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5·18묘지’

▲ 구묘지에서는 오월정신을 이으려는 이들의 외침을 현수막을 통해 들을 수 있다.
오월이 아니면 가지 않았다. 오월이 아니면 5·18을 떠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가게 된 곳. 국립5·18묘지. 25―2번 버스가 오지 않는다. 기다린 지 30분. 농수산물 공판장 앞 정류장 표지판에 버스 번호들이 빼곡히 적혀 있다. 〈2, 3, 3―1, 8―1, 12, 20, 25, 25―1…〉17대가 이 곳에 정차하지만 `국립5·18묘지’를 가는 버스는 단 한 대뿐. 배차간격은 40분이라고 했지만 체감시간은 한 시간이 넘는 듯 지루하다.
농수산물 공판장 건너편에는 광주교도소가 있다. 80년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의 치열한 `대치전’이 있었던 곳. 담양, 순천 등 시외로 나가는 `길목’이었기에 이 곳을 통과하던 많은 차량과 시민들이 계엄군의 총격에 쓰러졌다. 광주교도소 입구에 `5·18’사적비가 주변 물건들에 가리고 묻혀 쓸쓸히 24년 전 그 때를 기억하고 있다.
“지금은 잘 안올 때여”
버스 안엔 말이 없다. 승객은 10명 내외. 무심히 창 밖을 응시하다 한 명씩 하차벨을 누른다. 더이상 타는 이도 없다. `국립5·18묘지’ 안내판이 눈에 띈다. 버스 정류장이 세워진 도로가에 잡초가 무성하다. 사람이 자주 오지 않는 길. 표지판에는 25―2번만 적혀 있다. 정문을 들어서자 `국립5·18묘지’라 새겨진 대리석이 방문객을 맞는다. 9월에 찾은 국립묘지는 한산하다 못해 을씨년스럽다. “방문객이 별로 없네요”라고 말을 건넸더니 화단의 잡초를 뽑다말고 한 아줌마가 “지금은 잘 안올 때여”라고 말한다.
국립묘지를 설명하는 안내문이 전형적이다. 치열했던 과거는 대리석 안에 갇혀 있다. 정문을 통과한 방명록에 서울, 부산, 중국 등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사람들이 흔적을 남겨놓고 있다. 그 안에 이 곳을 참배한 한나라당 의원들도, 송두율 교수도 있다.
충장사나 경렬사를 방문한 것마냥 익숙한 안내판이 정문에 세워져 있다. 발걸음을 옮기자 `정숙’이라는 표지판이 눈에 들어온다. 5만 여평으로 조성된 `국립5·18묘지’는 민주의 문, 숭모루, 역사의 문, 추념문, 유영봉안소, 추모탑, 부조, 헌수기념비, 사진자료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94년부터 시작한 5·18묘지 성역화사업은 3년 만에 완공되었다. 광주광역시에서 운영하던 5·18묘지는 2002년 7월 국립묘지로 승격되면서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다. 팸플릿에는 참배코스가 적혀 있다. `민주의 문―민주광장―추념문―참배광장―5·18민중항쟁추모탑―묘역―유영봉안소―역사의 문(사진전시실)―역사공간―야외공연장―숭모루―5·18 구묘지―역사공간―민주광장―민주의문’.
박제화된 국립5·18묘지
높이 40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