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의 수호자, 2018 광주인권상 수상의 영예

▲ Nandana Manatunga - winner of the 2018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Diploma in Human Rights Training… diploma in Youth Pastoral & Faith Education… diploma in Foundations for Pastoral Renewal… diploma in Development Dynamics… diploma in Leadership…

 So reads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Nandana Manatunga - winner of the 2018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This award is an annual dedication to the people’s spirit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osted by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As I was waiting for Manatunga’s response , I was sitting on a bench with a cup of coffee in front of the Yongbong-gwan build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is was where the student protest started that led to the Gwangju Uprising in 1980. As a human rights activist myself, I am curious about how others got started in the same relentless fight against social injustice. For Manatunga, the impetus was seeing his compatriots being tortured, burnt, and killed on the roadside and thrown into the river.

 It was during the second year of his priesthood in Sri Lanka that the Janatha Vimukthi Peramuna (JVP) Youth Insurrection - also known as the 1989 Revolt - hit its climax. It was organized by the left-wing nationalist Sinhalese JVP against the Sri Lankan government under President J. R. Jayewardene. Occurring from 1988 to 1989, the unfortunate incidents resulted in over 60,000 deaths, including many who did not have any connection with the JVP. Many people “disappeared” or were killed by security forces and paramilitary groups who operated under the authorization of the government.

 Manatunga decided to do something about it. He visited several police stations and army camps to get some of the youth released and provide security for those who were being searched for by the security forces. Manatunga recounts the incident that changed his life: “Once when I was traveling alone in my van, a man stopped me, got into my vehicle, and asked me to speed up. The stranger then got off at the bus stop and only then revealed that he had been taken to the cemetery to be shot, but he managed to escape.” And thus commenced Manatunga’s career as a human rights defender.

 Sri Lanka has left this dark past behind, but corruption still cripples the system, making it impossible to establish sound law enforcement units. This, coupled with widespread public apathy, has given rise to numerous cases of human rights abuses, particularly in the form of rape and torture. A rape occurs every five and a half hours in Sri Lanka, according to police statistics . The wrongdoers often beat the rap or get away with mild sentences. The fact that rape and torture are perceived as commonplace and that a culture of victim-blaming exists only rubs salt in the wound.

 Fortunately, the situation is improving, according to Manatunga. “Because of the recent incidents of cruel, inhuman acts of rape and murder, people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and are condemning crimes to the extent that civil society has campaigned to implement capital punishment for criminals of rape and murder,” he said.

 The work Manatunga has put forward is not to be overlooked. His holistic three-body approach, called “Victim-Centered Activity,” involves providing security for young abuse victims to restore their sanity and lives. It also includes surrounding victims with assistance from a professional support group (including counselors, doctors, lawyers, and foster parents), and using Manatunga’s post as a religious leader along with the media to transform public attitudes. His organization, Human Rights Office Kandy, is not the only one that provides legal assistance to victims in Sri Lanka, but his organization’s holistic assistance is still unique. As a result, Manatunga’s model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countless victims of rape and torture, and has revolutionized the landscape of human rights work in other countries.

 Not only are former victims witnesses of institutional injustice - they can also be agents of change. Manatunga told me about the stories of two such people. The first was a young man named Vivodan who was arrested as a suspect under the Prevention of Terrorism Act (PTA) in the north of Sri Lanka. He was severely tortured by the police but was later released after his persuasive negotiations. But Vivodan’s battle did not stop there - his brother was arrested, too. “Since [Vivodan] got his freedom, he has joined us and exerted ferocious efforts to free not only his brother, but also other political prisoners and all torture and rape victims in all our campaigns,” Manatunga said.

 The other victim who later became an agent of change was a police officer named Anton Perera, who was arrested on fabricated charges and ended up being tortured and imprisoned. Manatunga’s team managed to free Perera, provide him with counseling, and restore his dignity. Perera is now an activist who supports other victims of torture by accompanying them to court. Unfortunately, his activism has also rendered him a target of law enforcement agencies. “[Perera] was followed by police officers when he accompanied a torture victim to an outstation high court, but he managed to escape,” Manatunga said.

 Working as a human rights defender is like dicing with death - one has got to batten down the hatches. “In 2008, one of our victims was shot dead and our task was found to have become even more difficult with the PTA,” Manatunga said. “After the civil war, the police have all the powers to label any person as a terrorist and make them disappear.”

 Providing protection and security to torture victims is the biggest challenge that he and his team have faced. As the perpetrators invariably happen to be running from law enforcing units, protecting the victims is a difficult task. As daunting as it is, their will withers not.


 “Despite notes of warning, we accompany the victims of torture and continue to do so until the perpetrators are convicted in court,” Manatunga said. “Most cases have been going on for 12 to 15 years.” The very first cases in which Manatunga’s team provided shelter, security, medical care, counseling, and education were in 2001. The high court case was finally concluded in December 2015. He emphasized the enormous sacrifice the victims had to bear to seek justice while the perpetrators lived a free and happy life.

 Regarding his view on the future of human rights in Sri Lanka, Manatunga is convinced that problems will persist if the leaders in his country carry on entertaining impunity and corruption.

 “As long as we have a defective justice system, justice is going to be delivered with impunity and rife with loopholes,” Manatunga said. “The perpetrators of crime and corruption will rule the country, and human rights issues will remain.”

 The future looks rather bleak, and the need for a strong, charismatic leader who stands for truth, justice, and integrity is urgent. Fortunately, the city of Gwangju has now recognized Manatunga as one such leader.

 As the laureate of the 2018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Manatunga dedicated the award to all the victims, survivors, members of support groups, and human rights defenders whom he has worked with. He hopes that the award will inspire many other activists, as well as religious leaders, to defend and protect the rights of the people, even if it means taking on unforeseen risks.

 Manatunga is an astoundingly qualified academic, a revered Father, and a courageous hero who commits to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in his country and inspires humanity. He does not speak to us from an ivory tower, but rather keeps it real, confronting the predicaments in the trenches by supporting thousands of victims of torture and rape, and by educating myriad human rights activists.

 We can all learn something from him. I know I did, as I was sipping his lessons into my consciousness while taking in the aura of the place where history began and human rights triumphed.
Written by Sen Nguyen
Photographed by Adam Travis and courtesy of Fr Nandana Manatunga
 
 The Author

 Sen is a graduate student and a vigorous reader, whether it is a book or people. She comes from Hanoi, Vietnam, but her home is wherever her heart is.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June 2018 issue.
 Gwangju News is the first public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first published in 2001 by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Each monthly issue covers local and regional issues, with a focus on the stories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ead our magazine online at: www.gwangjunewsgic.com

-<원문 해석>-

 인권교육 학위, 청년목회 및 신앙교육 학위, 기초목회갱신 학위, 발달역학 학위, 리더십 학위…

 위에 열거된 모든 학위는 2018 광주인권상 수상자인 난다나 마나퉁가 신부의 학력사항이다. 광주인권상은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가진 사람들을 발굴하여 수여하는 상으로 5·18기념재단이 매년 시상해 오고 있다.

 마나퉁가 신부의 연락을 기다리는 동안 전남대학교 용봉관 건물 앞 벤치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이곳에서 시작된 학생들의 저항은 1980년 광주항쟁으로 이어졌다. 나는 인권활동가로서 사람들이 사회 불의에 대한 끈임없는 싸움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는 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마나퉁가 신부의 경우, 그의 동료가 고문 받고, 불에 태워지며, 거리에서 죽임을 당한 뒤 강으로 던져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가 스리랑카에서 신부 2년차를 맞이하던 해에 ‘1989년 반란’이라고도 불리는 ‘인민해방전선 청년반란(Janatha Vimukthi Peramuna (JVP) Youth Insurrection)’이 정점에 달했다. 이 사건은 싱할리족의 좌익 민족주의 단체인 인민해방전선이 스리랑카 자이에와르데네 대통령 정부에 대항해 일으켰다. 1988부터 1989년까지 이 불행한 사건으로 인해 6만여명 이상이 사망했는데, 그 중에는 인민해방전선과 아무 관련 없는 사람들도 많았다. 정부의 승인 아래 활동했던 보안부대 또는 불법무장단체에 의해 많은 이들이 ‘실종’되거나 죽임을 당했다.

 그래서 마나퉁가 신부는 무언가를 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끌려간 청년들을 석방하고 보안부대의 추적을 당하던 이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몇몇 경찰서와 군부대를 찾아갔다. 마나퉁가 신부는 그의 삶을 바꾼 한 사건을 기억한다. “어느 날 밴을 타고 가는데 한 남자가 갑자기 제 차를 세우고 올라탄 후 빨리 엑셀을 밟으라고 하더군요. 그 수상한 남자는 한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면서 자기가 어떤 묘지로 끌려가 총살을 당할 뻔했는데 겨우 도망쳐 나왔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이것이 마나퉁가 신부가 인권 옹호자로서의 삶을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이 스리랑카의 어두운 역사는 지나갔지만, 여전히 만연한 부패로 인해, 사회 시스템은 병들고 있고, 건강한 법 집행기관을 세우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대중의 무관심도 심각해 강간이나 고문 같은 인권 침해 사건 발생 수가 계속 증가해왔다. 경찰 통계에 의하면 스리랑카에서 강간 사건은 5시간30분마다 발생하고 있다. 범법자들은 종종 혐의를 피하거나 가벼운 형량선고로 모면한다. 강간과 고문을 흔히 있는 일로 인식하고 오히려 피해자를 비난하는 문화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마나퉁가 신부는 의하면, 다행히도 상황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의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강간, 살인사건들이 사람들의 인식을 조금씩 바꾸고 있고. 시민 사회가 강간, 살인범들의 사형 집행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일 정도로 범죄를 규탄하고 있다고 한다.

 마나퉁가 신부가 해온 모든 일들은 간과할 수 없는 것들이다. 그의 전체적 삼위일체 접근법 ‘희생자 중심의 활동’은 어린 학대 피해자들의 정신과 삶을 회복하기 위해 안전을 보장한다. 또한 상담가, 의사, 변호사, 양부모 등을 포함한 전문지원단체와 함께 피해자를 지원하고, 마나퉁가 신부의 종교적 리더 지위를 활용해 미디어 매체를 통해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가 운영하는 단체인 캔디인권사무소(Human Rights Office Kandy)는 스리랑카의 희생자들에게 법률지원을 제공하는 유일한 단체는 아니지만, 여전히 특별한 전체적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마나퉁가 모델은 셀 수 없이 많은 강간, 고문의 희생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어왔고, 다른 나라의 인권운동에도 지각변동을 일으켜왔다.


 희생자들은 제도적 불의의 목격자일 뿐만 아니라, 변화의 주체가 되기도 한다. 마나퉁가 신부는 그 예로 두 사람을 이야기해주었다. 첫 번재 사람은 비보단이라는 청년으로 북스리랑카에서 테러방지법(PTA: Prevention of Terrorism Act)의 용의자로 체포된 사람이다. 그는 경찰로부터 심하게 고문 받았지만 설득력 있는 협상으로 풀려날 수 있었다. 그러나 비보단의 싸움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그의 형제 또한 체포되었기 때문이었다. 마나퉁가 신부는 “자유를 찾은 비보단은 그 후로도 우리와 함께했고 자기 형제 뿐 만 아니라 우리의 캠페인의 대상인 정치범들, 고문과 강간의 피해자들 또한 풀려날 수 있도록 치열하게 노력해왔어요”라고 말했다.

 변화의 선봉에 선 또 다른 희생자는 안톤 페레라라는 경찰인데, 조작된 사건으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으며 수감생활을 했다. 마나퉁가 신부 팀은 그를 어렵게 석방시킨 후 상담을 통해 그의 자존감을 회복시켜 주었다. 페레라는 이제 다른 고문 희생자를 지원하는 활동가로서 희생자가 법원으로 이동할 때마다 동행하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런 활동으로 인해 그는 경찰의 추적 대상이 되었다. 마나퉁가 신부는 “페레라는 고문 피해자와 함께 고등법원에 가던 도중 경찰에게 끌려갔지만 겨우 탈출할 수 있었어요”라고 말했다.

 인권 옹호자로서의 활동은 목숨을 건 활동이기 때문에, 항상 위기에 대배해야 한다고 한다. 2008년에 저희 희생자 중 한 명이 총에 맞아 사망하였고 테러방지법으로 인해 활동도 더욱 어려워졌다고 한다. 내전 이후 경찰은 어떤 사람이든 테러리스트로 딱지를 붙이고 사라지게 하는 그런 무소불위의 힘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고문 피해자들에게 보호와 안전을 제공하는 것은 그와 팀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다. 가해자들이 변함없이 법 집행기관에 있기 때문에 희생자들을 보호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현재 낙담한 상황처럼 그들의 의지 또한 시들지 않을 것이다.

 “이런 경고에도 불구하고, 가해자들이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때까지, 고문 피해자들과의 동행을 계속 할 겁니다”라고 마나퉁가 신부가 말했다. “대부분의 소송은 12년에서 15년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어요.” 2001년에 마나퉁가 신부 팀이 보호소와 안전, 의료 지원, 상담, 교육을 제공했던 첫 번째 소송은 2015년 12월이 돼서야 고등법원 판결이 났다. 그는 가해자들이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동안 희생자들이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견뎌내야 했던 막대한 희생을 강조했다.

 마나퉁가 신부는 스리랑카 인권의 미래에 대해, 국가 지도자들의 범죄에 대한 불처벌과 부패가 지속되는 한 문제는 계속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마나퉁가 신부는 “우리가 결함이 있는 사법제도를 가지고 있는 한 범죄 불처벌과 도처에 널린 허점으로 인해 정의는 이뤄지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범죄 가해자들과 부패는 이 나라를 지배할 것이고 인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을 겁니다.”

 미래는 암울해 보이고, 진실과 정의를 대변하는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의 필요성도 더욱 긴급하다. 이번에 광주가 마나퉁가 신부를 그러한 지도자로 인정한 것은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2018 광주인권상의 수상자로서 마나퉁가 신부는 이 상을 모든 희생자와 생존자, 후원자 모임, 그리고 그와 함께 했던 인권 옹호자들에게 바쳤다. 그는 이 상이 종교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수많은 활동가들 모두에게, 예상치 못한 위험 속에서도 인권을 보호하고 지켜낼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마나퉁가 신부는 저명한 학자이자 존경받는 신부이며, 그의 나라를 조화로운 사회로 만들고 인류애를 실현하기 위해 헌신하는 용기 있는 영웅이다. 그는 현실과 동떨어진 상아탑에서가 아닌 현실의 도랑 속에서 역경에 맞서면서, 수천명의 고문과 강간 희생자들을 지원하고 무수히 많은 인권 활동가를 키우며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해오고 있다.

 내가 그러했듯이 우리 모두는 그에게 무언 가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역사가 시작되고 인권이 승리했던 이곳 전남대 용봉관의 기운을 받으며, 그의 교훈을 나의 생각으로 천천히 받아들였다.
글=센 응우옌
사진=애덤 트래비스 (난다나 마나퉁가 신부의 동의 하에 촬영)
번역=윤영호 (광주국제교류센터 기획운영팀 간사)
감수=박상열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지원팀 간사)
 
 작가

 대학원생인 센은 책이든 사람이든 가리지 않고 열심히 구독하는 열성 독자이다. 베트남 하노이 출신이지만 그녀의 마음이 머무는 곳이 곧 그녀의 집이다.
 
 ※이 글은 광주뉴스 2018년 6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광주뉴스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01년부터 매달 발간하고 있는 한국 최초로 발간된 공식 영문 월간잡지이다. 매달 지역민과 지역의 이야기를 다뤄오고 있으며 특히 지역거주 외국인과 커뮤니티의 활동과 모습을 담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잡지를 볼 수 있다 (www.gwangjunewsgic.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