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댐은 섬진강의 상류인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사이에 놓인 높이 64m, 길이 344m의 중력식 콘크리트댐이다. 섬진강댐은 정읍시 산내면 능교2리 용암부락의 취수구에서 물을 취수하여 6.2km의 도수로를 통해 동진강 유역의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로 용수를 공급한다. 섬진강댐은 바로 하천수가 부족한 동진강 유역의 농업, 상수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유역변경식 댐이다. 또한 농업·상수원수의 공급과 병행하여 수력발전을 겸하고 있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이 운영하는 섬진강수력발전소는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와 협약을 체결해 섬진강댐의 수위를 매년3월 기준 188.68m로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10월 이후 갈수기에는 물을 끌어오지 못해 거의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으며, 4월에서 9월까지만 관개용수공급과 함께 수력발전을 하고 있다. 연간 평균 1억8100만 k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4월~9월까지 공급하는 관개용수는 정읍과 김제·부안·계화도까지 공급하고 있다.

 섬진강댐은 섬진강 상류의 물을 동진강으로 흘려보냄으로써 농업과 상수용수를 공급함은 물론 동진강 유역의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초 평야지대인 동진강 유역은 섬진강과 유역·환경의 차이로 쉬리·빙어·자가사리·은어·줄종개·왕종개 등이 서식하지 않았으나, 섬진강물이 흘러들어 새롭게 유입됐다. 이러한 생태계의 변화는 비슷한 어류의 잡종화를 가져와 유전자교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자칫 고유한 유전자원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섬진강은 유량이 부족한 동진강 유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만금호의 수질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호남정맥을 사이에 두고 섬진강은 호남정맥 동쪽의 산지하천이고 동진강은 호남정맥 서쪽의 평지하천이다. 때문에 비슷한 위도에 위치해 있음에도 섬진강댐 하부의 섬진강 하상 해발높이가 139.28m, 동진강 칠보지역의 해발높이가 29.65m로 해발고도가 110m 정도 차이가 난다. 이러한 지형적 차이와 동진강 유역의 농업용수 확보의 필요성이 섬진강유역변경식 발전소를 탄생하게 만들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유역변경식발전소는 도암댐(강릉), 보성강댐, 용담댐, 섬진강댐 등 4곳에 있으며, 도암댐은 백두대간, 용담댐은 금남정맥, 섬진강댐과 보성강댐은 호남정맥을 가로질러 유역변경식 발전을 하고 있다. 우리 고유의 지리인식인 산경도의 대간과 정맥을 가로질러 유역변경식발전소가 있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왜 우리나라의 대간과 정간에 유역변경식 발전소가 있을까? 산경도에 의한 섬진강 유역은 동쪽으로는 백두대간, 북쪽으로는 금남호남정맥, 서쪽으로는 호남정맥의 안쪽 전체 지역이 섬진강 유역이 된다.

 물은 산을 넘지 못하니 백두대간 산줄기와 호남정맥 산줄기가 울타리 친 안 쪽으로 물은 흘러 한 곳으로 모이고 그렇게 모인 섬진강 물이 광양과 하동사이로 흘러 남해로 들어간다. 이곳이 바로 섬진강 유역인 것이다.

 산경도에 의한 정맥은 지역의 중심 산줄기임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큰 강을 나누는 울타리이다. 그래서 강물의 흐름을 다른 강으로 바꾸는 유역변경식 발전소가 모두 정맥과 대간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소백산맥이나 노령산맥 같은 산맥체계는 지형이나 물의 흐름과는 무관한 개념이고 정확한 위치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산맥체계로는 유역의 개념을 설명할 수 없다.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