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만난 어머님은 중학생 자녀를 키우면서 자녀에 대한 염려로 하루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는데, 자녀의 학교와 학원 부모모임, 다양한 기관의 부모교육, 학교봉사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자녀에 대한 사랑만큼이나 자녀와 관련된 많은 일들을 하면서 자녀 양육에 모든 정성을 쏟고 있었습니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은 자녀 양육을 하면서 자녀가 부모의 ‘껌딱지’가 되어 힘들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혹시 사춘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은 자녀의 ‘껌검딱지’가 되어 자녀가 부모님으로부터 멀리 도망가고 싶어하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 아이가 사춘기를 지내는 동안에는 ‘왜 아이가 그리 거칠고 날카롭게 변했는지?’, ‘왜 묻는 말에 전혀 대답도 하지 않는지?’ 저는 아이에 대하여 궁금하고 걱정되는 일 투성이었습니다. 아이에 대하여 알아도 제가 바라는 모습이 아니어서 못마땅한 마음으로 걱정만 가득, 또 모르면 궁금하여 염려가 가득했습니다. 그 무렵 제가 유아교육과 신입생이었을때부터 지금껏 늘 인생의 멘토가 되어주시는 교수님께 제 마음을 다독일 수 있는 말씀을 듣게 되었습니다. “아이는 우리가 염려하는 것보다 더 자신의 인생을 사랑하고 있어!” 그리고 “사람과 사람사이에는 바람이 지나갈 틈이 있어야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거야!”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저는 단 두 마디의 말씀을 믿고 격렬한 사춘기를 지내는 아이의 엄마로서 제 아이를 믿고 지낼 수 있었습니다.

 모든 부모님의 마음은 늘 안절부절, 자녀 걱정으로 가득합니다. 정년을 앞둔 50대 교장선생님의 퇴근이 늦다며 자녀를 염려하시는 80대의 어머님을 뵈었습니다. 정말 부모에게 자녀는 늘 염려의 대상이고 항상 행복하기를 바라는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은 부모가 30대, 40대일 때와 같지만 90대 부모는 더 이상 자녀의 짐을 덜어줄 수 없습니다.

 자녀에게 비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바람을 온 몸으로 막아줄 수 있는 부모가 아닙니다. 오히려 자녀에게 바람이 되어주기를 바라고 우산을 펴달라고 부탁해야하는 부모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부모와 자녀의 역할이 변하였어도 부모-자녀 관계는 부모가 생존해있는 동안 지속되는 관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 눈 뜨면서부터 잠 들때까지 자녀의 손과 발이 되어 자녀를 돕고 있다면 이제는 자녀에게 작은 도움부터 청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직도 자녀가 도움을 주면 부모님들은 “너는 공부만 하면 되는 거야, 나중에 크면 해.” 무거운 짐을 옮길 때 조차도 도움을 주려는 자녀에게 “힘든 일이니까 저리 가서 책만 보면 되는거야. 아빠가 다 해줄께”라고 말씀하셨다면 이제는 자녀가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고 자녀에게 부모님을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앞으로 80대, 90대가 되어서 50대, 60대의 자녀를 키우지 않으려면 자녀가 성장할 기회를 충분히 주고 곁에서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김경란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kimklan@kwu.ac.kr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