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길을 따라 만나는 공포와 역사의 현장

▲ 국군광주병원 앞 보안부스.
 The elderly in South Korea can be a law unto themselves.

 That thought dawned on me when I happened upon a small band of retirees illegally farming a plot of land along 5·18 Road in Ssangchon-dong (쌍촌동). I’m not one to pass judgement, but there really were no two ways about it. The land was part of a derelict building complex protected by high walls, a defunct ADT security system, and multiple signs prohibiting trespassing. What these deterrents were meant to shield were in fact the moldering remains of a former command center with a grim past.

 According to the clunkily worded placard out front, this was “the actual command center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suppression operation.” And yet, despite the site’s important role in South Korean history, there was its battered wooden door - the one chink in the armor - clinging helplessly to a single hinge after what must have been an impressive break-in scene.

 Once inside, still more signs - these expressly forbidding farming - stood unheeded. One such sign had a pair of gardening gloves draped cheekily over it, while the others were minded about as much as the chapped crops they overshadowed. Somewhat satirically, these displays of elderly insouciance all took place beneath the main building’s facade, which still bears the faded hanja characters 忠誠 (chungseong), meaning “loyalty” or “fidelity.”

 Of course, little from the site’s past merits even a modicum of loyalty. It was the place where the former regional military intelligence unit, known as the 505 Security Forces, was stationed during the Gwangju Uprising.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lacard, the nascent junta “installed a joint investigation unit here and arrested regional democratic figures, leaders of student bodies, [and members of] the Citizens’ Army.” Hauntingly, the placard also attests that arrestees were confined in “dungeons” and subjected to “torturous investigations.”

 When walking the grounds, it’s hard not to imagine exactly where these horrific events might have occurred. For instance, one bulky metal door is particularly suggestive, as the rusted keys to its padlock dangle directly across from it at eye level. Another similar door leads to the basement of the main building, where dirty, disconsolate windows to underlit rooms are hemmed in by prisonlike iron latticework. Absent further detail, the mind inevitably fills in the gaps with morbid guesswork.

 Fortunately, the city has designated the former command center as a 5·18 (May 18th) historical site and plans to develop the area, so much of what’s currently unknown about the place will likely be revealed sometime in the future. For now, however, it’s better to hold off visiting until the city gives further notice.

 Just a few minutes’ walk from the former command center is another morose stop along 5·18 Road that’s both better maintained and less of a mystery.

 Designated as a 5·18 historical site twenty years ago, the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is a rather tragic and moving place to visit. According to the placard near the entrance, it was the site “where the citizens who were arrested by the martial forces and tortured during the investigation were brought for treatment.” But that wasn’t the end of their abuse. As a depressing coda, the placard adds that the “dispatched martial law investigators interrogated citizens even here.”

 Sadly, it’s quite probable that many who were tortured at the former command center were brought directly here for forced treatment and further interrogation, given the close proximity of the two sites along 5·18 Road.

 Today the former hospital’s grounds are a solemn park where visitors can walk paved roads among the site’s many deteriorating remains. These include a brick church, a barracks, rows of hospital buildings, and numerous other structures, all of which have been left standing in their original state. The buildings are clearly labeled (in Korean) on the maps at both entrances as well as on the newly erected fences surrounding them. It’s definitely worth visiting if you have any interest in the history of Gwangju or the Gwangju Uprising.

 The former hospital is easily accessible, as it’s conveniently situated between the subway stops at Hwajeong Station (화정역) and Ssangchon Station (쌍촌역).

 On a final note, given the awful history of the site, it’s definitely not the kind of place you should be taking selfies at. In fact, some of the elderly visitors may not like to see you snapping photos at all, which is somewhat understandable. On my first visit, one such visitor admonished me for shooting photos, which prompted me to double-check the signboard at the entrance for any bans on photography. Of course, there were none.

 But, once again, the elderly in South Korea can be a law unto themselves.
Written and photographed by Isaiah Winters

 THE AUTHOR

 Originally from Southern California, Isaiah Winters first came to Gwangju in 2010. He recently returned to Korea after completing his M.A. in Eastern Europe. He enjoys writing, political science, and urban exploring.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March 2018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한국의 노인들은 그들 자체만으로 법이 될 수 있다.

 퇴직한 어르신들이 쌍촌동의 오월길을 따라 자그마한 땅에 불법적으로 농사 짓는 모습을 우연히 발견했을 때, 이 생각은 더욱 분명해졌다. 내가 판단할 일은 아니지만, 틀림없이 불법이었다. 높은 담벼락과 지금은 작동하지 않는 캡스 보안장치, 그리고 무단침입을 금지하는 많은 표지판들이 있는 그 땅은 버려진 한 건물의 일부였다. 마치 건물의 방패처럼 보이는 이것들은 사실 잔인한 과거를 가진 옛 지휘본부의 잔해이다.

 앞쪽에 있는 표지석에는 “광주 5·18민주화운동 진압작전의 실질적인 지휘본부”라고 투박하게 쓰여 있었다. 그리고 이곳은 한국의 중요한 역사적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낡은 나무 문 사이로 빛이 새어나오고 있었고, 경첩은 마치 침입 장면이 있었던 것처럼 달랑달랑 매달려 있었다.

 안으로 들어가도 여전히 많은 표지판들이 있었다. 농사를 금지한다고 쓰여 있지만 무시된 채로 서있었다. 한 표지판에는 보란 듯이 원예용 장갑 한 쌍이 놓여 있었고, 다른 표지판들도 주변 농작물들로 인해 무색해지고 있었다. 다소 풍자적이지만, 본관 아래 태평한 노인들의 모습과는 반대로, “충성심” 또는 “충실함”을 뜻하는 한자 忠誠(충성)이 표지판에 새겨져 있었다.

 물론, 이 장소의 일부는 약간의 충성심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다. 이곳은 광주 5·18민주화운동 당시, 지역의 군 정보부대였던 505보안부대가 자리 잡고 있었던 곳이다. 앞서 언급한 표지석에는 신군부가 “합동수사단을 설치하였고 이 지역의 민주 인사, 학생운동 지도부(그리고 활동원들) 및 시민군 등을 체포했다.”라고 적혀있다. 또한, 이들을 “지하 감옥”에 감금하고 “고문 수사”를 자행하였다고 쓰여 있는 부분은 아직도 나의 뇌리에서 잊히지 않는다.

 건물로 걸어 들어가 보면, 이 장소가 얼마나 끔찍한 일들이 일어났던 곳인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의 눈높이 정도에 걸려있는 자물쇠와 녹슨 열쇠가 달려있는 커다란 철문은 더욱 그러했다. 비슷하게 생긴 또 다른 문은 이 건물의 지하로 이어진다. 칙칙하고 암담해 보이는 창문과 어두운 조명, 그리고 교도소처럼 쇠창살로 둘러싸여 있었다. 소름끼치는 생각들이 떠올라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다행스럽게도, 광주시는 이곳을 5·18민주화운동 사적지로 지정하였고 새롭게 개발시킬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이 장소에 대한 많은 부분들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래에 언젠가는 낱낱이 밝혀질 것이다. 하지만, 당분간 광주시의 추가적인 공지가 있기 전까지는 방문을 미루는 것이 좋을 듯하다.

 보안부대 건물에서 오월길을 따라 몇 분 정도만 걸으면, 잘 보존되어있고 평범해 보이는 또 하나의 사적지가 있다.

 그곳은 20년 전에 5·18 사적지로 지정된 국군광주병원인데 상당히 비극적이고 가슴이 아픈 장소이다. 입구 표지석에는 “계엄사에 연행되어 심문하는 과정에서 고문과 폭행을 당한 시민들이 끌려와 치료를 받았던 곳”이라고 쓰여 있다. 하지만, 그들의 만행은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표지석에는 암울한 맺음말로 “이곳까지 계엄사 수사관들이 파견되어 치료 과정에서도 시민들은 취조를 당했다”고 적혀 있다.

 오월길을 따라 굉장히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이 두 사적지를 봤을 때, 애석하게도, 505보안부대에서 고문당했던 많은 사람들이 강제적인 치료와 추가적인 취조를 위해 이곳으로 끌려온 것은 꽤 그럴싸한 일이다.

 오늘날, 국군병원이 있던 부지는 많이 훼손된 사적들 사이로 포장된 도로가 있는 엄숙한 공원이 되었다. 벽돌로 지어진 교회, 늘어서 있는 병원 건물들, 그리고 다른 많은 구조물들 모두 원래 상태 그대로 남아있다. 그 건물들은 공원 입구에 있는 지도 모두에 명확하게 (한국어로) 표기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울타리가 건물 주변에 설치되었다. 만약 광주나 광주 5·18민주화운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분명 방문해볼만한 가치가 있다.

 국군광주병원은 화정역과 쌍촌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사적지의 끔찍한 역사를 봤을 때, 편하게 셀카를 찍을 수 있는 그런 따뜻한 장소는 분명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물론 이해될 수 있겠지만, 이곳을 방문하는 몇몇 어르신들은 당신의 사진 찍는 행동을 좋아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처음 이곳을 갔을 때, 한 어르신이 사진 찍는 나를 꾸짖었다. 입구에 사진 촬영 금지 팻말이 있었나 하고 생각했을 정도였지만 그런 팻말은 물론 없었다.

 그러나 다시 한 번, 한국의 노인들은 그들 자체만으로도 법이 될 수 있다.
글·사진=이사이아 윈터스

번역=송명인

감수=박상열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지원팀 간사)
 
 저자

 이사이아 윈터스는 사우스 캘리포니아 출신으로, 2010년 광주에 처음 왔으며, 최근에는 동유럽 석사과정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평소 글쓰기와 정치학 그리고 도시 탐방을 즐겨한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3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부터 매달 발간하고 있는 한국 최초로 발간된 공식 영문 월간잡지이다. 매달 지역민과 지역의 이야기를 다뤄오고 있으며 특히 지역거주 외국인과 커뮤니티의 활동과 모습을 담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다 (www.gwang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