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현대적인 디자인

▲ 덧무늬토기1(왼쪽, 양양 오산리, 27cm), 덧무늬토기2(26.1cm), 백자철화 포도문호(국보 제107호. 18세기 초. 높이 53.8cm. 밑 지름 19.1cm.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양양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는 그릇 가운데 눈에 띄는 항아리가 두 점 있다. 나는 두 항아리를 보고 깜짝 놀랐다. 이 항아리 모양과 같은 그릇은 다른 신석기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삼국·통일신라·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에 와서야 비로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주 똑같지는 않지만 그 기본 모양은 조선 항아리와 같다. 7200년이 지서서야 볼 수 있는 그릇을 신석기 시대 오산에서 빚은 것이다. 더구나 덧무늬토기1 그릇 무늬는 오늘날 디자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현대적이다.

 위 세 항아리 모양은 여성의 몸을 닮았다. 특히 세 번째 백자철화 포도문 항아리(국보 제107호)는 여성의 배꼽부터 시작해 골반과 다리까지, 그것의 형상화라 할 수 있다. 내가 ‘남성의 눈’으로 그릇을 보는 것이 아니라 원래 그릇은 여신(女神), 비구름·비·물(만물생성의 기원), 만병(滿甁 찰만·항아리병, 마찬가지로 만물생성의 기원), 어머니, 들판 같은 상징성을 베이스로 한다.

오산리 덧무늬토기 밑바닥 무늬. 두산백과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엽맥(葉脈 잎엽·맥맥)’ ‘나뭇잎 모양’이라 나와 있다. 위 사진에서 가장 오른쪽 평양시 남경유적에서 나온 민무늬토기 그릇 밑바닥은 나뭇잎 모양이라 할 수 있다. 그에 견주어 오산리 덧무늬토기 바닥은 나뭇잎이 아니라 ‘나뭇가지’ 모양이다. 이렇게 무늬를 잘못 읽은 것은 유물을 보지 자세히 보지 않고 지식이나 관념에 기대어 보기 때문이다

 신석기 시대 그릇을 빚고 굽던 장인이 여자였는지 남자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릇이 지금의 냉장고처럼 생활필수품이었던 만큼 편리성이 아주 중요한데, 그 편리성의 발전 속도가 아주 더딘 것은 사실이다. 그릇에 손잡이를 다는 것이나 물그릇에 귀때나 부리를 붙이는 것, 이런 것이 수백에서 수천 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런 것을 생각해 보면, 원래 선사시대의 발전 속도가 느렸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당시 그릇을 빚었던 장인은 그릇을 늘 쓰는 여자였다기보다는 바깥일을 주로 하던 남자였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다음 호에 이어서 씁니다)
김찬곤

광주대학교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