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의 일신공장과 양동의 과거와 미래

▲ Ilshin Factory. 사진=Ana Traynin
 Across from the “Baseball Village” and the Im-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colorful artwork on a long row of uniquely triangle-shaped, cement-block buildings mixes with baseball player memorabilia.

 Standing on the narrow road that leads from the Mudeung Baseball Stadium towards the old downtown, these mural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sport:

 This is the entrance of the still-operating historical hub of Gwangju’s textile industry, Ilshin Spinning Inc. Factory 1, which was originally founded in 193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Jongyeon Spinning Mill, the largest in Korea.

 During the heyday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1970s, teenage girls and young women from low-income families, mostly from Jeonnam Province but some from elsewhere in Korea, packed in to work at the Ilshin and now-defunct Jeonnam textile factories.

 This writer had passed by the factory gates many times on the way downtown.

 Having met a former female sewer from the infamous wholesale Pyeonghwa Market of labor martyr Jeon Tae-il in Seoul’s Dongdaemun district, there was an interest in the important role female textile workers played in Korea’s economic growth.

 The Ilshin story came through the discovery of a May 2017 Gwangju Meil Shinmun article that reported on the operation in Im-dong and the Ilshin Spinning Factory 2 that had opened in 2007 in the expanding industrial complex in Pyeong-dong in the far west of the city.

 After meeting with its writer, Park Jun-su, the story expanded into a general reflection on Gwangju’s industrial history. Not only has Park written newspaper articles on the subject but he is the author of an entire book on a prominent figure of the times: Kim Hyeong-nam, a former U.S. military interpreter appoin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s chief director of the spinning mill in post-liberation 1945.

 Kim oversaw the National Jeonnam Spinning Corporation, from which Ilshin was spun off in 1961, and played a strong role in the community until his death at age 74 in 1978. His legacy as a manager also extends to the nearby Suhrim Presbyterian Church, which he founded in 1946 as a community center of worship and as a night school for the factory workers.

 While the Ilshin and Jeonnam factories take up a large visible chunk of Im-dong on the north side of the Gwangju River, the story continues southward across the river into Yang-dong.

 Part 1: Inside Ilshin Spinning Factory 1

 From outside the factory gates, no sound or sight of its continuous operation can be detected. Not even the inviting wall artwork, commissioned for local artists by Ilshin in 2012, gives any clue as to the work going on inside. On a sunny Monday morning in January, with snow still on the ground, journalist Park accompanied the writer to meet with Factory Manager Choi Yeon-jak and take a tour of the enterprise’s inner workings.

 On the side nearest the baseball stadium stand the old water tower, electricity generator, and underground water pipe pumping into the Geungnak River. Choi explained that in 2016, the old towers were scheduled to come down, but Ilshin opposed the decision and decided to keep them as emblems of the bygone era. In addition to the towers, the old railroad that transported fabric is still visible through a crack in one of the buildings.

 We move over to the production area, where rows of massive bales of white, fluffy raw material sit ready for processing. Choi explains that there are seven steps from initial processing until the final production of fabric that is sent for dyeing at Gyeonggi-do’s Banwol Dyeing Mill, established in 1984 as Ilshin’s own cloth dyeing center. Though automation rapidly decreased the number of workers from its peak of 2,000-3,000, Ilshin is still a 24-hour operation, employing about 500 women and 100 men to work 185,600 spindles of melange cotton and raw cotton in three daily shifts.

 Koreans and some foreign workers operate the processing machines and spinning looms that continue to push through 67,000 kilograms daily, producing various raw fabrics such as cotton and polyester out of textiles brought from such faraway locales as Indonesia, China, the USA, Brazil, Turkey, and Australia. The final products are ordered and distributed from headquarters in Seoul’s Yeouido, founded in 1991, and sent off to big-brand clothing companies such as Reebok, Fila, DKNY, and Tommy Hilfiger.

 Walking through the mixing and blowing room, the dust rises through the air and the machines whir. In the office, the finished yarn samples come in a multitude of bright colors, and the various maps on the wall show the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 In the room next to the office, a female staff member beams and proudly shows the visitors 5,000 multi-colored hanging pieces of finished dyed fabrics.

 Though we do not see every step of the process, the final part of the inside tour is, of course, the centerpiece: massive rows of thousands of spindles on ring spinning looms. The spun-out, bright white yarn is fine and soft to the touch. Not even five minutes into the tour, the sound of so many looms spinning at once is already deafening and overpowering. Compared to old photos of a young girl bent over every spindle, these days the machines seem to vastly outnumber the workers. Yet, without them, nothing could operate.

 Before heading outside, the writer and Journalist Park are instructed to blow off the dust covering our shoes with an air compressor. Though there is plenty more to be seen, the tour would not go on for more than an hour. Back outside in the fresh air and on the icy ground, the final stop is the green statue of Kim Hyeong-nam, erected in 1980 after his passing. His signature glasses and outstretched hands show the larger-than-life personality of the pastor and factory director, who was as well the chairman and president of Seoul’s Soongshil University, which sponsored his funeral. On a tree near the parking lot hangs a white placard written in English, perhaps as a nod to the U.S. military takeover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at was dedicated by workers on the first anniversary of freedom in 1946.

 Leaving Ilshin on that day left the writer with even more questions: Where do the current workers live“ How many foreign employees are there“ What is a day in the life of a contemporary textile mill worker like“ The answers would have to come at a later date, one outside the scope of this story.

 Part 2: The Emptiness and Revival of Yang-dong

 Betwee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zation after World War II and full democratization by the early 1990s, Yang 2-dong with its market, Yang 1-dong with its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Yang 3-dong - the area known as Balsan Village - were bustling with the bulk of the city’s working class. Market merchants, craftspeople, and laborers all mixed together, especially the young Ilshin and Jeonnam Spinning workers who walked across the stream along the former Ppongppong Bridge and took up residence in the hills and narrow alleyways of Balsan Village. In Korean, the name dal-dongne (달동네), meaning “moon village,” refers to this kind of urban slum neighborhood in a city’s hilly areas; however, when viewed from the top, Balsan Village ironically boasts some of the best views of the city.

 Journalist Park Jun-su grew up in Yang 1-dong right in the middle of the busy industrial years, and spent his childhood among the mazelike streets that lead to Yangdong Market, where his mother worked as a merchant. He finished his studies at Yangdong Elementary School, but while his peers put on school uniforms in middle and high school, he spent those years working in a furniture factory. Park remembers not only the hardships but also the vibrant, close-knit community that has changed dramatically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When I graduated from Yangdong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5,000 students,” Park said. “The last time I visited, the teachers told me there were under one hundred.”

 This hollowing out of Park’s old neighborhood is palpable while walking around on any given day, with mostly elderly residents and some laborers being visible.

 Notably, the presence of a multicultural family center suggests a transforming demographic. And yet, before the incorporation of rural Gwangsan-gu - the city district that nearly doubled the size of Gwangju and shifted the center further west - this area could have been seen as a central part of Gwangju.

 Standing at the highest top of Balsan Village near a modern art sculpture, anyone can see the span of Gwangju down below, with the Jeonnam and Ilshin spinning mills stretching out in the center and Kim Hyeong-nam’s brown-colored church with a European-style steeple. After the elimination of the old iron Ppongppong Bridge, there was no longer a direct route into Balsan Village, though a newer road through the formerly unauthorized dirt paths has been built to allow greater access and plans to rebuild the bridge in the future are in the works.

 Within the past two years, the neighborhood has been redubbed “Youth Balsan Village” in a collaboration between the city and Hyundai Motor Group to add color to the neighborhood and hopefully bring local youth to the area to meet with the senior residents. Certainly, the colorfully painted stairwell leading from the entrance near the stream to the top with the older houses has generated many youthful photographs. The addition of new cafes, painted houses, and the Ppongppong Bridge international art residence and gallery seem to have injected new life into this sleepy “moon village.”

 “I love this area,” Park said. “I am thinking about making a novel about it.”

 Our last stop in Yang-dong was the relatively new communal home for elderly women whose husbands have passed away, where we sat and chatted with these long-time Balsan Village residents. Old photos of the spinning mill girls at work in the 1960-1970s hang on the outside walls. Though none of them were textile workers, the ladies raised their families here and endured decades of hardships, with the home’s manager working as a hanbok tailor in her younger years. Somewhere in the area, a few former Ilshin and Jeonnam spinners still reside, but their stories will have to wait until another day.

 What started as curiosity about murals on cement walls near a stream and a baseball stadium unfolded into a story of Gwangju’s industrial past and a peek at the possible future of urban regeneration. Though the city’s factories have largely become concentrated in Gwangsan-gu’s growing industrial complexes, it is interesting to visualize the former bustling Im-dong and Yang-dong neighborhoods and to reimagine what they can still become.
Written by Anastasia Traynin

Photographed by Lorryn Smit and Anastasia Traynin
 
 Note: The writer would like to thank journalist and poet Park Jun-su at the Gwangju Meil Shinmun for his invaluable insight into the history and current operation of Ilshin Spinning Factory, his personal stories of Gwangju’s industrialization, and walks around his home neighborhood of Yang-dong.

 The Author

 Anastasia (Ana) Traynin was a co-managing editor of the Gwangju News. She has been a contributor to the magazine since fall 2013 and has been living in Gwangju since spring of that year. After teaching for three years at Hanbitt High School, she became a GIC coordinator in May 2016. She has passions for Korean social movements, alternative education, live music, languages, and writing.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March 2018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야구 마을”과 임동 주민센터 맞은편에, 화려한 색감의 예술작품들이 길게 늘어선 독특한 삼각형 모양의 시멘트 블록 빌딩 앞에 야구선수 기념판들과 함께 뒤섞여 있다.

 무등 야구장에서 구도심으로 향하는 좁은 길위에 서있는 이 벽화들은 사실 스포츠와는 별관계가 없다.

 그곳은 광주 섬유산업의 역사적인 중심지이자 현재 운영 중인 일신방직 1공장의 입구로, 일제강점기인 1935년에 종연방적이라는 이름과 함께 당시 가장 큰 규모로 설립되었다.

 1960년도와 1970년도 사이 산업화가 한창이었던 시기, 저소득 가정의 10대와 젊은 여성들이 일신방직과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전남방직에서 일하기 위해 전남과 기타 지역에서 옮겨왔다.

 필자는 종종 시내로 가는 길에 이 공장의 정문을 지나가곤 했었다.

 전태일 열사가 분신했던 서울 동대문구의 악명 높은 평화시장에서 일하셨던 여성 방직공들을 만나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한국의 경제 발전에 있어서 여성 방적공들의 중요한 역할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임동 공장과 더불어 광주의 서쪽에 위치한 평동산업단지에 일신방직 2공장을 2007년에 신설했다는 내용의 2017년 5월 광주 매일신문 기사를 통해, 일신방직에 대한 이야기를 알게 되었다.

 박준수 기자님과의 만남 이후, 이야기는 광주 산업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로 확장되었다. 박 기자님은 그 주제로 기사를 작성했을 뿐만 아니라,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에 의해 방적 공장의 공장장으로 임명되었고 당시 유명인이었던 미군 통역가 김형남에 대한 책 저자이기도 하다.

 김형남은 1961년 일신방직으로 분리 재출범된 전남방직공사를 관리했고, 1978년 74세로 사망할 때까지 지역 내에서 강력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역할은 근처 서림교회로 확장되는데 노동자들의 예배장소와 야간학교로 1946년에 설립하였다.

 일신방직과 전남방직이 광주천 북쪽인 임동에 자리 잡고 있지만, 이야기는 천 넘어 양동까지 이어진다.
 
 일신방직 1공장 내부로

 공장 입구에서는 가동 중인 공장의 모습이나 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다. 2012년 지역예술가들에게 의뢰하여 그려진 벽화조차도 공장 안에서 무엇이 일어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바닥에 여전히 눈이 쌓여있는 어느 1월 화창한 월요일 아침, 박 기자님, 최연작 공장매니저와 함께 공장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었다.

 오래된 급수탑과 발전기, 그리고 극랑강으로 흐르는 지하 배수관이 야구장 옆에 위치해 있다. 공장 매니저에 따르면, 오래된 탑들은 2016년에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일신방직의 반대로 옛시대의 상징으로 보존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탑들과 더불어 직물을 운반했던 오래된 철길은 건물 사이로 볼 수 있다.

 생산라인으로 옮겨가자, 하얗고 털이 가득한 원단들이 가공을 위해 놓여 있었다. 초기 가공부터 최종 생산까지 7단계가 나뉘어져 있으며, 최종 생산 이후에는 1984년에 설립된 경기도의 반월염색공장에 보내진다. 한때 2000명에서 3000명에 달했던 근로자의 수가 기계화로 인해 빠르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500여 명의 여성 근로자와 100여 명의 남성 근로자들이 일일 3교대로 24시간동안 총 18만5600개의 멜란지사과 원사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인과 몇몇 외국인 근로자들이 가공기계와 방직기를 작동시키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중국, 미국, 브라질, 터키, 호주와 같은 먼 곳에서 수입한 원면으로 면과 폴리에스테르등 다양한 직물 총 6만7000kg을 매일 생산하고 있다. 최종 생산물은 1991년 설립된 서울의 여의도에 위치한 본사에서 리복, 필라, DKNY와 Tommy Hilfiger와 같은 대형 의류사로부터 주문받고 배송이 된다.

 혼타면실을 통과할 때, 먼지가 흩날리고 기계들은 큰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사무실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완성된 원사 샘플이 진열되어 있고, 각각의 원산지가 지도에 표기되어 있었다. 옆 사무실에서는, 한 여성 직원분이 5000가지 색상의 완성된 염색 직물을 보여주었다.

 비록 전체 과정을 다 보지는 못했지만, 투어의 마지막 코스는 가장 중요한 방적기의 수천개 가락들이었다. 자아낸 밝은 흰색 실은 아주 가늘고 부드러웠다. 투어가 시작한지 5분도 되지 않아 수많은 방직기들이 돌아가는 소리로 인해, 귀청이 떨어질 거 같았다. 모든 가락마다 어린 소녀들이 허리를 굽힌 채 일하는 오래된 사진들에 비해, 요즈음 기계들은 근로자들의 수를 훨씬 뛰어넘었다. 그러나 여전히 그들이 없다면 공장은 돌아갈 수 없을 것이다.

 밖으로 나가기 전, 신발 위에 쌓인 먼지를 공기 압축기로 털어내었다. 아직 볼게 많이 남았었지만, 투어는 한시간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밖으로 나가자 살얼음이 깔린 길과 신선한 공기가 우리를 맞이하였고, 돌아가신 후 세워진 김형남 동상을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그의 상징인 안경과 펼쳐진 손은 목사이자 공장장, 그리고 그의 장례식을 지원했던 숭실대학교의 이사장이자 총장으로서의 큰 성품을 보여주고 있다. 주차장 근처에 있는 한 나무 위에 영어로 쓰인 플래카드가 걸려있는데, 해방 이후 1946년 첫 광복절에 미군정에 대한 찬성의 의미로 노동자들에의 의해 헌정되었다고 한다.

 그날 일신을 떠나면서 오히려 더 많은 질문들이 생겨났다. 오늘날 근로자들은 어디에 살고 있을까? 얼마나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을까? 현대 방적 공장 근로자들의 일상은 어떨까? 이에 대한 대답은 훗날 언젠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양동의 공허함과 부활

 2차 세계대전 후 일제 해방부터, 1990년대 민주화가 될 때까지, 양2동에는 시장이, 양1동은 주민센터가 그리고 발산마을이라고도 불리는 양3동은 도시의 근로자 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시장 상인들, 장인들 그리고 근로자들, 특히 일신방직과 전남방직의 젊은 근로자들이 옛 뽕뽕다리를 따라 천을 건너 위치한 발산마을 언덕과 비좁은 골목길에 모여 살았다. 한국어로 ‘달동네’는 도시 언덕에 위치한 빈민가를 의미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언덕 꼭대기에서 바라 본 발산 마을은 도시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을 뽐낸다.

 산업화가 한참일 때 박 기자님은 양1동에서 자랐으며, 그의 어머니가 상인으로 일했던 양동시장으로 가는 미로 같은 길에서 그의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가 양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친구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진학할 때, 그는 가구 공장에서 대신 그시절을 보냈다. 그는 고난의 시간뿐만 아니라 지난 수십 년 동안 급격하게 바뀐 생기 있고 긴밀한 공동체를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양동 초등학교를 졸업했을 때, 5000여 명의 학생들이 있었다”라고 박 기자님이 말했다. “얼마전 방문했을 때, 지금은 학생들이 100명도 안된다고 들었다.”

 박 기자의 오랜 마을이 허전해진 모습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아무 때나 마을을 걷더라도 대부분 나이든 거주자들이나 몇몇 근로자들이 보일 뿐이다.

 다문화 가족 센터의 존재는 인구 통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광주 서쪽에 위치했고 광주의 2배크기였던 광산구가 편입되기 전에는, 이 지역이 광주의 중심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발산 마을 꼭대기의 현대미술조각품 근처에 서면, 도시 전체를 볼 수 있으며, 중심에는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그리고 유럽스타일의 첨탑과 함께 김형남의 교회를 볼 수도 있다. 오래된 철제다리였던 뽕뽕다리가 철거된 이후, 발산 마을로 가는 직접적인 길은 없지만, 옛 흙길 위에 새로운 길이 마을로 나있고 다리도 다시 지을 계획이다.

 지난 2년간,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그룹은 지역의 청년들과 어르신들의 만남을 위해 마을에 색을 입히는 “청춘발산마을”을 조성하였다. 개울 근처의 입구에서부터 오래된 집들이 위치한 꼭대기까지 계단이 다채롭게 색칠되어 있다. 새로운 카페, 색칠해진 집, 뽕뽕다리 국제예술마을 및 갤러리들은 이 지루한 “달동네”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은 듯 보인다.

 “전 여기가 좋아요.” 라고 박 기자님이 말했다. “이곳에 대해 소설을 하나 쓸 생각이에요”

 투어의 종착지였던 양동은 남편과 사별한 할머님들이 모여 사시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공동체이기 때문에, 발산 마을의 오랜 거주자들과 모여 앉아서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 방적공장 소녀들의 오래된 사진이 밖의 벽에 걸려있었다. 비록 그들중 직물 직공은 한명도 없었지만, 어릴 적 한복 재단 공장에 일을 하면서 아이들을 키우고 수십 년의 고난을 견뎌왔다고 한다. 여전히 일신 및 전남 방적공장 직공들 몇몇이 이곳에 살고있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다음을 기약할 수밖에 없었다.

 단순히 야구장과 개울 옆의 시멘트 벽면에 있는 벽화에서 시작한 호기심이 과거 광주의 산업화에 대한 이야기와 미래 도시재생의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어졌다. 비록 도시의 공장들은 이미 광산구의 성장하는 산업단지에 집중되어 왔으나, 임동과 양동 지역의 바쁜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들이 여전히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다시 상상해보는 것도 역시 흥미로웠다.
글=Anastasia Traynin

사진=Lorryn Smit, Anastasia Traynin

번역=김인호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감수=박상열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지원팀 간사)
 
 ※필자는 시인이자 광주매일신문 기자인 박준수님께 일신방직 공장의 과거 및 현재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광주의 산업화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 그리고 양동을 함께 거닐 수 있었던 것에 대해 깊은 감사를 전한다.

 저자

 안나스타지아(애나) 트레이닌은 광주뉴스의 공동편집자로써 2013년 봄 광주로 온 이후 그해 가을부터 광주뉴스에 기여해왔다. 3년간 한빛고등학교에서 일한 후에, 2016년 5월에 광주국제교류센터의 간사로 일을 시작했다, 한국의 사회운동, 대안교육, 라이브 음악, 언어, 그리고 글쓰기에 관심이 깊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3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부터 매달 발간하고 있는 한국 최초로 발간된 공식 영문 월간잡지이다. 매달 지역민과 지역의 이야기를 다뤄오고 있으며 특히 지역거주 외국인과 커뮤니티의 활동과 모습을 담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다. (www.gwang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