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성 1096일째 지난 7일 중단 결정
10일 정부 옛도청복원추진단 현판식

▲ 옛 전남도청 별관 입구.
5·18민중항쟁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한 농성이 마무리됐다.

옛전남도청복원범시도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지난 6일 전체 위원장단 회의를 열고 7일부터 농성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2016년 9월7일부터 농성을 시작한지 1096일만에 기나긴 투쟁의 마침표를 찍은 것.

옛 전남도청 본관 등 6개 건물의 원형 복원을 위한 정부 전담조직이 운영에 들어가는 등 복원 사업이 본격화됐다고 판단, 대책위는 복원 요구 관철을 위한 농성 투쟁에서 감시와 협력으로 활동 방향을 전환키로 했다.

이와 관련해 앞으로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을 전담할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10일 오전 옛 전남도청 별관에서 현판식을 가질 예정이다.

추진단은 복원협력과, 복원시설과 및 전시콘텐츠팀 등 2과 1팀으로 구성된다. 문화체육관광부 14명, 광주시 7명, 국무조정실 1명, 행정안전부 1명, 국방부 1명 등 총 24명이 배치될 예정이다.

복원협력과는 종합계획 수립, 관계기관 및 시민단체와의 협력·협의 등 총괄 업무를 수행하고, 복원시설과는 건물 6개 동의 복원을 위한 설계 및 공사, 구조물 안전진단, 문화재 심의 등 복원공사를 전담한다. 전시콘텐츠팀은 전시관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전시콘텐츠 개발 등의 업무를 맡는다.

정부의 전담기구 출범으로 농성은 해제하지만 5월 어머니, 시민사회 등으로 구성된 농성단은 복원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켜보는 활동은 이어간다.

옛 전남도청 별관 1층을 가칭 ‘복원지킴이’ 쉼터로 재구성하고 앞으로 문화체육관광부, 광주시와 협의를 통해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점검할 계획이다.

별관 4층에는 대책위 사무실을 마련해 회의공간으로 활용한다. 정부의 옛 전남도청 복원 결정을 이끌어낸 3년 농성 투쟁을 기록한 백서를 발간하고, 내년 5·18 40주년과 연계한 기념행사도 추진한다.

5·18 당시 시민군이 계엄군에 맞서 최후 항전을 벌인 역사적 장소인 옛 전남도청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 과정에서 5·18의 역사적 흔적들이 사라지거나 훼손됐다는 지적일 받았다.

80년 5월 시민군의 상황실, 방송실, 회의공간 등으로 활용된 옛 도청 본관은 방송실이 철거되고, 상황실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됐다. 시민군 식사 장소, 무기고이자 80년 5월27일 새벽 시민군의 퇴로였던 도청민원실은 방수공사로 바닥이 높아졌고, 경찰청, 경찰청 민원실은 완전히 옛 모습이 사라졌다.

이에 지역 시민사회, 5월 어머니 등은 옛 전남도청의 ‘원형 복원’을 요구하며 농성 투쟁에 들어갔다.

박근혜 정권 탄핵과 2017년 조기 대선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것을 계기로 정부는 옛 전남도청 복원을 약속, 복원 기본계획 수립 등을 진행해 왔다.

이에 지난 3월 6개 건물 원형 복원을 위한 ‘마스터플랜(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복원 공사는 내년 10월부터 착수할 예정으로, 복원사업이 완료되는 시점은 2022년 12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비는 약 300억 원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먼저 평지화 공사가 시작된 상무관은 최근 공사가 마무리됐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