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alk Back to the Start of Modern Korean History
제주다크투어:
한국 근현대사의 시작으로 되돌아가기

▲ 지난 5월 제주다크투어에 참가한 외국인 참가자들.
 Living in Gwangju, walking down Geumnam-ro, and around the blue fountain, clock tower, and the former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it is hard to miss the various commemoration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e truth of that 1980 national tragedy and spark for democratization was hardly known outside of activist circles before the 1990s, and the full story continues to be uncovered to this day. Yet the 5·18 incident is not the first case of the Korean government committing atrocities against its own citizens and covering it up for years.

 Well known for its beautiful beaches, plentiful citrus fruits, and surging tourism, the southern island of Jeju holds a dark and often forgotten history. When I first visited in summer 2012, I brought my bike on the ferry and cycled down to Gangjeong Village in Seogwipo, the site of a prolonged struggle against the now-completed and operational joint civilian and military Korean naval base. At the time, I only heard a brief mention of the history of violence that predated the events in Gangjeong. On subsequent visits, I learned more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naval base, Jeju as an Island of Peace, and mass grave sites and memorials that could be found in nearly every village on the island.

 As the year 2018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Jeju’s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an education campaign has been mounted nationwide, including President Moon Jae-in’s attendance at the 4·3 Memorial on Jeju, complete with a formal apology for violence committed by the state. Along with this, a loc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called Jeju Dark Tours: The Unforgettable Past has opened to give a glimpse into these tragic and buried events. With experience in Southeast Asia and at the large Seoul-based NGO coalition People’s Solidar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human rights activist Baek Gayoon moved down to Jeju Island in November 2017 to co-found her Dark Tours project. With her command of Korean and English, she is able to give separate tours for Koreans and interpreted tours for foreigners, including special programs for activists coming from abroad.

 Along with a group of seventeen other international participants, mostly English teachers on Jeju, I went on the first general weekend tour on May 12~13. As a non-Jeju native, the amount of love and solidarity that Baek poured into sharing the local history was a true testament to her activist spirit, which she passed on to all of us. After meeting at Jeju Airport on Saturday morning, we boarded our tour bus and rode to the first important stop: lunch. Sharing Jeju-style bibimbap with lovely soup and side dishes was a safe space in which to start the relationships that would build between many of the participants during the weekend.

 The next stop was Jeju 4·3 Peace Park with its museum, memorial altar, and symbolic mass graves. It was my third visit to this site further inland towards Halla Mountain, with its windswept open space that was chosen for a rare absence of actual graves. As usual, it projected an eerie and barren mood, but Baek’s excellent walkthrough of the museum exhibit put me right back into those early post-colonial days. The Jeju Uprising officially began in 1948, three years after liberation from Japan. Between then and the following six years, an estimated thirty thousand Jeju citizens (10% of the population) were killed under suspicion of being “reds” during a militant national anti-communist campaign. Before the social movement of the late 1970s and the 1980s shed some light on the massacre, the people of Jeju could not openly speak about the tragedy and trauma that had befallen their home. Generations lived and died without public acknowledgement of their profound loss. Finally,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signed the 4·3 Special Law in 2000, creating the Nation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f the Truth about the Jeju 4·3 Events. President Moon’s recent apology was preceded by that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in 2003, but there was still more to be uncovered.
[]
 Volcanic Jeju Island is also known for its caves, many of them literally deep holes in the ground. Jeju native O Muel’s 2012 feature movie Jiseul (Jeju dialect for “potato”) depicts targeted villagers living for months in one of these natural hiding spots. Our third stop on the Dark Tour was a walk through the forest to stand above the well-known Seonheul Doteul Cave, where we could imagine how the terrified islanders spent their last days before being discovered and shot. Our last Saturday stop before dinner was at Bukcheon Village, considered the first spark of the Jeju Uprising, where we heard from a primary source: Go Wan-soon, the chairperson of the Senior Villagers Association who witnessed the massacre at age 9. Passing through tears of traumatic memories, Go also revealed her delight at the chance to meet President Moon at the memorial on April 3. For many tour participants, hearing Go’s story was one of the most poignant parts of the weekend.

 After a heavy, stormy night and much-needed decompression and reflection following Saturday’s tour, we were fortunate to experience a sunny Sunday on Jeju. The stops were no less deep and historical: a walk around the Imperial Japanese anti-aircraft emplacement Soedal Oreum, a mass graveyard of 100 ancestors, and the house of the famous “lady without a chin” - 4·3 survivor Jin Ah-young who lived in the tiny building until her death in 2004.

 By the time we parted with Baek and the others, it was difficult to return to the normal weekly routine, having gone back seventy years in time in such a beautiful but haunted setting. With the next general tour for international residents coming up September 15~16, the Jeju Dark Tours is sure to instill more of a reverence for the past that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nd future.
Facebook: @jejudarktours
Website: http://blog.naver.com/jejudarktours
 
Written by Anastasia Traynin

Photographs by Anastasia Traynin and Jeju Dark Tours
 
 The Author

 Anastasia Traynin (Ana) was the 2014-2015 Online Editor for Gwangju News and recently left her role as Co-Managing Editor during her time as GIC coordinator. She is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Korean Studies in Seoul. Her interests include social movements, alternative education, feminism and the environment.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uly 2018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광주에 살면서 금남로, 파란분수대, 시계탑 그리고 옛 전남도청 터 주변을 걸을 때 5·18민주운동의 다양한 기념행사를 그냥 지나칠 수는 없다. 1980년 국가적 비극과 민주화 촉발에 대한 진실은 1990년대 이전까지는 활동가들 이외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오늘날까지도 전체적인 내용이 계속 밝혀지는 중이다. 그러나 5·18이 한국정부가 자국민들에게 잔학 행위를 저지르고 오랫동안 은폐한 첫 사례가 아니다.

 아름다운 해변과 감귤, 한라봉 등 풍부한 과일 그리고 활기찬 관광으로 잘 알려진 남쪽 섬 제주도는 종종 잊힌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처음 제주도를 방문했던 2012년 여름, 나는 제주여객선에 자전거를 싣고 가서, 지금은 완성되었으나 그 당시는 민간·군사 합동으로 조성 중이던 한국 해군 기지에 대한 장기 투쟁 장소인 서귀포 강정마을까지 자전거를 타고 갔다. 그때 나는 강정 사건들 이전에 존재했던 폭력의 역사에 대한 짧은 언급만을 들었을 뿐이었다.) 그 이후 방문에서, ‘평화의 섬 제주’의 해군기지와 섬 마을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공동묘지터와 추모비가 관련되어 있음을 더 알게 되었다.

 2018년 70주년을 맞는 제주 4·3 사건과 대량학살은 전국에서 교육 캠페인으로 전개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이 제주 4·3 기념식에 참석하며 국가권력의 폭력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로 완결되었다. 이와 함께, 비극적이고 묻힌 사건들을 엿볼 수 있게 있도록 제주 지역의 한 비영리단체인 ‘기억하고 싶은 길 - 제주다크투어’가 시작되었다. 동남아시아와 서울에 기반을 둔 시민단체, 참여연대에서 경험을 쌓은 인권활동가 백가윤 씨는 2017년 11월 제주에 내려와서 다크투어 프로젝트를 공동 설립하였다. 가윤 씨는 한국어와 영어 구사 능력으로 해외에서 온 활동가들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을 포함해 한국인과 영어 설명이 있는 외국인투어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대부분 제주에서 영어강사로 일하는 17명의 외국인 참가자들과 같이 5월12일부터 13일 올해 첫 외국인주말여행에 참여했다. 제주토박이도 아닌 백가윤 씨가 제주 역사를 알리기 위해 쏟아 부은 사랑과 연대는 우리 모두에게 전달된 활동가 정신의 참된 증거였다. 토요일 아침에 제주 공항에서 만난 후, 우리는 관광버스를 타고 처음 들른 곳은 점심을 먹기 위한 곳이었다. 맛깔난 국과 반찬과 제주도식 비빔밥을 같이 나누는 것은 주말 동안 많은 참가자들과의 관계를 시작하기에 알맞은 장소였다.

 다음 장소는 박물관과 제단 그리고 상징적인 집단 묘지가 있는 제주 4·3평화공원이다. 제주도 내륙에 한라산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으로 탁 트인 이곳은 실제 무덤이 아닌 단순 매장을 위해 선택됐고 이번이 나의 세 번째 방문이었다. 나는 여기를 세 번 방문하였는데, 한라산을 향해 내륙으로 더 들어가 있는 곳으로 바람이 많이 불고 탁 트여 있으며 실제 묘지들이 거의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어서 선정되었다. 여느 때처럼 으스스하고 황량한 분위기였지만, 박물관 전시실에서 가윤 씨의 훌륭한 안내는 나를 식민지 해방 초기로 데려갔다. 제주항쟁은 공식적으로 1948년,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지 3년 후에 시작되었다. 그 후 6년 사이에 제주 전체인구의 10%인 3만 명의 제주도민들이 국가적 반공운동 기간에 ‘빨갱이’라는 의심을 받으며 죽임을 당했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사회운동에서 대학살을 조명하기 전에는, 제주사람들은 그들의 가정에 닥친 비극과 충격에 대해 드러내어 말할 수 없었다. 동시대 사람들은 깊은 상실에 대해 공개적으로 알지 못 한 채 살았고 죽었다. 마침내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제주4·3사건 진상조사위원회를 설립하면서 4·3 특별법을 제정했고,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 이전에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도 사과했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것들이 밝혀지지 않았다.

 화산섬 제주도는 동굴로 또한 알려져 있는데 많은 동굴들이 문자 그대로 땅 속 깊은 구멍이다. 제주 토박이인 오멸 감독의 2012년 장편 영화 ‘지슬(감자의 제주사투리)’은 이러한 자연 은신처 중 하나에서 수개월 간 살았던 마을 사람들을 묘사하고 있다. 다크투어에서 세 번째로 멈춘 곳은 유명한 선흘 도틀굴 위에 서서 숲길을 따라 걷는 것인데 우리는 공포에 질린 섬 주민들이 발견되고 총살당하기 전에 그들의 마지막 날들을 어떻게 보냈는지 상상할 수 있었다. 토요일 저녁식사 전, 우리가 마지막으로 들른 곳은 북촌리였다. 9살 때 학살을 목격한 최초 증언자 고완순 노인회장을 통해 이곳이 제주 4·3 사건의 첫 시작으로 여겨진다고 들었다. 자신이 목격한 충격적인 기억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고완순 씨는 지난 4월3일 추모식에서 문 대통령을 만난 기회에 대한 기쁨을 밝혔다. 많은 투어 참가자들에게 고완순 씨의 증언은 주말투어 동안 가장 가슴 아픈 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찾은 북촌리에서 9살 때 학살을 목격한 고완순 노인회장을 통해 제주 4·3 사건에 대한 진실을 듣는 자리가 마련됐다.

 토요일 투어 후에 풀린 긴장감과 반영된 생각, 그리고 폭우와 비바람 세차가 몰아지는 밤이 지나고 제주의 맑은 일요일을 경험할 만큼 운이 좋았다. 이번 행선지도 역시 깊고 역사적이었다. 100여 명의 조상들이 한데 묻힌 섯알오름 일제 고사포진지 주변과 ‘턱없는 할머니’로 알려진 고(故) 진아영 할머니 삶터를 걸었다. 할머니는 2004년 세상을 떠나실 때까지 이 작은 집에서 사셨다.
100여 명이 한데 묻힌 섯알오름 일제 고사포진지 주변.

 백가윤 씨와 일행들과 헤어질 때까지, 아름답지만 슬픈 곳에서 70년을 거슬러 갔다가 일상으로 돌아가기가 힘들었다. 오는 9월 15일~16일에 있을 외국인을 위한 다음 제주 다크 투어는 분명 과거에 대한 많은 경외심을 심어 주어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게 해 줄 것이다.
폐북 페이지 Facebook: @jejudarktours
홈페이지 Website: http://blog.naver.com/jejudarktours
 
글=Anastasia Traynin

사진=Anastasia Traynin, Jeju Dark Tours

번역=박채원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지원팀 인턴)
 
 필자

 아나스타시아 트레이닌(Anastasia Traynin)은 2014-2015년까지 Gwangju News 온라인 편집자였으며, 최근까지 광주국제교류센터 간사로 근무하면서 Gwangju News 공동편집자 활동하였다.
 현재 서울에서 한국학 석사 과정을 시작했으며, 사회운동, 대안교육, 페미니즘과 환경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7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부터 매달 발간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공식 영문 월간잡지이다. 매달 지역민과 지역의 이야기를 다뤄오고 있으며 특히 지역거주 외국인과 내외국인 커뮤니티의 활동과 모습을 소개한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다. (www.gwang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