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공익활동가 서일권

▲ 광주의 공익활동가 서일권 씨.
 Nestled up with a cozy adult beverage and some peanuts in the rather unassuming Imagine, a collaborative art and recreation space situated across the street from the Asia Culture Center, I struggle to find the words to even begin to interview this month’s Gwangju News feature subject. I begin our conversation scrupulously:

 “I’m not even sure how to address you. I’ve never met someone with so many job titles.”

 Mr. Seo Il-Gweon, the aforementioned man with seemingly innumerable titles, grins at the question. He thinks for a second and then casually replies, “These days I am just introducing myself as a public service activist.”

 Though “public service activist” would certainly be far from an incorrect way of addressing Seo Il-Gweon, the title barely scratches the surface of the work he has thus far undertaken. Working with the Gwangju Asia Emergency Relief Council (now Gwangju Asia Sharing Organization), Seo Il-Gweon helped facilitate distribution of local emergency relief not only by way of clinics in the Gwangju area but also through clinics situated throughout Asia, including in Nepal, Cambodia, and Mongolia. Seo serves on the board for the Universal Culture Center (UCC), an organization that serves migrants, international students, refugees, foreign workers, and migrants’ wives. Though busy with current and pending endeavors, Seo was nice enough to give us the scoop on his newest project, Band for Good, as well as shed some light on his personal motivations for becoming a community leader.
 
 -Gwangju News (GN): Can you tell us about your newest project“

 △Seo: Actually, I’ve combined some of my previous projects into my current work, running an operation called Band for Good. I am the executive director of Band for Good, with participating board member, Kim Hyeon-ok. As executive director, my main plan this year is working to set up a free afterschool education center in Cambodia. So, after the school day is finished, children from poor families can learn life skills. For example, since there are many sewing factories, they can learn sewing skills, or otherwise take Korean, English, or other language classes. Additionally, if the children need computer classes, I am preparing a space for these kinds of afterschool courses as well. We will also arrange to make basic medicines such as skin ointments, cold medicine, and other items available.

 -GN: While starting Band for Good, you chose Cambodia as the background. Is there a particular reason for that“ Among all the countries, why did you choose Cambodia“

 △Seo: Band for Good had the original goal of operating sustainably in a fixed location, with a plan to build a mutual relationship and make the village more stable, brightening the children’s future through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Gwangju and the village. With that in mind, we went searching in a few places. We went to Laos in 2012 and visited the Youth Center in Vang Vieng. After going to Vang Vieng, we went to Cambodia in 2014, before the opening of the Gwangju Clinic and prepared for its opening there, setting some things up. After going there, we wanted to go to Myanmar, but Myanmar had a complicated election situation at that time, so because of the safety problem, we went back to Cambodia.

 However, when you set out to do this kind of overseas volunteering, you need good accessibility, because if it’s too far you can’t go often. It has to be close, with easy flights, and not too expensive because people have to go back and forth. For a place like Nepal, it takes six-and-a-half hours and the flight costs at least 1.3 million won. In the case of Cambodia, the expense of flight tickets wasn’t a big problem. This is one of the practical reasons why I chose Cambodia. Cambodia is a country that suffered the most in their modern history with the Killing Fields. In making this type of overseas project,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s setting up local partnerships. Now I have a trustworthy and excellent partner to work with. So, having taken into account this kind of partnership, the accessibility of Cambodia, as well as its historical points, Cambodia is now one of the places on the list that we help, growing little by little.

 -GN: Do you have a particular motivation for all the various work that you do, like helping people with their lives and assisting migrants“

 △Seo: Frankly speaking, I don’t think of it as “helping.” Although when I first started, I started from the idea that I must do something to help, at some point it turned into the idea that this is a solid investment in the future. As far as my work in Asia is concerned, by the year 2050, 50 percent of the world’s total output will be produced in the Asia region. One-third of the world’s youth population is living in Asia. Though these kinds of statistics certainly propel me further in my current endeavors, my original motivation for longtime student activism and longtime social activism comes from having tremendous pride in the Gwangju May 18 Uprising.

 Growing up, my mother was always the kind of person who gave to others. As I got older, I became a longtime student activist, for about ten years. I was on the wanted list for about four years, like the people everyone is talking about with the recent movie “1987” (a story about democratization in Korea in June 1987). Honestly, if I were to write about it, I would also have a lot of stories to tell. There’re stories from being on the wanted list for four years and coming out of prison. There was student activism, and now it’s about an altruistic life - that has filled me up a lot. Something like a sailor giving up the weight of wages and living a more public and social life. I learned how rewarding this life can be while undertaking these kinds of programs. I think that thi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has made me who I am now. Democratization activism as a student, dictatorship activism. These kinds of processes.

 -GN: You mentioned your mother; were there any other individuals you can recall that particularly inspired you“

 △Seo: I also met one mentor named Seo Yu-jin or Eugene Soh, an elder Gwangju activist who talked about having emigrated early from Korea to the USA and taking up a one-man protest against the Yushin dictatorship [of Park Chung-Hee in the 1970s] in front of the White House. Anti-Yushin activism, followed by May 18 activism, then activism for uncovering the truth of the May 18 Uprising, and Chosun University activism for uncovering the truth about patriotic martyr Lee Cheol-Gyu. [Eugene Soh] continued in the USA to do activism related to modern Korean history as the secretary-general of a civic group called the Council for Unified Democracy.

 Pastor Moon Dong-hwan, the younger brother of Pastor Moon Ik-Heon, is now over ninety years old, but he used to be the chairman of that organization back in the USA. [Eugene Soh] was among that group of Koreans living abroad in the USA that focused on activism for Korean democratization and human rights, within that civic group there. He came back to Korea in 1993 and after returning, he met the current mayor of Gwangju, Yoon Jang-hyun. They both understood that, in reality, we weren’t getting what we wanted on an international, or even national, level. This was despite all the legislation, and despite the events of May 18, Kim Young-Sam becoming president in 1994, the application of the May 18 special law in 1995, and the taking to court of Chun Doo-Hwan and Roh Tae-Woo.

 -GN: That must have been frustrating. I assume that was what inspired Mr. Soh’s - and eventually your - focus abroad“

 △Seo: Exactly. Even with all that, May 18 was still considered to be just a bunch of rioters in Gwangju. No matter how many special laws you enact, it’s still like that, isn’t it“ So, geez, how can something that isn’t even recognized on the national level be globalized“ So we went over all this again when talking with Mayor Yoon and Eugene Soh. Instead of regurgitating the same thing, we said let’s go to other locations in Asia, places with military dictatorship, democratization or suppression of human rights, and find Gwangju there. Let’s go there and tell them about the Gwangju spirit. So, Eugene Soh went all over Asia. He went to places like Sri Lanka where reports of missing persons were popping up left and right. So, anyway, I met this person (Eugene Soh) in Cambodia, and he, me, and Mayor Yoon had an all-night talking session on the beach. We talked about Gwangju, Asia, human rights, and democracy. With these things in mind, I thought about making programs and tailoring them specifically to Asia. Programs that would take youth and ordinary citizens and systematically continue these kinds of history tours in Laos, Vietnam, and other similar nations. In each country there were seemingly endless possibilities.

 -GN: Doing all this different work, do you have a final goal, such as an international society in Gwangju or any other things that you hope to achieve“

 △Seo: First of all, I do this work so that I and my family are happy. I am not helping others for getting something that I want, but for leaving a good world and future for my children. A more just, more loving, solidarity-giving world for the children. This studio, Imagine’s, motto is “Eat, pray, love.” Making a world like that is the most basic priority. But many people are like this. I can’t do this work well if I am too smug about being committed to doing hard work for others. I have to enjoy it and feel rewarded. The first priority is making this kind of happiness for myself and my family. My second priority is… what I am always wearing“ This…[pointing to the necklace he is wearing]… is a peace symbol. I am doing it for peace. So, my favorite saying is “Namaste.” As I understand it, “namaste” means that the god in me is asking after the god in you. Each person believes and trusts in themselves, so they can respect each person as they are, no matter their lifestyle or religion, they can understand and respect them. That makes peace. Otherwise, war breaks out. So, I’m doing this for my happiness and peace and that of my family. If I must say something, outside of that, there is nothing special. I don’t think there is any need for long explanations.

 ※Postscript: Since this interview, Seo Il-Gweon has also organiz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between the Gwangju City Doctor’s Council and a number of key migrant rights support groups to help facilitate greater cooperation for issues relating to migrant medical treatment, particularly for those who are undocumented or humanitarian status holders (refugees that don’t have access to insurance or other services).

Words by Wilson Melbostad

Korean Language Assistance by Han Young-lee, Yang Jun-ho, Anastasia Traynin

The Author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attorney hailing from San Francisco California, Wilson Melbostad has returned to Gwangju to undertake his newest project: The Organization for Migrant Legal Aid (OMLA), which operates out of the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February 2018 issue.

-<원문 해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길 건너편에 있는 공동 예술과 재창조의 공간에서 , 손에는 가벼운 술과 땅콩 안주를 들고 다소 겸손한 모습으로 그에게 다가갔다. 이번 광주뉴스 인터뷰를 시작하기에 적절한 단어를 떠올리며 신중한 태도로 대화를 시작했다.

 “이렇게 많은 직업을 가진 분은 처음 뵈어서 제가 어떻게 선생님을 소개해 드려야 할 지 모르겠어요.”

 오늘의 인터뷰 주인공, 셀 수 없이 많은 직업을 갖고 있는 서일권 씨가 나의 말을 듣고 미소 지었다. 그는 잠시 생각하더니 가벼운 어투로 이렇게 말했다. “최근에 전 저를 공익활동가라고 소개하고 있어요.”

 하지만 ‘공익활동가’라는 수식어는 겨우 그의 업적들에 비하면 겉핥기 정도의 표현이어서 그를 설명하기에 다소 부적합하다고 본다. 서일권 씨는 광주아시아긴급구호협의회(현 광주아시아나눔협의회)에서 일하며 광주에서 뿐만 아니라 네팔, 캄보디아, 몽골을 포함한 아시아 전역에 의료센터를 세우며 지역긴급구호의 확대를 도와왔다. 또한 그는 이주민과 유학생, 난민, 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을 돕는 유니버설문화원의 이사로 활동 중이다. 현업에 충실하면서 추후 활동 계획에도 매진중인 그는 새로운 프로젝트인 ‘세상을이어가는끈’에 대해 친절하게 알려주었고, 커뮤니티의 주축이 되고자 하는 그의 동기에 대해 조금씩 이야기해나갔다.

 -광주뉴스: 새 프로젝트에 대해 알려주시겠어요?

 △실은 전에 하던 프로젝트들을 엮어서 ‘세상을이어가는끈’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시작한 겁니다. 저는 이 프로젝트의 상임이사이고 김현옥님도 이사로 참여하고 있어요. 올해의 주요 목표는 캄보디아에 방과후 무료교육 센터를 설립하는 거예요. 그러면 빈곤가정 아이들이 방과 후에 생활 기술을 배울 수 있죠. 예를 들면 그곳에는 봉제공장이 많으니까 미싱 기술을 가르치거나, 아니면 한국어나 영어 등의 언어수업을 여는 거예요. 또한 아이들에게 컴퓨터 수업이 필요하다면 그 수업을 할 수 있는 공간도 준비하려고 해요. 여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약품들인 상처용 연고나 감기약 같은 것들도 상비해두려고 하고요.

 -광주뉴스: 세상을이어가는끈의 배경지로 캄보디아를 선택하셨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다른 여러 나라 중에 왜 그 나라였나요?

 △‘세상을이어가는끈’은 한 곳을 고정하여 꾸준히 운영하면서 광주와 그 마을간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서 상호관계를 돈독히 하고 마을을 더 안정적으로 만들며 아이들의 미래를 밝히는 것이 원래 목표였어요. 그런 목적으로 몇 군데를 더 찾아보았고요. 2012년에는 이선재 선생님이 계신 라오스 방비엥의 푸딘댕청소년센터에 갔었죠. 그 다음으로 2014년 당시 오픈을 준비하고 있던 광주클리닉이 있는 캄보디아에 가서 그 준비를 도왔고요. 다음으로 미얀마에도 가려고 했는데 그때 그곳 선거 상황이 복잡해서 안전을 위해 다시 캄보디아로 돌아왔어요.

 이런 해외 봉사활동을 준비할 때는 일단 너무 멀면 자주 갈 수가 없기 때문에 좋은 접근성이 필요해요. 가깝고, 비행편도 좀 여유롭고, 여러 사람들이 왔다갔다 해야 하니 너무 비싸지도 않아야 해요. 네팔 같은 곳은 가는데 6시간 반이 걸리고 항공료도 최소 130만 원이 들어요. 반면에 캄보디아의 경우는 항공료가 그리 큰 문제는 아니었기 때문에 그런 현실적인 이유로 캄보디아를 선택했어요. 또한 캄보디아는 킬링필드라는 어려운 근대사를 겪었던 나라이고요. 또 이런 종류의 해외 프로젝트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현지 파트너십을 만드는 일인데요. 전 이제 그곳에 믿을 수 있는 훌륭한 협업 파트너가 있어요. 이러한 파트너십과 캄보디아로의 접근성, 그 곳의 역사성을 고려할 때 캄보디아는 우리가 도와나갈 1순위 장소라고 할 수 있겠고, 앞으로도 점점 늘려가야죠.

 -광주뉴스: 사람들의 삶을 돕고 이주민을 지원하는 다양한 일들을 하고 계신데 이렇게 하시는 특별한 동기가 있으시나요?

 △솔직히 말하면 전 이걸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물론 처음 시작은 도와야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했지만 어느 시점이 되니까 이건 미래에 대한 확실한 투자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아시아에서 대한 제 연구에 미뤄보면, 2050년까지 세계 총생산량의 50퍼센트가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될 것이고요. 세계 청년 인구 3분의 1이 아시아에 살 거예요. 물론 이러한 통계들도 현재 제 노력의 원동력이 되고 있지만, 제가 장기간의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을 하게 한 원동력은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굉장한 자신감으로부터 나와요.

 어릴 적에 저희 어머니는 항상 남에게 베푸는 분이셨어요. 저는 철들고 나서 10년간 학생운동가 활동을 했고요. 요즘 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 ‘1987’에 대해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저도 그런 활동을 하며 지명수배자로도 4년간을 지내기도 했고요. 솔직히 저도 여기에 대해 쓰라면 4년간 수배 생활한 것부터 교도소에 다녀온 것까지 쓸 수 있는 말이 참 많을 거예요. 그 때 저를 지배한 것이 학생운동이었다면 이제는 이타적인 삶에 대한 것들이 저를 가득 채웠죠. 저는 이런 삶이 얼마나 보람찬 것이 될 수 있는지를 배웠어요. 마치 뱃사공이 자기 몫의 삯을 버리고 공공의 이익에 헌신하고 사회적 가치를 위해 살아가려고 하는 것처럼 말이죠. 저는 어떻게 보람된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해 이런 프로그램들을 하면서 배웠어요. 이런 것들이 지금의 저를 만든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고 생각해요. 학생 때의 민주화운동, 독재타도 활동, 이런 과정들이요.

 -광주뉴스: 어머니에 대해 잠깐 이야기하셨는데 혹시 선생님께 나아갈 힘을 주는 또 다른 특별한 것은 없었나요?

 △서유진 선생님이신데 광주의 원로 활동가이고 제 멘토에요. 일찍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하셔서 70년대 박정희 유신 독재에 항거하며 백악관 앞에서 1인 시위도 하셨던 분이에요. 5·18 이후 유신 반대 운동을 하셨고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 규명, 조선대학교의 이철규 열사 진상 규명 활동을 해오셨어요. 민주통합협의회라는 단체의 사무총장으로 계속 미국에 계시면서 한국 근대 역사에 관계된 활동을 하셨던 분이에요.

 문익환 목사님의 동생이신 문동환 목사님이 지금 90세가 넘으셨는데 미국의 그 단체에서 의장을 하셨어요. 미국 교포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활동하는 그 시민 모임으로서 서유진 선생님이 일원으로 활동하셨죠. 1993년에 한국으로 돌아오셔서는 윤장현 현 시장님을 만나요. 두 분은 현실적으로 우리가 정말 원하는 것이 국제화는커녕 국내화도 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인식을 함께해요. 그 모든 입법 활동과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고, 1994년에 김영삼 대통령이 선출되고, 1995년에 5·18 특별법이 제정되고, 전두환과 노태우를 법정에도 세웠지만 말이죠.

 -광주뉴스: 그건 참 안타깝네요. 그게 아마 서유진 선생님을 고무시키고, 서일권 선생님의 초점을 외국 활동에 두게 한 것이겠군요.

 △맞아요. 그토록 많은 일이 있었지만 5·18은 여전히 광주 폭동같은 것으로 치부되고 있어요. 아무리 많은 특별법이 제정되어도 지금도 여전히 그렇잖아요. 안그래요? 그러니까 아이고, 어떻게 전국화도 되지 않은 게 무슨 세계화가 되겠어요. 그래서 우리는 서유진 선생님과 윤장현 시장님과 이야기하며 다시 한 번 우리의 방법에 대해 살펴봤어요. 우리는 군부독재와 민주화운동, 인권의 탄압이 있었던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가서 그곳으로부터 역류시켜서 광주를 찾아오게 하자고 이야기 했어요. 그곳에 가서 광주의 정신을 알리자고요. 그렇게 해서 서유진 선생님이 아시아 이곳저곳을 다니셨어요. 실종자들이 종종 발생하는 스리랑카 같은 곳을 가셨어요. 그러다가 제가 그 분을 캄보디아에서 만났고 윤장현 시장님도 함께 캄보디아의 해변에서 밤새도록 이야기를 나눴죠. 광주와 아시아, 인권, 민주주의 이런 것들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런 것들을 마음에 담아 프로그램을 만들고 그것들을 아시아에 맞추어 조정해 나갔어요. 청소년, 일반 시민들과 함께 다니며 라오스, 베트남과 같은 나라들의 역사 투어 같은 프로그램을 했는데, 각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했어요.

 -광주뉴스: 이런 많은 일들을 하시는데, 그렇다면 광주 속 국제사회 건설 같은 최종적인 목표가 있으시나요?

 △일단 제가 이 일을 함으로써 나와 우리 가족이 행복하고요. 제가 뭔가를 이루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돕는다기보다는, 좋은 세상을 미래의 후손들에게 물려준다는 생각으로 하고 있어요. 우리 아이들에게 더욱 공평하고, 더욱 사랑하고, 연대하는 그런 세상을요. 지금 이곳 이매진 스튜디오의 모토도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거든요. 그런 세상을 만드는 게 가장 기본적인 우선사항이에요. 그런데 보통 사람들은 다들 다른 누군가를 위해 열심히 일해 고생하고 있다며 많이 우쭐해 하는데 저는 그렇게는 일을 잘 할 수 없어요. 저는 제가 즐겨야만 보람을 느낄 수 있어요. 제 두 번째 목표는, 제가 오늘 차고 온 걸 한 번 보시겠어요? (목걸이를 가리키며)이건 평화를 상징하는 건데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말이 “나마스테”에요. 제가 이해하기로 이 말은 내 안에 있는 신이 당신 안에 있는 신에게 안부를 묻는다는 뜻이에요. 각자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기에 자기와 같은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고, 서로 아무리 생활 방식이나 종교가 다르다 하더라도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어요. 그게 평화를 만드는 거죠. 그렇지 않으면 전쟁이 나는 겁니다. 그러니까 저는 이 일을 제 행복과 평화, 그리고 제 가족을 위해서 하고 있고요. 그 외에는 특별한 것은 없어요. 여기에 더 길게 설명할 것은 없는 것 같아요.

글=Wilson Melbostad

사진=서일권

번역·감수=윤영호 (광주국제교류센터 기획운영팀 간사), 박상열 (광주국제교류센터 교류지원팀 간사)

통·번역=Anastasia Traynin, 한영리, 양준호
 
 ※추신: 인터뷰 이후에 서일권 씨는 이주민, 특히 밀입국자나 인도적 체류자에 대한 의료 문제의 협력 증진을 위해 광주광역시의사회 및 주요 이주민인권지원그룹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인도적 체류자를 포함한 난민들은 보험과 같은 여러 서비스에서 배제되어 있다.)
 
 작성자

 샌프란시스코 출신 윌슨 멜보스타드(Wilson Melbostad) 국제인권변호사는 전에 머물렀던 광주에 다시 돌아와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그의 새로운 프로젝트 옴라(OMLA: The Organization for Migrant Legal Aid. 이주민법률지원단체)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1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