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심원 여덟 개는 도대체 무엇일까?

▲ <사진178>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뒷면. 지름 21.2cm.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진179>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에는 이런 동심원 무늬가 모두 여덟 개 있다.
▲다뉴세문경은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을까
 
 <사진178>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에는 <사진179> 같은 동심원 무늬가 동서남북에 두 개씩 모두 여덟 개 있다. 우리 학계에서는 이 동심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아직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 그저 동심원 내지는 원권문이라 할 뿐이다. 이 동심원이 무엇을 뜻하는지 밝히기에 앞서 우리는 이 동심원 무늬를 통해 이 거울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이 거울을 만든 방법으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무른 돌 활석에 무늬를 새기고 그 위에 밀랍을 녹여 덮은 다음 밀랍이 식은 뒤 무늬가 복사된 밀랍 모형을 떠낸다. 그런 다음 거기에 진흙을 씌우고 불에 올려 밀립을 녹여내 진흙 거푸집을 얻는다. 이 진흙 거푸집에 청동을 녹여 부어 거울을 만든다. 이런 방법으로 거울을 만드는 방법을 밀랍주조법이라 한다.

 둘째, 고운 모래와 진흙을 이겨 살짝 굳힌 다음 거기에 무늬를 새겨 거푸집을 만들고, 이 거푸집에 청동을 녹여 부어 거울을 만든다. 이것을 사형(砂型 모래사·거푸집형)주조법이라 한다.

 셋째, 무른 돌 활석에 바로 문양을 새기고 이것을 거푸집 삼아 여기에 청동 물을 부어 거울을 만든다. 이것을 석제주조법이라 한다. 2007년 이완규 주성장이 바로 이 석제주조법으로 다뉴세문경을 재현했다.

 이 세 방법 중에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을까. 그 실마리는 <사진179> 동심원에서 한가운데 두 원에 있다. 이 동심원에는 원이 모두 23개 있는데, 가운데 두 원을 보면 뭔가 엉성하다. 이 동심원을 그리는 방법은 간단하다. 톱니가 21개 달린 컴퍼스를 가운데에 찔러 넣고 빙 돌렸다. 그러면 원 21개가 그려지는데, 컴퍼스를 빼고 나면 컴퍼스 고정쇠를 찔렀던 자리가 움푹 들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청동기 장인은 그곳을 뭉툭한 나무로 잘 메우고 가는 무늬새기개로 직접 두 원을 그렸다. 그래서 이렇게 엉성한 것이다. 이렇게 봤을 때 청동기 장인은 무늬를 활석(무른 돌)에 새기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리 무른 돌이라 하더라도 무늬새기개로 돌에 저렇게 작은 원 두 개를 새기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첫 번째 밀랍주조법과 셋째 석제주조법은 아니다.
<사진180> 2007년 이완규 주성장이 석제주조법으로 다뉴세문경을 재현했다. 석제로는 활석을 썼다. 가장 왼쪽 사진을 보면 원 한가운데 중심점을 잡았다. 여기에 21개 톱니가 있는 컴퍼스를 고정하고 빙 돌리면 동심원이 새겨진다. 하얀 가루는 활석가루다. 활석은 이렇게 무른 돌이고 그 입자가 아주 곱다. 가장 오른쪽 사진을 보면 컴퍼스 고정 쇠를 찔러 넣었던 자리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그래서 이완규 주성장이 재현한 다뉴세문경에는 원 중심에 콩알만 한 점이 볼록 튀어나와 있다. 이것은 청동기인이 활석을 쓰지 않았다는 증거이기도 한다. 이완규 주성장은 이것을 잘 알고 있었는데도 활석 거푸집을 쓴 까닭은 무늬가 세밀하게 나올 수 있는 거푸집은 활석 말고는 불가능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둘째 방법 사형주조법으로 보는데, 학자들이 지금까지 생각한 것과는 다른 방법을 한번 가정해 본다. 먼저 아무리 고운 모래와 진흙이라 하더라도 저렇게 세밀한 무늬를 새기기 힘들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모래와 진흙이 아니라 활석을 문질러 가루를 내고(파우더의 원재료가 바로 이 활석이다), 이 가루를 기름(식물성 내지는 동물성 기름)에 이겨 무늬판을 만들었을 것으로 본다. (<사진180> 참조. 활석 가루는 물을 흡수하지 못한다) 여기에 도토리 가루를 좀 넣기도 했을 것이다. 그래야 굳었을 때 갈라지지 않는다. 이 무늬판이 살짝 굳었을 때 그 위에 자와 컴퍼스를 써서 무늬를 새기기 않았을까, 이렇게 짐작해 본다.
 
▲동심원 여덟 개는 도대체 무엇일까?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에서 동심원은 한 쌍씩 네 군데에 모두 여덟 개 있다. 우리 학계에서는 이 동심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아직 알지 못한다. 단지 ‘동심원’ 내지는 ‘원권문’이라 할 뿐이다. 그런데 딱 한 군데에 이에 대한 의견이 있어 아래에 옮겨본다.
 
 거울에 보이는 여덟 개의 동심원문은 여덟이라는 숫자가 고대에서 많음, 풍부함 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풍요, 다산(多産)을 의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건무·조현종 《선사유물과 유적》(솔, 2003), 176쪽.
<사진181>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동심원.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해석은 근거가 없고 무늬를 보는 방법도 옳지 않다. 고대 무늬를 볼 때는 총체로 봤을 때 서로 맞물려 맞아떨어져야 하는데, 이런 해석은 그야말로 생뚱맞기 그지없다. 보통 한 해 열두 달 가운데 팔월은 곡식과 열매를 거둬들이는 달이다. 그래서 흔히 팔월을 풍요와 다산의 달로 보고, 한 해 삼백육십일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팔월 한가위만 같아라, 하는 말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여덟 개 동심원을 이렇게 해석을 한 것 같은데, 이런 관념은 청동기 이후 논밭 농사를 본격으로 짓기 시작한 철기시대부터 생겨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뒤에 자세히 논하겠지만 빗금을 보면 크게 삼각형 밑변에 평행으로 그은 선과 사선으로 그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밑변에 평행으로 그은 삼각형은 구름(云)이고 나머지 빗금은 비(雨)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여덟 개 동심원은 이 구름이 나오는 기원이다. 나는 이것을 천문(天門)으로 보고, 신석기시대부터 쭉 이어져 온 세계관이라고 말해 왔다.
김찬곤 <광주대학교 기초교양학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