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아리꽃, 가락지꽃, 여의초, 장수꽃, 이야초

▲ 김홍도_황묘농접도_년도미상
 요즘 제비꽃이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 시골에서는 양지 바른 곳이면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도시에서는 보도블록 틈이나 담 아래 틈에서 무더기로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비꽃(Manchurian Violet)의 원래 이름은 ‘오랑캐꽃’이다. ‘Manchurian’은 만주 사람을 뜻하고, ‘Violet’은 제비꽃 또는 보랏빛을 뜻한다. 제비꽃 학명은 라틴어로 ‘Viola mandshurica’인데, 바로 이 ‘Viola’에서 보라색 ‘Violet’이 왔다. 그런데 해방 뒤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예쁜 꽃 이름에 ‘오랑캐꽃’은 안 어울린다면서 논의가 몇 차례 있었고, 그렇게 하여 오랑캐꽃에서 제비꽃으로 바뀌었다. 제비꽃은 우리나라에 60여 종이 있고,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교잡종까지 합치면 100여 종이 넘는다. 그래서 꽃을 잘 아는 꽃박사들도 제비꽃을 공부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곤 한다. 알면 알수록 복잡한 꽃인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 있는 제비꽃만도 450종이 넘는다. 그런데 이 또한 자꾸 교잡종이 늘고 있어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다.

 제비꽃은 앉은뱅이꽃, 오랑캐꽃 말고도 병아리꽃, 가락지꽃, 반지꽃, 여의초, 장수꽃, 이야초라고도 한다.

 병아리꽃이라 한 까닭은 한 포기에서 꽃이 수없이 피어나기 때문이고, 또 그 모습이 갓 부화한 병아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것처럼 귀엽다는 뜻도 담고 있다. 가락지꽃·반지꽃이라 하는 까닭은 제비꽃을 가지고 반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꽃을 꽃자루째 따서 두 줄기로 갈라 둥그렇게 손가락에 훔치면 가락지가 되고 팔목에 매면 팔찌가 된다. 제비꽃 씨가 여물어갈 즈음이 되면 보릿고개가 오는 철이다. 이때 어린 여자아이들은 소꿉놀이를 할 때 사금파리나 풀잎 그릇에 제비꽃 씨를 올려놓고 쌀밥 보리밥이라 한다. 이렇게 놀면서 배고픈 마음을 달랬던 것이다.

 제비꽃은 ‘여의초(如意草 같을여·뜻의·풀초)’라고도 한다. 여기서 ‘여의’는 불교에서 온 말로, 모든 것이 마음먹은 대로 된다는 말이다. 꽃뿔 바로 뒤 꽃대 모양이 가려운 데를 마음먹은 대로 긁을 수 있는 여의를 닮아 여의초라 하는 것이다. 늙었어도 마음먹은 것 자유롭게 하면서 오래오래 사시라는 뜻이다. 그래서 또 ‘장수꽃’이라고도 한다.

 일본인들은 제비꽃을 이야초(二夜草)라고도 한다. 이 이름은 일본 나라 시대 시인 야마베노 아카히토(山部赤人)의 시에서 온 걸로 짐작한다. 그가 쓴 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꽃을 바라보니 너무 귀엽고 예뻐서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하룻밤을 새워 가며 바라봤다.” 이로부터 일야초(一夜草)라 했다가 ‘하룻밤도 모자라 더 바라보고 싶다’는 뜻을 더해 이야초(二夜草)가 되었다는 것이다.  
김찬곤
광주대학교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