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무지개: 애니 완 도자기의 영역을 넓히다

 After a long run from September 3, the 11th Gwangju Art Biennale wrapped up on November 6. While most of the art was exhibited inside the gallery, there was a special art piece set up as a kiosk on the Biennale plaza. Annie Wan Lai-Kuen, international award-winning Hong Kong-based ceramics artist and assistant professor at Hong Kong Baptist University’s Academy of Visual Arts, created a colorful piece called Every Day a Rainbow, incorporating everyday objects found in local shops and replacing those objects in the shops with celadon.

 Shortly before the exhibit’s closing, Gwangju News was able to catch up with Wan over email and recorded interview, discussing the possible future of ceramics and its place within contemporary art.

 GN: How did you first get involved with the Gwangju Biennale 2016?

 Wan: I got an email in 2015, asking if I was interested in a residency and making a new piece for an exhibition. This year, Maria the director and Michelle [an assistant curator] stopped in Hong Kong and I showed [them] my portfolio. They asked me to do a research trip in April, so at that time I realized that I was a participating artist in the Gwangju Biennale. I did the Forum at the university [in March 2016] before the research trip and when the idea became concrete, from July to August, I started to do the residency, the making of ceramics and the production of the whole piece.

 GN: Speaking of the Forum that you participated in, “What does art do? Mediating the Gwangju Biennale 2016,” was held at the University of Hong Kong on March 23, 2016. In regards to such a seminar, what do you believe is the role that the university setting plays in mediating art?

 Wan: For your question about the university’s role, I think this is more important for young people studying art. What I hesitate about ? maybe it would be better to have the forum at another university like the Chinese University or our Academy of Visual Arts. These two universities have practical art courses, but the ar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 Hong Kong are mainly history and theory. If the young artists or the young artists-to-be who are in those practical art courses are (at the Forum), they will get more in to the discussion of how a practical artist thinks about doing artwork and how it relates to society. Putting it in a school setting plays a positive role in mediating arts, if the publicity can be spread more widely.

 GN: How does your conceptual approach to ceramics reflect the changes in contemporary art?

 Wan: When I make an art creation, I am mostly concerned about the gap between ceramics and contemporary art because it is quite different. The nature of ceramics is as a kind of craft and also the material base and objects play a very important role. For contemporary art, it is not concerned as much about media and material. The concept is more important. Always, we think (about) how ceramics can be pushed more to the boundaries and at the same time retain its significance, because when it is spreading too much, maybe its identity will become weakened. The raw material is not that important and that goes to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the whole piece. So rethinking the media in my work is also a very important factor. The process of ceramics actually carries its identity. Even though its boundary is extended, because ceramics is put at center stage, as an element to be investigated, it will not lose its identity in this way.

 GN: What was your inspiration behind the work Every Day a Rainbow, collecting objects from local shops and replacing them with celadon?

 Wan: I think shopping is a very main thing in my work because I started the work with shopping for the kiosk, the window blinds for furnishing the kiosk and buying the commodities to put inside the kiosk. So I think in this work, I also wanted to push the boundaries of art, making art and also how to display an artwork, like in a normal museum. Putting objects in local shops but at the same time, switch those objects to make the materials from artwork. These two oppositions ask the question “What is art?” I just do the artwork with the material, and (if) the material is daily-life objects, then that is the whole display place, like a shoemaker’s booth, but in the shops, I replace it with celadon. Also the rainbow color, it is creative. I put the kiosk in the plaza, so the audience would not just be those who buy the tickets and get into the gallery. It is also the students who play in the plaza, and the neighbors when they pass the plaza, so they can see my work as well. I do not turn off the lights, even though it is Midnight, so it glows very colorfully in the darkness. I quite like that part. And also how I extended space from the kiosk to the wooden chair we made outside to reflect another chair from a coffee shop. So everything is put together to make a kind of new experience for the people who pass by the plaza.

 GN: What are some trends that you see happening in the present and future of ceramic arts?

 Wan: I think ceramics in contemporary art does face an identity crisis, because it is a traditional art form and it carries some raw material, techniques and craftsmanship. This is not a concern in contemporary art, so some of the ceramics artists will go back to their cultures and try to see if there are any new possibilities in the [traditional ways]. But some ceramics artists will ignore all these traditions and start a very new approach to ceramics. In this approach, the identity of ceramics may be weakened as I said before. There is still quite a lot of room and space for ceramics artists to explore. Because ceramics is a multimedia [form], you may take up your own position in this wide space. With traditional techniques or cultures, you can enjoy working in the crafts area. Some artists will like to break the mold, so there is quite a lot of possibility Contemporary art [is showing a] trend of going back to craftsmanship. If so, ceramics can have some visibility in contemporary art.

By Anastasia Traynin



-<원문해석>-

 9월 3일 대장정을 시작한 제 11회 광주 비엔날레는11월6일 막을 내렸습니다. 대부분의 작품은 실내 갤러리에 전시된 반면, 한 작품은 특이하게 비엔날레 광장에 구멍가게처럼 설치되었습니다. 홍콩의 국제대회 수상경력의 도예가이자 홍콩 침례 대학교 시각 예술 대학 조교수인 애니 완 라이 균 씨는 동네 가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일상적인 물건들을 모아서 청자로 바꾸어 놓은 `오늘도 무지개’ 라는 다채로운 색의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전시가 끝나기 직전에, 광주뉴스는 완 씨와 이메일를 통해 연락이 닿아, 도예의 미래와 현대미술에서 도예의 위치에 대한 인터뷰를 녹음했습니다.

 광주뉴스:2016년 비엔날레에 어떻게 처음 참여하게 되셨나요?

 완 : 2015년에 전속 작가로서 전시할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는지 묻는 메일을 받았어요. 올해, 예술 감독인 마리아씨와 보조 큐레이터 미첼씨가 홍콩에 들렸을 때 제 포트폴리오를 보여주었죠. 그 분들이 4월에 연구 출장을 요청했는데 그때 제가 광주 비엔날레 참여 작가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연구 출장전인 2016년 3월에 대학에서 포럼을 했고 아이디어가 구체화된 7월부터 8월까지는 광주에 거주하면서 도기들과 전체 작품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시작했어요.

 광주뉴스 : 참여하신 “예술은 무엇을 하는가? 2016 광주 비엔날레 조율하기” 포럼은 2016년 3월23일 홍콩 대학에서 열렸는데요, 그런 세미나와 관련해서, 대학이 예술을 조율하는 것에 어떤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완 : 대학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 답하자면, 제 생각엔 대학의 역할은 예술을 공부하는 젊은 사람들에게 더욱 중요하죠. 말하기 망설여지는 것은, 중국대학이나 저희 시각예술대학 같은 다른 대학에서 포럼을 개최했으면 더 좋았을 거라는 거죠. 두 대학은 실용예술 과정이 있지만 홍콩대학의 예술 과정은 역사나 이론이 주에요. 실용 예술 과정에 있는 젊은 예술가나 예비 예술가가 포럼에 있었다면, 실용 예술가들이 예술작업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과 어떻게 이것이 사회와 연관되는지에 대한 토론을 더 할 수 있었을 겁니다. 홍보가 널리 된다면 학교에 이런 행사를 유치하는 건 예술 조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죠.

 광주뉴스 : 완 씨의 도자기 공예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이 현대 예술의 변화를 어떻게 나타내나요?

 완 : 예술 작품을 만들 때, 저는 현대 예술과 도자기 공예 사이의 차이를 항상 고려해요, 꽤 다르니까요. 도자기는 하나의 공예이고 기본 소재와 오브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현대 예술은 미디어나 소재에 대해서 크게 고려하지 않아요. 컨셉이 더욱 중요하죠. 우리는 어떻게 하면 도자기공예가 한계를 넘어서고 동시에 그 자체의 의미를 유지할 수 있을 지 항상 생각해요. 너무 보편화 되면 도자기의 정체성이 약해지기 때문이죠. 원자재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고 전체 작품의 개념적 전개가 중요합니다. 제 작업에서 미디어를 다시 생각하는 것 또한 중요한 요인이에요.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은 사실 그 자체의 독자성을 지닙니다. 살펴봐야 할 요소로서 도자기가 주목의 대상이기 때문에 그 경계가 확대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독자성을 잃지는 않을 것입니다.

 광주뉴스 : `오늘도 무지개’ 작품에서 동네 가게에서 물건들을 모으고 청자로 바꾸는 영감은 무엇이었나요?

 완 : 구멍가게에 비치할 창문 블라인드와 상품들을 구입하고 구멍가게를 위한 물건 구매로 작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제 작업에서 쇼핑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 그리고 저는 이 작업에 있어서, 예술과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 그리고 일반적인 박물관처럼 작품을 전시하는 방법에 대한 경계를 넓히고 싶었어요. 동네가게에 물건들을 두지만 동시에 그것들을 예술작품의 소재로 바꾸는 것이죠. 이 두가지 대립점은 “예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해요. 저는 단지 그 소재로 작품을 만드는 일을 하고 그 소재가 일상생활의 물건들이라면, 구둣방처럼 소재가 작품 전시 공간의 전체인거죠. 단지 저는 가게 안을 청자로 바꾸죠. 또한 무지개 색은 창의적이죠. 구멍가게를 광장에 설치해서 티켓을 사서 갤러리에 들어가는 사람들만 관객이 되지 않도록 했어요. 광장에서 노는 학생들이나 광장을 지나가는 주변 이웃들도 제 작품을 볼 수 있도록 했어요. 자정이 되어도 조명을 끄지 않아 어두울 때 매우 다채롭게 빛날 수 있도록 했고, 저는 그 점이 꽤 마음에 들어요. 커피숍의 의자들을 반영해 야외에 나무의자를 만들어 가게 공간을 확대한 방식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이 모든 것이 합쳐져 광장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새로운 경험을 만들죠.

 광주뉴스 : 현재 도자기 공예는 어떤 경향을 보이나요? 미래에는 어떤 경향을 보일까요? 현재와 미래의 도자기 공예에 어떤 경향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시나요?

 완 : 현대 예술에서 도예는 독자성에 위기를 맞고 있다고 생각해요. 도예는 전통 예술형식이고 한정된 원자재와 기술들, 장인정신을 수반해요. 이것들은 현대 예술에서 고려되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몇몇의 도예가들은 그들의 문화로 돌아가 전통적 방식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이 있는지를 보려고 노력할 겁니다. 하지만 또 어떤 도예가들은 모든 전통들을 무시하고 도자기 공예에 아주 새로운 접근을 시작하죠. 이러한 관점에서는, 전에 이야기 한 것과 같이 도자기의 독자성은 약해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여전히 도예가들이 탐험할 공간과 여유들이 많이 있어요. 도예는 멀티미디어 형식이기 때문에, 이 넓은 공간에서 자신의 지위를 차지할 수도 있어요. 전통적인 기술과 문화를 가졌다면 공예 분야에서 일하는 것을 즐길 수도 있어요. 일부 예술가들은 작품틀을 깨는 것을 좋아해서, 장인정신으로 돌아가는 트렌드를 보여주는 현대 예술에서 많은 가능성이 있어요. 그렇다면 도예는 현대 예술에서 어느 정도 눈에 띌 수 있어요.

글= Anastasia Traynin

번역=손새롬 광주국제교류센터 기획운영팀 인턴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