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Yemeni Seeking Acceptance in Korea<1>
한국에서 받아들여지길 갈구하고 있는 한 예멘인<1>

▲ Yasameen Alqaifi.
 Yemen, the poorest country in the Arab world, has been amidst a bloody civil war for nearly four years. Since March 2015, neighboring Saudi Arabia has been leading a coalition of Gulf States against the radical Houthi rebels in northern Yemen, and the impact on the civilian population has been nothing less than devastating. The war has led to what the United Nations has described as the “world’s worst humanitarian crisis,” with the largest outbreak of cholera ever recorded in world history and 14 million people in Yemen (approximately half of the country’s population) in need of aid to survive amid fears of an imminent and massive famine. The independent Yemen Data Project has tracked the number of air strikes since the start of the war to be around 18,000, which works out to an average of about 14 bombings per day.

 Meanwhile here in Korea, over the course of the first five months of 2018, a total of some 480 Yemenis seeking asylum from the war arrived on Jeju Island. Though it has been over 25 years since Korea became a signatory of the Refugee Convention, the treaty that grants individuals the right to faithfully seek shelter from impending persecution at home, a surprisingly large majority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deemed the Yemenis in Jeju to be trespassing upon Korean soil and, accordingly, unwelcome. Many were outraged when they learned tha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ad also passed the Refugee Act in 2013, which further confirmed the right of those fleeing violence to seek sanctuary i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Such disdain in Korea has been evidenced by numerous anti-refugee protests that have taken place all over the country, vicious hate speech online, and even an online petition submitted to President Moon Jae-in and signed by over 700,000 citizens calling for the government to immediately deport the Yemeni asylum seekers.

 Insert into the story Yasameen Alqaifi, a 28-year-old English teacher from Sana’a, Yemen’s once-thriving capital city. Yasameen herself arrived in Jeju in May of 2018, and though she received legal affirmation of her ability to stay in the country via a humanitarian status visa(※refer to footnote) in October of 2018, she still personally fights on a daily basis for the affirmation of her new community. The Gwangju News was lucky enough to catch up with Yasameen and hear her incredible story of perseverance and love, even in the face of hate.
 
 Gwangju News (GN): It is a pleasure to meet you, Yasameen.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our readers.
 
 Yasameen: My name is Yasameen Alqaifi and I am from Yemen, where I was an English teacher for elementary school. I graduated from Suna’a University with a major in traditional English literature. I taught for one and a half years before the war broke out. I am single and 28 years old.
 
 GN: What were the circumstances back home that led you to flee your country?
 
 Yasameen: The whole story? Well, I guess I should start from the beginning. Though the records say the war started in 2015, the truth is that Yemen has been in a political crisis since 2011, when a series of street protests against the government broke out. The government retaliated violently against the protestors and negative sentiments against the government became more and more serious. This backdrop helped give rise to the 20~30 percent of Yemenis who not only were anti-government but who also began to push forward these ideas of killing the president and other heinous acts. These individuals, who call themselves the Houthis, lived among us as normal people, but slowly but surely everyone else began to realize what they really wanted. Fast forward a few years and the Houthis revolt within the country gained so much traction that the group took control of the capital in September 2014. The new president of our country, terrified of the Houthis’ advancements, fled to Saudi Arabia and asked the Saudis to help overthrow the Houthis and take back control of the country. Saudi Arabia then teamed up with 12 other nations to begin the air strikes and counter attacks, which have continued to this day.
 
 GN: Do you remember where you were when the air strikes started?
 
 Yasameen: Yes, of course. March 25, 2015, was the first time that I encountered the bombings. My family and I were woken up by a huge boom. Since it was raining outside, I had assumed the noises were just from the thunderstorm, and I remember telling my sister this as I helped her back to bed. Seconds later, we heard an even bigger boom than before, this one shocking me to my core. Realizing these sounds were much bigger than thunder, I turned on the TV and a Lebanese news anchor came on announcing that the Saudi coalition was starting its first day of bombings. I remember turning off the TV and coming back to my family feeling extremely sad; it was as if life had stopped.
 
 The Lebanese anchor on the TV said the bombings would last only three days and the war would be over, but truthfully, we were all very scared of the bombs. I remember trying to distract my younger brothers and sisters by telling them about the good news that school would be closed for a little while. Three days passed and nothing changed as the bombings continued. Weeks became months, and eventually we heard news that the Saudis would be using illegal chemical weapons and bombs in our neighborhood. That night at 6 p.m., a bomb went off that knocked me off my feet. In Yemen, when you heard a plane, you knew it was going to be dropping a bomb. I still think of those bombs every time I hear an airplane; the images will not leave my mind.
By Wilson Melbostad

Photographs by Sarah Pittman
 
 ※FOOTNOTE
 humanitarian status visa=According to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s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proceedings, an asylum seeker can (a) receive refugee status and be granted a permanent visa, as well as access to Korea’s welfare programs, (b) be outright rejected from receiving any sort of protec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or (c) be granted humanitarian status, which denotes that the government finds that the asylum seeker’s circumstances do not meet the minimum standard to be considered a refugee (i.e., establishing a well-founded fear of being persecuted should one return to their country), but are credible enough to not receive provisional protection. Humanitarian status holders are given temporary visas that provide access to work and the right to lawfully reside within the country, but concurrently restrict individuals from accessing Korea’s state-sponsored insurance or other welfare programs. Furthermore, visas must be renewed at the discretion of the government on either a three-month, six-month, or annual basis. Of the 480 asylum seekers who arrived in Jeju in 2018, two individuals were given refugee status, 412 were given humanitarian status, and 56 were outright denied any protection.
 
 The Author
 Wilson Melbostad i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attorney hailing from San Francisco, California. Wilson has returned to Gwangju to undertake his newest project: the Organization for Migrant Legal Aid (OMLA), which operates out of the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He has also taken on the position of managing editor of the Gwangju News.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anuary 2019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Yasameen Alqaifi.|||||

 아랍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인 예멘은 거의 4년간 피비린내 나는 내전의 한 가운데에 있습니다. 2015년 3월 이래로, 이웃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는 북부 예멘의 과격한 후티(Houthi) 반군에 대항하여 걸프만 국가들의 연합을 이끌고 있으며, 민간인에 대한 영향은 그야말로 엄청난 타격이었습니다. 이 전쟁은 세계역사상 가장 최대라고 기록되는 콜레라 발병과 1천 4백만 명의 예멘인(국가 인구의 약 절반가량)들이 당장 닥쳐오는 거대한 기근의 공포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유엔이 “세계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라고 묘사하는, 그런 상황을 초래했습니다. 독자적 예멘 데이터 프로젝트(the independent Yemen Data Project)는 전쟁이 시작된 이래로 공습 횟수를 추적해왔는데 대략 1만8000건이었으며, 이는 하루 평균 14건의 폭격이 발생한 것으로 계산됩니다.

 한편 여기 한국에서는 2018년 초반 5개월 동안, 전쟁으로 망명을 요청한 총 480명의 예멘인이 제주도에 도착했습니다. 한국이 난민협약, 즉 자국에서 눈앞에 닥친 박해로 피난처를 찾는 사람들에게 권리를 부여한다는 이 조약의 가입국이 된 지 25년이 넘었음에도, 놀랍게도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제주도의 예멘인들을 한국 영토에 불법 침입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환영하지않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2013년에 대한민국 국회가, 폭력을 피해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안식처를 구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확정해주는 난민법을 승인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격노했습니다. 한국에서의 이러한 경멸은 전국에서 일어난 수많은 난민 반대 시위, 악의에 찬 온라인 혐오 발언, 그리고 심지어 문재인 대통령에게 온라인 청원이 제출되고 정부가 예멘인 망명 신청자들을 당장 추방하라는 청원에 70만 명이 넘게 서명함으로써 증명되고 있습니다.

 한때 예멘의 번화한 수도였던 사나(Sana’a)에서 온 28살 영어선생님 야사멘 알카이피(Yasameen Alqaifi)의 이야기를 게제합니다. 야사멘은 2018년 5월 제주도에 도착했으며, 2018년 10월에 인도주의적 비자(각주 참조)를 법적으로 확정 받아 국내에 머무를 수 있었음에도, 여전히 새로운 공동체의 인정을 받기 위해 매일 투쟁하고 있습니다. 광주뉴스는 운 좋게도 야사멘을 찾아가서 인내와 사랑, 심지어 혐오에 직면한 놀라운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광주뉴스(광) : 야사멘 씨, 만나서 반가워요. 독자들에게 본인 소개를 해 주세요.
 
 야사멘 : 제 이름은 야사멘 알카이피이고, 예멘에서 왔어요. 예멘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선생 님 이었습니다. 사나 대학을 졸업했고 전통 영문학을 전공했어요. 전쟁이 일어나기 전 1년 반 정도를 가르쳤습니다. 미혼이고, 28살이에요.
 
 광 : 본국을 탈출하게 된 상황은 어떤 것이었나요?
 
 야사멘 : 전체 이야기요? 글쎄요, 제 생각엔 처음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네요. 전쟁이 2015년에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사실 예멘은 정부에 대항하여 일련의 거리 시위가 발생한 2011년부터 정치적 위기 상태였어요. 정부는 시위자들에 대해 폭력적으로 보복했고, 정부에 대항하는 부정적인 정서는 점점 더 심각해졌어요. 이러한 배경이 예멘 사람들 20~30%에게 반정부적일 뿐만 아니라 대통령을 살해하고 다른 흉악한 행위를 추진하려는 생각을 부추겼어요. 스스로를 후티라고 지칭하는 이 사람들은 일반인처럼 우리들 사이에 살고 있지만, 서서히 그러나 확실히 다른 모든 사람들은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기 시작했어요. 몇 년 뒤 후티 반군은 2014년 9월 수도를 장악할 정도로 매우 많은 힘을 얻었어요. 후티가 증가하는 것을 두려워한 신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도망쳐서 후티를 진압하고 국가 통치를 되찾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어요. 사우디아라비아는 12개의 다른 나라들과 협력하여 공습과 반격을 시작했는데, 그게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광 : 공습이 시작될 때 어디 계셨는지 기억하시나요?
 
 야사멘 : 네, 물론이죠. 처음 폭격을 겪은 건 2015년 3월이었어요. 가족들과 전 엄청난 폭발로 잠에서 깨어났죠. 밖에 비가 오고 있어서 그 소리가 천둥인줄 알았고, 여동생한테 그렇게 말하면서 침대로 돌아가도록 한 것이 기억나요. 몇 초 뒤, 전보다 더 큰 폭발음이 들렸는데 엄청 충격적이었어요. 그 소리가 천둥보다 크다는 걸 깨닫고 TV를 켰는데, 레바논 뉴스 앵커가 사우디 연합이 폭격을 시작했다고 했어요. TV를 끄고 극심한 슬픔을 느끼면서 가족들에게로 돌아왔던 것이 기억나요. 마치 인생이 멈춘 것 같았습니다.
 TV에서 레바논 뉴스 앵커가 폭격이 단지 3일 정도만 지속되고 전쟁이 끝날 거라고 했지만, 사실 우린 그 폭격이 너무 두려웠어요. 동생들한테 학교가 잠깐 휴교할 거라고 하면서 주의를 돌리려고 했던 것이 기억나요. 3일이 지났고, 계속되는 폭격처럼 변한 것도 없었어요. 몇 주가 지나 몇 달이 되고, 결국은 사우디가 불법 화학무기와 폭탄을 인근에 사용할 것이라는 뉴스를 들었어요. 그날 밤 6시, 내 다리가 마비될 정도의 폭격이 일어났어요. 예멘에 있을 때 비행기 소리가 들리면 폭탄이 투하될 것이라는 걸 알았어요. 전 지금도 비행기 소리가 들릴 때마다 폭격들이 생각나요. 그 장면들이 절대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을 거예요.
글=윌슨 멜보스타드(Wilson Melbostad)

사진=사라 피트만(Sarah Pittman)

번역=백지연(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각주
 (humanitarian status visa)인도주의적 지위 비자=대한민국 법무부의 난민 지위 결정 절차에 따르면, 망명 신청자는 (a) 난민 지위를 받을 수 있고 영구 비자를 받을 자격이 있으며 한국의 복지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b)한국 정부로부터 어떤 형태든 보호를 완전히 거부당하는 불법이거나, (c)망명 신청자의 상황이 난민으로서의 최소한의 기준(자국으로 돌아간다면 박해당할 충분한 근거가 있는 두려움이 있는 등)에 이 충족되지 않지만, 임시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충분한 신뢰가 있는 경우에 인도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인도주의적 지위를 획득한 사람은 직업을 구하고 국가에서 법적으로 거주할 권리가 제공되는 임시 비자를 받지만, 동시에 국가가 지원하는 보험이나 기타 복지 프로그램 혜택 수혜는 제한된다. 게다가 비자는 3개월, 6개월, 혹은 1년 단위로 정부의 재량하에 갱신되어야 한다. 2018년에 제주도에 도착한 480명의 망명 신청자 중, 2명이 난민 지위를 받았고, 412명은 인도주의적 지위를, 그리고 56명은 어떠한 보호든 완전히 거부되는 불법 판정을 받았다.
 
 저자.
 윌슨 멜보스타드 (Wilson Melbostad)는 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출신의 국제 인권 변호사입니다. 윌슨은 광주로 돌아와 이주자 법률 지원기구(OMLA; Organization for Migrant Legal Aid)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광주국제교류센터 외부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주뉴스의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9년 1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에 처음 발행한 대한민국 최초의 영문 대중월간지입니다. 매월 발행되는 각 호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지역사회의 이야기 및 활동에 중점을 둔 지역의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습니다. (www.gwan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