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패턴과 취향에 따라 정말 다양 한 족(族)들이 존재하고 있다.
자녀 없이 부부만의 생활을 즐기는 딩크족, 아이 대신 애완동물을 선호하는 딩펫족, 맞벌이 부부로 경제적인 여유는 있지만 시간이 없어 돈을 쓰지 못하는 딘트족, 맞벌이 탓에 일에 지쳐 성생활조차 하지 못하는 딘스족 등 우리 주위에는 `××족’이라 이름 붙여진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만 가고 있다.
이같은 추세에 요즘 급부상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소위 `1인 미디어’로 불리는 펌킨족.
펌킨은 다른 사람이 인터넷에 올린 콘텐츠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퍼온다는 인터넷 속어인 `펌’과 네티즌들이 즐거움이라는 의미로 즐겨 사용하는 `킨’(KIN을 세로로 세우면 `즐’자가 됨)을 합성한 글자다.
펌이라는 행위는 그동안 딱히 이름만 붙여지지 않았을 뿐 인터넷이 보급된 이래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처럼 별로 새로울 것 없는 펌이 주목받게 된 것은 1인 미디어의 확산 때문.
싸이월드의 미니홈페이지와 각종 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블로그가 활성화되면서 스스로 `꺼리’(콘텐츠)를 만드는 데 어려움을 느낀 사람들이 `콘텐츠 사냥’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됐다.
현재 대부분의 1인 미디어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클릭 한 번이면 콘텐츠를 자기 블로그로 가져올 수 있는 장치까지 갖추고 있다. `퍼뮤니케이션(permunication)’이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콘텐츠를 퍼 나르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일컫는다.
펌킨족의 영향력은 TV연속극 `파리의 연인’과 국민연금의 문제점을 지적한 `국민연금의 비밀’에서 증명됐다. 이들 내용이 인터넷상에 퍼지면서 순식간에 국민적인 관심사로 떠오른 것.
기업들도 펌킨족을 활용하는 기업 마케팅 전략들을 내놓고 있다. 호기심을 유발하기만 하면 홍보효과가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고 있다.
한편, 펌 문화가 확산되면서 뒤따르는 가장 큰 위험성은 저작권 문제다. 대부분의 펌이 그 사이트와의 `링크’ 방식(정확한 출처를 알 수 있음)을 통해 이루어지는 외국과 달리 한국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글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직접적인 펌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이지은 기자 jour@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