문제, 전기차 등 구조조정 대응에 노조가 없으면 불가능하다는 점, 언제까지 비정규직으로 살 것인가 등이 주요 설득 논리였다”고 조직화 경험을 공유했다. 또 “노조의 목적은 보복이 아니라 관계의 변화”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소규모 영세 사업장 노동자들의 노동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지역네트워크인 대덕유니온 사례, 플랫폼 노동자들을 조직화한 라이더유니온 사례, 봉제노동자 조직화 모델로 봉제인 공제회 모델 등이 다뤄졌다.

 한편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는 한국 비정규직 노동단체 네트워크에 소속된 40여개 회원단체가 참석해 노동문제를 토론하고 활동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지난 2013년부터 전국을 돌며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