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번 타고 `춘설차밭’ 가기

▲ 무등산 해발 700
“버스를 타고 가다 매일 내리던 정류장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내린 적 있어요?”
소주잔을 털어 놓던 후배는 면접관이 던졌다는 질문을 자꾸 되씹었다. 여기저기 원서를 내던 후배는 얼마전 광고회사에 면접을 봤다. 준비답안과 너무나 다른 범주의 질문에 어떤 답안을 내놓아야 할지 몰라 머뭇거리다 “졸았을 때를 빼고는 한번도 그런 적이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단다. 그 순간 처음엔 억울해지다가 씁쓸해졌단다.
정해진 코스대로 나가지 않으면 무조건 `쓸데없는 짓’으로 치부했던 편협함을, 일상에 반기를 들어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맹목적인 순응에 화가 났단다. 얼큰하게 취한 후배는 “모회사의 A1, A2…, 집집마다 가장1, 가장2…, 나는 사라지고 부품처럼 살아가는 건 아닐까”라며 푸념했다.
그게 동기였나보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메마른 나뭇가지를 보다가 문득 `푸른 차밭’이 떠올랐다. 보성은 너무 멀다. 그래서 가게 된 곳 `춘설차밭’. 시계를 보며 흥정한다. `3시간이면 충분하리라’, 갈 곳을 잠시 미루고 52번 버스를 기다린다. 괜스레 들떠진 마음에 기다리는 시간도 아깝지 않다. 저만치 모퉁이에서 버스가 보인다.
누군가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청년, 연신 핸드폰 벨소리를 바꾸는 중학생, 앞 사람에게 내릴 곳을 재차 묻는 어르신,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트로트 한 소절을 따라부르는 어르신…. 버스가 조선대 정류장을 지나 남광주를 거쳐 증심사로 가자 남아있는 승객은 등산객이 대부분이다.
증심사 정류장 앞 사람들은 삼삼오오 자판기 앞에서 커피를 뽑아 마시며 추위를 잊는다. 매서운 겨울 바람에 커피 생각이 절로 난다. 녹차밭을 찾으면서 커피를 마시는 이율배반에 `자판기 메뉴엔 녹차가 없다’며 슬금슬금 핑계거리를 대본다.
증심사 정류장에서 내리면 으레껏 `증심사’만 찾게 되었다. 무조건 목적지에 다다른 후 여기저기 사진을 찍고 둘러보는 게 여행의 임무처럼 여겨질 때가 있었다. 익숙한 길을 따라 발걸음을 옮긴다.
중간쯤 올라왔을 때 `의재문화유적지 안내도’가 눈에 들어온다. 관풍대 춘설헌 의재미술관 의재묘소 춘설차시음장….
몇 발짝을 더 가면 의재허백련미술관이 서있다. 무심했던 터다. 증심사를 가면서도, 의재미술관을 지나치면서도 알지 못했다. 중고교 시절 소풍이나 수학여행때 필수코스였던 `△△문화유적지’는 지루함 그 자체였다. 누구의 작품이 `왜’ 좋은지, 역사 속 위인이 `왜’ 훌륭한지, 그 이유를 `깨우치기’ 전에 `외우라’고 강요당한 순간 흥미를 잃어버렸다. 그 기억때문에 안내도를 봐도 건성으로 훑게 되었다.
한국 남종화의 대가인 의재 허백련 선생(1891∼1977)은 일본으로 건너가 메이지대학 법대를 진학하지만 중간에 포기하고 그림을 시작했다.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선생은 일본 남화의 대가에게 배웠지만 자신만의 기법으로 남종화를 그렸다. 전라도의 산을 자주 그렸던 그의 작품은 서민적이면서 호남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의 일대기를 보다 선생이 머물렀다는 일대를 둘러보게 되었다. `의재 허백련 선생이 지인들과 학생들을 위해 만든 차실’이었던 관풍대는 지금은 다례 실습장으로 이용된다고 적혀 있다.
논어에서 딴 `관풍(觀風)’은 `세상을 본다’ `시류를 본다’라는 의미라고 한다. 의재 선생을 만나러 자주 이곳을 드나들었던 이들에게 `관풍대’는 따뜻한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던 곳으로 기억될 것이다.
조금 더 위로 올라가면 춘설차의 보급장소로 썼다는 `문향정(聞香亭)’, 물레방아를 돌려 전통적인 방법으로 춘설차를 만들었던 `춘설차 실습장’이 있다. 그 곳에 있던 건물들을 복원했건만 현대식으로 리모델링된 형태들은 언뜻 도심에 위치한 건축 디자인을 연상시킨다. 낯설다.
발걸음을 돌려 춘설헌으로 향한다. 의재 허백련 선생이 머물며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는 춘설헌(春雪軒). 한국 남종화의 대가로 손꼽히는 의재 허백련 선생은 이 곳에서 게오르규, 루이제 린저, 지운 김철수 선생 등의 인사들과 교류를 나눴다고 한다.
산 중턱에 자리한 춘설헌은 세상과 단절된 듯 싶지만 사람들을 산으로 불러오면서 다른 `일상’을 만나게 했을 것이다. 차밭으로 이어지는 소박한 샛길은 걷는 즐거움을 준다.
징검다리를 지나자 의재미술관이 서있다. 4년 전 만들어진 의재미술관은 `의재 선생의 작품과 무등산의 조화를 건축물에 담아냈다’며 완공된 해(2001년)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았다. 자연과의 순응을 우선으로 건물을 지었건만 산에서 내려온 흙발로 미술관에 들어서기엔 서먹하다.
전시동, 삼애헌, 관리동으로 구성된 미술관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건물 내부에서 의재 선생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도 좋지만 테라스처럼 비어있는 2층 공간에서 노을을 보는 것도 새로운 즐거움일 듯 싶었다.
잠시 숨을 고르고 `삼애다원’이라 불리는 춘설차밭을 올라갔다. 등산로로 가는 방법도 있지만 미술관 뒤편에 이어진 차밭 가는 길로 올라갔다. 구비구비 돌아선 길을 힘겹게 올라가며 무거워진 발을 끌다 차밭에 도착했다. 아스팔트길로 포장돼 자동차를 타고 쉽게 갈 수 있는 보성 차밭과는 달리, `춘설차밭’은 그야말로 관상용이 아니라 재배용에 충실한 위치에 있었다.
무등산 해발 700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